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결과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94)

4.5.1

연구 가설에 따른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는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분석 결과에 대한 고찰과 함께 앞서 설정하였던 본 연구의 가설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결과 는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의 관계는 구조화될 수 있으며, 계량화(수치화)가 가능할 것이다.

§ 연구가설 1.1:

국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는 유기적인 관계가 존재하며, 계량화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는 직간접적인 형태의 유기 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를 계량화함으로써 연구가 설 1.1을 검증하였다.

먼저, ‘사회/문화’ 리스크는 ‘지역/환경’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고, 0.475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경제/재정’ 리스크의 경우에는 각각 ‘지역/환경’, ‘사업여건’, ‘정치/정책’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0.402, 0.646, 0.495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법규’ 리스크 의 경우에는 각각 ‘사회/문화’, ‘지역/환경’ 리스크와 관계가 있었으나, ‘사회/문화’

리스크와는 집적적인 관계를 가지며 0.392 수준의 영향을 미쳤고, ‘지역/환경’ 리스 크와는 간접적인 관계를 가지며 0.186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수행된 분석결과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에서는 ‘경제/재정’ 리스크가 가장 많은 리스크 요인들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사업여건’ 리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량화된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인 관계는 표 4.38과 같다.

관계 구분

종합 지역

잠재 변수 경로계수

직접 관계

사회/문화

-> 지역/환경 0.475 경제/재정

-> 지역/환경 0.402 경제/재정

-> 사업여건 0.646

경제/재정

-> 정치/정책 0.495 제도/법규

-> 사회/문화 0.392 간접 관계 제도/법규

-> 지역/환경 0.186 표 4.38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인 관계

§ 연구 가설 1.2: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에는 유기적인 관계가 존재하 며, 이러한 관계는 계량화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에 직간접 적인 형태로 존재하는 유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를 계량화함으로써 연구 가설 1.2를 검증하였다.

먼저,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공사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 크는 ‘지역/환경’ 리스크임을 확인하였으며, 공사비 변동성에 0.360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공사비 변 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는 각각 ‘사회/문화’, ‘경제/재정’, ‘제도/법규’ 리스크임 을 확인하였으며, 공사비 변동성에 각각 0.171, 0.145, 0.067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수행된 분석 결과를 통해, 추후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 건설사업에 진출 시에는 공사비 변동성과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역/환 경’ 리스크에 대한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환경’ 리스크 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 ‘경제/재정’ 리스크에 대해서도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구축하여 ‘지역/환경’ 리스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계량화된 해외 건설 공사비 변동성과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인 관계는 표 4.39와 같다.

관계 구분

종합 지역

잠재 변수 경로계수

직접 관계 지역/환경 0.360

간접 관계

사회/문화 0.171

경제/재정 0.145

제도/법규 0.067

표 4.39 해외 건설 공사비 변동성과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 관계

<연구 가설 2>

계량화된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의 구조관계는 국내 건설 기업들의 진출 지역마다 상이할 것이다.

§ 연구 가설 2.1:

계량화된 국가 리스크 요인들 간의 관계는 국내 건설기업들의 진출 지역 마다 상이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수행된 분석 결과를 통해 계량화된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국내 건설기업들의 진출 지역별로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역별로 다르게 도출된 대한 관계를 계량화함으로써 연구 가설 2.1 을 검증하였다.

먼저, 국내 건설기업들의 주요 진출 지역인 중동, 아시아 지역 건설사업에서 관 계가 있는 국가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고, 국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국내 건설기업들의 기존 진출 지역에서 직접적인 관계가 있 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지역/환경’ 리스크는 각각 ‘경재/재 정’, ‘사업여건’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각각 0.280, 0.662 수준의 영향을 미 쳤다. ‘사업여건’ 리스크는 각각 ‘사회/문화’, ‘경제/재정’, ‘법규/제도’ 리스크와 직접 적인 관계를 통해 각각 0.491, 0.499, 0.605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정치/정책’ 리스 크는 ‘사회/문화’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0.267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국내 건설기업들의 기존 진출 지역에서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지역/환경’ 리스크는 각각 ‘사회/문화’,

‘경제/재정’, ‘제도/법규’ 리스크와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각각 0.325, 0.330, 0.400 수 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북극권 지역 건설사업에서 관계가 있는 국가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 고, 국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북극권 지역에서 직 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경제/재정’ 리스크 는 각각 ‘사회/문화’, ‘제도/법규’, ‘사업여건’, ‘정치/정책’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각각 0.561, 0.382, 0.496, 0.519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업 여건’ 리스크는 ‘지역/환경’ 리스크와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0.789 수준의 영향을 미 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북극권 지역에서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

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경제/재정’ 리스크는 ‘지역/환경’ 리스크와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0.392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수행된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한 결과, 중동, 아시아 지역에서는 ‘지역/환경’

리스크가 가장 많은 리스크 요인들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사 업여건’ 리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북극권 지역에서 는 ‘경제/재정’ 리스크가 가장 많은 리스크 요인들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 으며, 특히 ‘지역/환경’ 리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계량화된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인 관계는 표 4.40과 같다.

관계 구분 기존 진출지역 북극권 지역

잠재 변수 경로계수 잠재 변수 경로계수

직접 관계

지역/환경

-> 경제/재정 0.280 경제/재정

-> 사회/문화 0.561 지역/환경

-> 사업여건 0.662 경제/재정

-> 제도/법규 0.382 사업여건

-> 사회/문화 0.491 경제/재정

-> 사업여건 0.496 사업여건

-> 경제/재정 0.499 경제/재정

-> 정치/정책 0.519 사업여건

-> 제도/법규 0.605 사업여건

-> 지역/환경 0.789 정치/정책

-> 사회/문화 0.267 -

-간접 관계

지역/환경

-> 사회/문화 0.325 경제/재정

-> 지역/환경 0.392 지역/환경

-> 경제/재정 0.330 -

-지역/환경

-> 제도/법규 0.400 -

-표 4.40 지역별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유기적인 관계

§ 연구 가설 2.2:

계량화된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의 관계는 진출 지역 마다 상이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건설 국가 리스크 요인들과 해외건설 사업성과 간의 유기적 관계는 국내 건설기업들의 진출 지역별로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역별로 다르게 도출된 관계를 계량화함으로써 연구 가설 2.2를 검증하였다.

먼저, 국내 건설기업들의 주요 진출 지역인 중동, 아시아 지역에서 공사비 변동 성과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국가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고, 공사비 변동성과 국 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국내 건설기업들의 기존 진출 지역에서 공사비 변동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 이 확인되었다. ‘제도/법규’ 리스크는 공사비 변동성에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0.305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국내 건설기업들의 기존 진출 지역에서 공사비 변동 성과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사업여건’

리스크와 ‘지역/환경’ 리스크는 공사비 변동성에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각각 0.184, 0.122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기 존 진출 지역에서는 불공정한 세금 부과 및 관련 행정처리 절차 지연 등 ‘제도/법 규’와 관련된 리스크가 공사비 변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리스크가 건설 공사비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에는 인프라 시설 부족, 현지조달 장비 부족 등의 ‘사업여건’ 리스크와 현지 기후·날씨 등의 ‘지역/환경’ 리 스크가 직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북극권 지역 건설사업에서 공사비 변동성과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국가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고, 공사비 변동성과 국가 리스크 요인들 사이에 존재 하는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북극권 지역에서 공사비 변동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 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지역/환경’ 리스크는 공사비 변동성 에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0.586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북극권 지역에서 공사 비 변동성과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리스크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사 업여건’ 리스크와 ‘경제/재정’ 리스크는 공사비 변동성에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각 각 0.229, 0.462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 았을 때, 북극권 지역에서는 현지의 기후·날씨, 진출국의 환경보호로 인한 규제 등

‘지역/환경’과 관련된 리스크가 공사비 변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9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