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출 실험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5)

본 논문의 산출 실험 결과를 영어와 한국어 전체 발화 중 /h/실현 양상을 대 략적으로 살펴보고,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실현, 한국 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실현으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겠다.

3.3.1.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먼저 피실험자들의 영어와 한국어 실험 단어 발화에 따른 /h/의 실현 실험 결과는 다음 <표 21>에서 보여준다.

표 21.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5.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5>는 한국어 화자들이 영어 화자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h/를 실현하 는 비율이 높았음을 보여 준다. 이는 <표 22>의 카이제곱 검정 결과로도 확인된 다. 다만 이는 영어와 한국어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양상이 각각의 언어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지금부터 확인해 본다.

X-squared df p-value

11.192 2 0.003713 *

피실험자 탈락(DL) 실현(RL) 유성(VD) 무성(VL)

English 225(33.7%) 442(66.3%) 176(26.4%) 266(39.9%) Korean 149(22.0%) 529(78%) 145(21.4%) 384(56.6%) 표 22.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관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3.3.2.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실현

영어 실험 단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에 따른 /h/의 실현 실험 결과는 다음 <표 23>에서 보여준다.

표 23.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 성 경향

그림 6. 영어 발화 중 원어민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무성 경향

<그림 6>에서 영어 실험 단어를 발화할 때, 영어 화자들은 한국어 화자에

X-squared df p-value

39.772 2 2.31e-09*

피실험자 탈락(DL) 실현(RL) 유성(VD) 무성(VL) Korean 114(30.5%) 260(69.5%) 148(39.6%) 112(29.9%) English 52(25.0%) 156(75%) 33(15.9%) 123(59.1%) 비해 /h/를 더 많이 탈락시켰으나, 한국어 화자들은 /h/를 무성으로 더 많이 실현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표 24>의 카이제곱 검정에 의해서도 확 인된다.

표 24.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실현 관계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

<표 24>는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 간 /h/ 실현 관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영어 실험 단어들을 발화할 때 영어 화자와 한 국어 화자 간 /h/ 탈락·유성·무성 실현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2.31e-09*). 영어 실험 단어를 발음할 때, 영어 화자는 한국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h/를 더 탈락시켰다.

3.3.3. 한국어 발화 중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한국어 실험 단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에 따른 /h/의 실현 실험 결과는 다음 <표 25>에서 제시되었다.

표 25. 한국어 발화 중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

무성 경향

X-squared df p-value

53.765 2 2.114e-12*

그림 7. 한국어 발화 중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탈락·실현과 유성·

무성 경향

<그림 7>에서 한국어 실험 단어를 발음할 때, 영어 화자들은 한국어 화자 들보다 무성 /h/로 실현하는 비율이 많았고, 반면에 한국어 화자들은 비슷한 비율의 /h/탈락, 유성, 무성을 보이고 있다.

표 26. 한국어 발화 중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 간 /h/ 실현 관계에 대한 카 이제곱 검정

<표 26>는 한국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 간 /h/ 실현 관계에 대 한 통계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한국어 실험 단어들을 발화할 때 영어 화자 와 한국어 화자 간 /h/ 탈락∙유성∙무성 실현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2.114e-12*). 한국어 실험 단어를 발음할 때, 한국어를 모국 어로 하지 않은 영어 화자가 한국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무성/h/로 실현하는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영어 발화에서는 한국어의 /h/ 실현 비율이 높았고, 한국어 발화에서는 영어 화자의 /h/ 실현 비율이 높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규칙 기반 이론 틀에서는 이 두 그룹의 화자들이 아직 모국어가 아닌 언어의 /h/ 탈락에 대한 규칙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최적성이

론의 틀에서는, 이는 하나의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충실성 제 약이 상위에 위치하고, /h/의 탈락을 유도하는 유표성 제약이 점점 상향한다 고 보면 잘 설명된다. 즉,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 모두 모국어가 아닌 언어 에 대해 상대적으로 충실성 제약이 아직 상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피실험자 초점(focus) 탈락(DL) 실현(RL) 유성(VD) 무성(VL)

English

focused 88(26.5%) 143(73.5%) 70(21.1%) 173(52.4%) unfocused 137(40.7%) 199(59.3%) 106(31.5%) 93(27.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