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선량값 비교 a.25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전리함의 선량 비교

In document 저작자표시 (Page 43-49)

A. 저에너지 영역

5.25 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선량값 비교 a.25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전리함의 선량 비교

kVp변화에 따른 평균선량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 < 0.001).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관전압 140 kVp(e)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0kVp(d),100kVp(c),80kVp(b),60kVp(a)순으로 높게 측정되 었으며,kVp 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선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15에서 표층선량을 BivariateCorrelation결과,전리함은 r=0.992(p

< 0.001)으로 측정되었다.(Table15)

Table15.Thecomparison ofdosein ion chamberwith thechangeofkVpat 25mAs

Note :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Post-hoctestofScheffe.Thegroupofsamealphabetmeansthesamegroup ofaveragelevel.Thealphabetordermeansadifferencebetween groups.The IonchamberunitisthenumberofmGy.***p< 0.001.

25mAs N Piranha F p Mean± SD

60kVp 10 0.78± 0.02a

1326.253 0.000***

80kVp 10 1.42± 0.03b 100kVp 10 3.17± 0.04c 120kVp 10 3.83± 0.07d 140kVp 10 4.57± 0.05e

b.25mAs고정,kVp변화에 따른 Pi r anha의 선량 비교

kVp변화에 따른 평균선량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 < 0.001).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관전압 140 kVp(e)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0kVp(d),100kVp(c),80kVp(b),60kVp(a)순으로 높게 측정되 었으며,kVp 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선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16 에서 표층선량을 Bivariate Correlation 결과,Piranha는 r= 0.984 (p< 0.001)으로 측정되었다.(Table16)

Table 16.The comparison ofdose in Piranha with the change ofkVp at 25mAs

Note :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Post-hoctestofScheffe.Thegroupofsamealphabetmeansthesamegroup ofaveragelevel.Thealphabetordermeansadifferencebetween groups.The PiranhaunitisthenumberofmGy.***p< 0.001.

33

-25mAs N TLD F p

Mean± SD 60kVp 10 0.98± 0.03a

1806.715 0.000***

80kVp 10 1.76± 0.31b 100kVp 10 2.76± 0.04c 120kVp 10 3.84± 0.05d 140kVp 10 4.93± 0.07e

c.25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열형광선량계의 선량 비교

kVp변화에 따른 평균선량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 < 0.001).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관전압 140 kVp(e)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0kVp(d),100kVp(c),80kVp(b),60kVp(a)순으로 높게 측정되 었으며,kVp 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선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7 에서 표층선량을 Bivariate Correlation 결과,열형광선량계는 r=

0.993(p< 0.001)으로 측정되었다.(Table17)

Table17.ThecomparisonofdoseinTLD withthechangeofkVpat25mAs

Note :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Post-hoctestofScheffe.Thegroupofsamealphabetmeansthesamegroup ofaveragelevel.Thealphabetordermeansadifferencebetween groups.The TLD unitisthenumberofmSv.***p< 0.001.

25mAs N PLD F p Mean± SD

60kVp 10 0.88± 0.04a

1324.496 0.000***

80kVp 10 1.71± 0.04b 100kVp 10 3.63± 0.06c 120kVp 10 4.28± 0.05d 140kVp 10 4.67± 0.04e

d.25mAs고정,kVp변화에 따른 유리형광선량계의 선량 비교

kVp변화에 따른 평균선량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 < 0.001).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관전압 140 kVp(e)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0kVp(d),100kVp(c),80kVp(b),60kVp(a)순으로 높게 측정되 었으며,kVp 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선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18에서 표층선량을 BivariateCorrelation 결과,유리형광선량계는 r=

0.969(p< 0.001)으로 측정되었다.(Table18)

Table18.ThecomparisonofdoseinPLD withthechangeofkVpat25mAs

Note :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Post-hoctestofScheffe.Thegroupofsamealphabetmeansthesamegroup ofaveragelevel.Thealphabetordermeansadifferencebetween groups.The TLD unitisthenumberofmSv.***p< 0.001.

35

-25mAs N OSLD F p

Mean± SD 60kVp 10 1.43± 0.05a

1484.203 0.000***

80kVp 10 2.20± 0.06b 100kVp 10 4.18± 0.05c 120kVp 10 4.84± 0.06d 140kVp 10 6.16± 0.07e

e.25 mAs고정,kVp 변화에 따른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선량 비 교

kVp변화에 따른 평균선량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 < 0.001).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관전압 140 kVp(e)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0kVp(d),100kVp(c),80kVp(b),60kVp(a)순으로 높게 측정되 었으며,kVp 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선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19에서 표층선량을 BivariateCorrelation 결과,광자극발광선량계는 r

=0.989(p< 0.001)으로 측정되었다.(Table19)

Table 19.The comparison of dose in OSLD with the change of kVp at 25mAs

Note :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Post-hoctestofScheffe.Thegroupofsamealphabetmeansthesamegroup ofaveragelevel.Thealphabetordermeansadifferencebetween groups.The TLD unitisthenumberofmSv.***p< 0.001.

표층선량을 기준 선원 측정기인 전리함을 기준으로 비교하면,열형광선량계 가 가장 근접한 값으로 측정되었고,광자극발광선량계는 전리함 보다 높은 감 도로 측정되었다.그리고 Piranha와 유리형광선량계,열형광선량계는 전리함 보다 낮은 감도로 측정되었다.또한 BivariateCorrelation결과,전리함은 r=

0.992 (p < 0.001),Piranha는 r= 0.984 (p < 0.001),열형광선량계는 r=

0.993(p < 0.001),유리형광선량계는 r= 0.969(p < 0.001),광자극발광선량 계는 r= 0.989 (p < 0.001)순으로 pearson 상관계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의존성이 낮으므로 kVp변화에 따른 선량값 변화에서는 열형광선량계

가 에너지 의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19)

mSv

Fig.19.DosimeterscomparisonbydifferentkVp

37 -Day

N

X-rayoutputdose(mGy/s)

GM GSD CV

1 2 3 4 5 6 7 8 9 10

1 0.121 0.116 0.11 0.113 0.117 0.117 0.109 0.12 0.114 0.113 0.1139 0.003 0.03 2 0.116 0.116 0.11 0.113 0.117 0.116 0.109 0.12 0.114 0.113 0.1149 0.003 0.03 3 0.116 0.118 0.112 0.113 0.112 0.116 0.11 0.118 0.114 0.111 0.1111 0.001 0.01 4 0.114 0.118 0.112 0.109 0.112 0.111 0.11 0.118 0.114 0.111 0.1125 0.003 0.03 5 0.112 0.114 0.112 0.112 0.111 0.111 0.11 0.117 0.111 0.114 0.1123 0.003 0.03 6 0.112 0.114 0.112 0.112 0.111 0.111 0.112 0.117 0.111 0.114 0.1125 0.002 0.02 7 0.114 0.114 0.112 0.114 0.115 0.115 0.112 0.117 0.111 0.114 0.11 0.002 0.02 8 0.114 0.115 0.11 0.113 0.109 0.109 0.112 0.115 0.111 0.113 0.1172 0.002 0.02 9 0.11 0.115 0.11 0.113 0.109 0.109 0.108 0.115 0.111 0.113 0.1122 0.002 0.02 10 0.11 0.109 0.111 0.113 0.11 0.11 0.108 0.115 0.111 0.113 0.1129 0.001 0.01

In document 저작자표시 (Page 4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