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31)

5.1.1.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5.1.1.1.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h/ 실현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

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결과를 <표 67>에서 보여주고 있다.

표 67.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English

1 12(10.3%) 105(89.7%) 15(12.8%) 90(76.9%) 2 23(50%) 23(50%) 11(23.9%) 12(26.1%) 3 17(37.8%) 28(62.2%) 7(15.6%) 21(46.6%)

피실험자 X-squared df p-value

Korean 32.122 6 1.546e-05 *

English 43.115 4 9.792e-09 *

그림 30.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30>에서 한국어 실험 단어를 발음하는 동안, 영어 화자는 음절의 첫 번째 위치에서 무성 /h/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음절의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이동할 때, /h/가 탈락 비율이 비교적 높아졌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이러 한 양상은 한국어 화자의 발화에서도 나타났다. 다만 한국어 화자의 발화에 서는 약화의 결과로 유성 /h/가 매우 빈번하게 나타났다.

표 68.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h/ 실 현 관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피실험자 선행음 탈락(DL) 실현(RL) 유성(VD) 무성(VL)

Korean

liquid 9(25%) 27(75%) 18(50%) 9(25%) nasal 21(38.2%) 34(61.8%) 27(49.1%) 7(12.7%)

pause 40(21.5%) 146(78.5%) 64(34.4%) 82(44.1%) vowel 44(45.4%) 53(54.5%) 39(40.2%) 14(14.4%)

English

liquid 4(12.9%) 27(87.1%) 8(25.8%) 19(61.3%) nasal 23(53.5%) 20(46.5%) 6(14%) 14(32.5%) pause 8(10.1%) 71(89.9%) 13(16.5%) 58(73.4%) vowel 17(30.9%) 38(83%) 6(10.9%) 32(58.2%) <표 68>는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와 /h/

실현 관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음절의 위치에 따른 영어 화 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관계는 유의미한 차 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Korean : 1.546e-05*, English : 9.792e-09*).

5.1.1.2.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결과는 <표 69>에서 보여주고 있다.

표 69.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

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31.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 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피실험자 X-squared df p-value

Korean 42.851 6 1.248e-07*

English 34.326 6 5.82e-06*

<그림 31>에서 한국어 실험 단어를 발화할 때, 영어 화자는 단어 전 휴지 가있을 때, 무성 /h/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선행음이 유음(과 모 음일 때 무성 /h/의 비율이 비슷하게 높았고 선행음이 비음이 올 때, 가장 높 은 /h/ 탈락이 일어났다. 영어 화자는 전반적으로 유성 /h/ 실현보다 무성 /h/

실현 비율이 더 높았다.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선행음에 따른 비율의 양상은 한국어 화자의 발화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70.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관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표 70>는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관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선행음에 따른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Korean : 1.248e-07*, English : 5.82e-06*).

피실험자 후행음 탈락(DL) 실현(RL) 유성(VD) 무성(VL)

Korean

high 30(50.8%) 29(49.2%) 24(40.7%) 5(8.5%) low 54(23.6%) 175(76.4%) 78(34.1%) 97(42.3%) mid 30(34.9%) 56(65.1%) 46(53.5%) 10(11.6%)

English

high 9(22%) 32(78%) 12(3%) 20(48.7%) low 35(25.9%) 100(74.1%) 15(11.1%) 85(63%) mid 8(25%) 24(75%) 6(18.8%) 18(56.2%) 5.1.1.3.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결과는 <표 71>에서 보여주고 있다.

표 71.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

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32.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 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피실험자 X-squared df p-value

Korean 48.637 4 6.949e-10*

English 8.0551 4 0.08958

<그림 32>에서 한국어를 발화하는 동안, 영어 화자는 후행음이 고모음에서 저모음으로 갈수록 무성 /h/의 비율이 높아졌다. 이는 한국어 화자의 발화에 서도 마찬가지였으나 한국어 화자의 경우 후행음이 저모음일 때 무성 /h/를 실현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후행음이 고모음일 때 탈락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표 72.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관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표 72>은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관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이다. 후행음이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 과 유성·무성 실현 관계에 강하게 영향을 주고 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 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에서는 후행음에 따른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실현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Korean : 6.949e-1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3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