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onlinear Tower Crane System Input Shape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7-82)

Tower Crane은 Slew방향의 한 종류의 입력만으로 Patyload가 Selw방향을 포함하여 Trolley방향의 2개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는 특징이 존재하기 때문에, Slew방향의 입력만으로 모든 축 방향의 잔류 변위를 완벽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Hoisting작업은 입력성형기의 중요한 입력 변수인 고유주파수 및 크레인 Dynamics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스템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q본 논문에서 입력 은 Slewing의 한 방향으로 제한하며, 1차 구동기의 비선형성을 가진 On-Off 액츄에이터 를 탑재한 시스템이 실험중 Hoisting방향 움직임이 발생한 문제를 가정한다. 모델링은 Maple을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시뮬레이션은 MATLAB / Simulink를 활용하여 진행되었 다.

4.2.1. System modeling

Fig. 4-1 Tower Crane Structure

시스템은 Tower Crane의 Single-Pendulum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며 해당 시스템은 위의 Fig 4-1과 같이 나타난다. 위와같은 타워크레인의 모델링 식을 계산하기 위하여 Payload의 각 축방향 좌표를 정의한 후 Lagrange equation을 활용한다.[35] Lagrange equation을 활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Kinetic energy와 Potential energy계산식을 세워야 한다. 수식 전개를 위하여 Payload의 각 축방향에 따른 위치를 정의하면 아래와 같다.

  sin 

(4.1)

  

(4.2)

  cos 

(4.3)

L은 Trolley부터 Payload까지 연결된 Hoisting Length이다. 정의된 각 축방향 Payload 의 좌표를 활용하여 Payload의 속도를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   



 

  

(4.4)

위 식에서  를 의미하며 는 jib의 slew방향 각속도를 의미한다. 위 Payload의

속도식 (4.4)에 대해서 Payload의 각 축방향 위치식 식(4.1)~식(4.3)을 활용하여 jib부터 trolley까지의 거리()와 각 축에 따른 Payload의 속도를 각각의 unit vector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     sincos   sin  sinsin

 cos cos     sin    sin  

    coscos   sincos  sincos  

(4.5)

위 정리된 Payload의 속도식 (4.5)을 활용하여 Kinetic energy를 계산한 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4.6)

또한 Lagrange Equation계산을 위한 Potential energy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    cos 

(4.7)

Largrange Equation은

ℒ  

 

과 같이 정의되며 이는 위 식(4.6)과 식(4.7)을 활용하여 계산이 가능하다. Largrange Equation을 통한 운동방정식 계산식은 아래와 같 이 나타난다. 운동방정식에 대해서

의 두 가지의 요소에 대해서 정리해야 하므 로,

에 대해 두 요소 각각에 대해서 대입하여(

   or 

) 계산한다.

 

  

 

ℒ    

ℒ  

(4.8)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Input Shaper가 모델링 오차에 민감하다는 특성상 정확한

 

에 대해서 0을 대입하지 않고 위 Lagrange Equation을 통한 타워 크레인의 비선형 방 정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    

 sinsin  

 sincos   

 cos

  

 cos coscos

sin

      sin  sin

  

 sinsin

 cos sin 

 cos

cos

 

(4.9)

cos      cos  

 cos  

 sin   

 cos 

      cos sin sin cossin

 cos cos  coscossin 

 

(4.10)

위 두 식을 통하여 Payload의 두 각도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slew방향 가속 도, trolley방향 가속도, Hoisting방향의 속도값이 입력으로서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 으며, 타워크레인 Payload의 두 각도()가 서로 Coupled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2.2. 1 차 구동기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Input Shaper

비선형유연계의 잔류변위 제어를 위한 입력성형기는 기존 Gantry Crane과 2-mass System등의 시스템에서 개발된 입력성형기의 한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며 개발되 어왔다. 그 중 Tower Crane에서 Singhose는 타워크레인의 비선형 역학을 선형화하여 Linearlized input Shaper를 개발하였으며, 타워크레인의 각기 다른 2개의 모드의 주파수 를 활용하여 각 주파수를 활용한 Input Shaper를 Convolution한 2-mode Input Shaper를 활용하여 잔류변위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타워크레인의 First-order의 비선형 움직임을 고려하여 UMZVF Shaper를 활용한다. First-order Input Shaper는 모터의 전기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이 반 영된 시상수를 고려하여 잔류변위 제어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Solution의 계산과정은

Vector Matching 방법을 통하여 계산되었다. 시스템의 음의 방향의 입력이 가능한 On-Off 입력을 통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UMZV Shaper를 기초로 한 First-order Shaper 인 UMZVF Shaper를 Training Data set을 위한 Input Shaper로서 활용한다. UMZVF Shaper는 Start mode와 Stop mode각각 3개의 Amplitude와 Switch Time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각 Solution은 아래와 같다.

  

  

  

 tan

 

  

   tan

 

  

   cos

 

  



  

 cos

 

  

 

 

(4.11)

 

  

 tan

 

  

   tan

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 

위 식에서

는 입력 명령이 종료되는 시간이며, 각 시상수에 따른 상승시 주파수 식 및 계산식

는 아래와 같다.

 

,

 

(4.12)

 

   

,

   

(4.13)

위에서

는 시스템의 상승 시상수를

는 시스템의 하강 시상수를 의미한다. 위

로 상승 및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Fig. 4-2 1st-order UMZV(UMZVF) Shape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7-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