•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 건설사업 실무자 경험기반 리스크 설문조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4.2.1

설문지 설계 및 구축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관점에서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 간의 관 계를 고려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해외 건설사업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 로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구축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되며, 각각 ‘응답자 및 프로젝트 기본정보 수 집’ 항목과 ‘리스크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응답자 및 프로젝트 기본정보 수집’항목은 기본적인 정보수집을 위한 항목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출 지역, 공사비 증가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진출 지역의 경우에는 신시장과 기존 진출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차이 분석 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 으며, 공사비 증가율은 해외 건설사업 국가 리스크 요인들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응답자 및 프로젝트 정보 수집 항목은 그림 4.1과 같다.

그림 4.1 설문 응답자 기본 항목

다음으로 ‘리스크 정보수집’ 항목은 리스크 PI 평가와 PLS-SEM 분석을 수행하 기 위해 구성하였으며, 평가 지표는 각각 발생확률(Probability)과, 영향정도(Impac t)로 구분된다. 여기서 발생확률은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이 해외 건살사업 의 공사중 발생할 확률을 의미하며, 영향정도는 해당 리스크 요인들이 건설공사비 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한다.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평가 방법은 7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매우 낮음(1점)부터 매우 높음(7)으로 구분된다. 구축된

‘리스크 정보수집’ 항목은 그림 4.2와 같다

그림 4.2 설문 응답자 리스크 평가 항목

4.2.2

리스크 설문 조사 수행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건설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앞서 구축한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RBS에 대해 경험기반의 설문 평가를 표 4.2와 같이 수행하였다. 설문 기간 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3개월 동안 해외에서 건설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 무자들을 대상으로 E-mail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총 120부를 배포하여 미응답 및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설문을 제외하고 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구분 내용

조사목적 해외 건설사업 주요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확률 및 영향 평가 조사대상 발주처 및 시공사 등 해외에서 건설사업을 수행 및 경험하였던 실무자

조사방법 E-mail을 통한 설문조사

조사기간 2020년 06월 01일 ∼ 2020년 07월 10일(약 6주)

조사결과 총 12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설문을 제외하고, 총 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음(회수율 77.5%)

표 4.2 설문조사 개요

설문 조사를 통해 회수된 93부의 설문을 확인한 결과는 표 4.3과 같다. 설문응답 자의 해외건설 경력은 6년~15년의 해외건설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응답자가 48명 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5년 이하의 경력자가 33명, 15년 이상의 경력자 12명 순으로 응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출 지역의 경우 중동, 아시아 등 국내 건설기업들이 기존 주요 진출지역의 건설사업에 참여한 응답자가 6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북극권 지역의 건설사업에 참여한 응답자는 30명으로 확인되었다.

특징 빈도 비율 누적 비율

경력(년)

0-5 33 35.5% 35.5%

6-15 48 32.7% 88.2%

>15 12 11.8% 100%

진출 지역

기존 진출지역 63 68% 68%

북극권 지역 30 32% 100%

표 4.3 설문 응답자 정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