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axent Grammar Tool에 의한 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51-154)

6. 논의

6.3. Maxent Grammar Tool에 의한 분석 결과

이 장에서는 영어 발화와 한국어 발화 중 음운 환경에 따른 /h/ 실현·탈락 및 유성·무성 /h/ 실현의 비 범주적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서 최대 엔트로피 모형(maximum entropy model)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Goldwater와 Johnson(2003)의 최대 엔트로피 모형은 주어진 자료를 근거로 관련 제약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입력된 빈도 포착하게 되며, 각 후보형의 최적성은 각 후보형 이 위배하는 제약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계산된다. 다음 <표 97>

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표 98>에 제시된 제약들의 가중치를 Maxent Grammar Tool로 구한 결과 값이다.

표 83. Maxent Grammar Tool에 의한 제약 가중치

* EEF : 영어 화자의 영어 초점 단어 발화 * EEU : 영어 화자의 영어 비초점 단어 발화

* EKF : 한국어 화자의 영어 초점 단어 발화 * EKU : 한국어 화자의 영어 비초점 단어 발화

* KE : 영어 화자의 한국어 단어 발화 * KK : 한국어 화자의 한국어 단어 발화

표 84. /h/ 탈락의 분석을 위한 제약

a. 충실성 제약 (Faithfulness constraints) - (Kager 1999, Davis와 Cho 2003) 1) Max-IO (h) :

입력형의 모든 h는 출입형에 대응소를 가지고 있다.

2) Ident[laryngeal]:

대응하는 분절음은 후두자질에 대한 동일한 값을 가지고 있다.

3) *[s.g.]

[s.g.] 자질이 금지된다.

4) AlignL(Ft,[sg]):

음보의 왼쪽 가장자리와 성문 확장성 자질[spread glottis]을 정렬시킨다.

AlignL(Wd,[sg])

b. 유표성 제약 (Markedness constraints) - Park(2015) *[+son]h[+son] :

공명음 사이의 /h/는 금지된다.

*[+son]h[+high], *[+son]h[+mid], *[+son]h[+low], *LhV, *NhV, *VhV

<표 83>의 Maxent Grammar Tool에 의한 값에서 모든 후보형이 최적형으로 선택될 수 있며, 구체적인 /h/ 탈락 분포는 이 제약들의 가중치에 따라 포착 된다. <표 84>은 /h/ 탈락의 분석을 위한 제약이며 가중치가 높은 제약을 위 배하거나 많은 제약을 위배할 때 유표성은 증가한다. Max(h)의 가중치는 대 체적으로 L2에서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h/의 탈락이 L2보다 L1에서 더 많이 일어난다고 해석된다. 이것은 앞서 논의했듯이 L2를 발화할 때 충실성을 보 다 우선시한다고 할 수 있고 L1에서의 음성학적 실현 양상을 잘 학습하지 못 했다고 할 수도 있다. L1의 습득에서는 유표성 제약이 상위에 위치해 있다가 점점 충실성 제약이 상위로 오르는 반면, 성인 화자가 L2 혹은 외국어를 학

습하는 경우에는 충실성 제약이 상위에 위치해 있고 해당 언어에서 작용하는 유표성 제약을 점점 습득하여 상위로 오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Ident(lar) 제약의 경우 영어 화자들에게서 그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영어 화자들도 /h/의 약화를 경험하기는 하지만, 한국어 화자에 비해 약화보다는 탈락을 더 많이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어에서 /h/의 실현을 범주 적으로 설명했던 선행 연구들이 주장했던 바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AlignL 제약의 경우 영어 발화에서는 화자 그룹에 관계 없이 가중치를 보였으나 한국어 발화에서는 한국어 화자들에게서만 가중치가 발견된다. 이 는 두 화자 그룹의 L2 수준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 화자는 상대적으로 유창한 수준을 보여 준 반면, 영어 화자는 낮은 한국어 수준을 보여주었다. 즉 한국어 화자들의 영어의 운율에 따른 /h/의 실현 양상을 어느 정도 학습했다고 볼 수 있으나, 영어 화자들은 한국어의 실현 양상을 잘 학 습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과 관련된 제약들의 가 중치는 대체적으로 두 화자 그룹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영어 발화에서 비음이 선행할 때의 제약만 두 화자 그룹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 서 선행음과 후행음의 효과는 넓게는 공명도나 공기의 흐름과 관련된 언어 보편적인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51-1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