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염을 TED를 통해서 모형과 연결하고 에너지수급 변화와 동시에 각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오염물질은 ’지구온난화 기여도‘(Global Warming Potential, GWP)와 함께서 TED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되는 연료나 기술과 관련된 오염을 지정해주기만 하면 된다. 만약 TED 에 포함되지 않은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오염의 종류를 기본적 속 성과 함께 TED에 추가하고 관련 연료와 기술에 연결시키면 결과화면에 서 배출량이 계산된다. 이때 추가할 수 있는 오염은 대기오염에 국한되 지 않는다. 만약 특정 에너지소비활동에서 수질오염이나 폐기물이 배출 된다면 해당 오염을 TED에 추가하여 분석에 고려할 수도 있다.

Center of the Stockholm Environmental Institute (SEI-Boston)은 이후 2000년 “The LEAP2000 Initiative"를 통해 윈도우 기반의 프로그램인 LEAP2000을 개발하였다. LEAP2000은 Version 95.0의 기본 골격을 유지 하며 전환부문의 묘사, 환경오염 배출 관련 DB, 변수 및 파라미터의 전 망 등의 측면의 크게 개선한 프로그램으로 개발 이후 미국, APERC(Asia Pacific Energy Research Centre), UNEP, Nautilus Institute 등을 중심으로 폭넓게 보급되고 있다.

Kim and Shin(2002)은 국내 최초로 LEAP2000을 국내 에너지부문에 적용한 연구로 Nautilus Institute의 주도로 진행되었던 EAEF (East Asia Energy Future) Project의 한국 측 연구를 위해 LEAP2000을 이용하여 ROK2000을 개발하였다. EAEF Project는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고, 북한 등 동북아시아 국가의 에너지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로 동북아시아에서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국가 간 에너지협력의 파급효과와 정책적 함의를 분석하려는 시도였다.24)

ROK2000은 LEAP2000을 국내 에너지부문에 적용하여 에너지부문에 대 한 정책과 국제협력이 국내 에너지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 개발되었다. 모형의 기준년도는 1998년으로 설정하고 전망기간은 2000~2020년인 중기모형으로 개발되었다. ROK2000은 LEAP2000 시스템 을 국내 최초로 적용한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당시 국내 에너 지 및 온실가스 관련 자료의 제약으로 에너지부문을 세부적으로 묘사하 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4) EAEF Project는 이후 Asian Energy Security Network (AESNet)으로 바뀌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분석 대상 모형 연구 기후정책 ROK2003-Eco Kim and Shin (2004) 매립지가스 발전 ROK2003-LFG Shin et al.(2005)

풍력 ROK2003-Wind 채윤근 외 (2004) 제4세대 원자력 ROK2003-GenIV 김호석 (2005)

수소에너지 ROK2003-H2 김호석․추민정․김정인 (2005) 에너지효율기술 ROK2003-KEMCO 김정인․김호석 (2005)

<표 2-9> ROK2003을 이용한 주요 연구

Kim(2003)은 ROK2000의 2002년에 발간된 에너지총조사보고서를 기초 로 기준년도를 1998년에서 2000년으로 업데이트하고 발전부문과 산업부 문의 기술을 세분화한 ROK2003을 개발하였다. ROK2003은 에너지부문 의 묘사와 자료의 일관성 측면에서 개선된 모형으로 이후 다양한 연구 에 적용되었다. 특히 Kim and Shin(2004)에서 확장된 ROK2003-USAEE는 ROK2003의 기준년도를 2001년으로 전환하여 모형 전체에 사용된 데이 터의 기준년도를 완전하게 일치시켰으며 ‘기후변화협약 대응 제2차 종합 대책’에 포함된 주요 감축정책이 에너지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적용되었다.

정부의 기후변화협약 대응 제1차 종합대책이 발표된 이후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 연구들의 분석을 지원하기 위해 온실 가스 및 에너지 관련 기초 통계구축, 분석기법 개발, 전문가 양성 등 대 응 잠재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와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 라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에너지관리공단을 중심으로 에너지소비 및 온실 가스 배출과 관련된 다양한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 반으로 LEAP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상향모형들의 구축이 시도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되어 감축정책 분석에 적용된 주요 기후정책모형은

다음과 같다.

모형구분 운용기관 운영모형

하향모형 에너지경제연구원

환경정책평가연구원

CGE 모형 CGE 모형

상향모형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소 에너지관리공단 연세대학교

EFOM-ENV MARKAL

DECADES, MESSAGE MARKAL

META-Net, LEAP

<표 2-10> 국내 연구기관 온실가스 감축정책 분석모형 활용 현황

<표 2-11> 국내 상향모형 관련 추진 현황 (에너지관리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