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jânu-n-ê ,

문서에서 韓國語의 (페이지 67-71)

Janu

Knie" ;

m

曲用

gîti-s Lied"; D.

gitay경,

注目되고,

Akzents交替가 뒤 따

-‘敎에

van “Wasser"; D. vâri-n

e ,

母흡結合上의 語尾에로의

“ õ+i=é" 의 語幹즙節에서

“a+i=§ ”와

Ko

r.

Skr‘와 Kor. 에 서

Skr.

同時에 른다.

CN)

目 的格

(Akkusativ)

(a) 韓國語는 子즙語幹다음에 는 “파l” 〔-을) ; 母륨語幹다음에 는 ‘-r디1"

단축형이 되는데,

理由로 ι삼엽

;

大部分의 경우 (r 좁은 륨협」二의

[ 블)

나를→날;것을→갤;

‘'-t(-d)".

idg語에 서 는

s-d-r

과代 Latin語는

(b)

idg語는 ‘~m ”인데,

‘ -1" 과 對應.

‘→t”는 Ko r.의 idg語의

~替가 행해지고,

l의

Akkusativ-Suffixe는--Finnland 1-)-

Lapp-Altai語으l 달락하지 이에 反해서

ischen語에 서 처 렴

\ )

/

n k /

않는다면 --Ma.

-bä (bej; Tung. -vä-be;

그러 나

Kor.

것과는 關係가

-igi; Türk. -ig , -ni

等이 다.

Ural-Altai語에 는 屬格과 對格。1 同一하다 88) 일이 없고, 對짧語명는 다른 Altai語族의

。l 。→

1→~~

語에서는 그런

-1

,

(d)

Mo.

-un”과 그리 고 i::耳

-un

等이 i혜 j’H 짧으}

없다.

88) 例하면 靈古語의 對格

“ i

,

-yi (g

i)"; 屬짧

“ -Ylll

,

-u

,

其語의 對혐,

“ -i

,

-l

, -i, -u”와 屬格

“ -lll

,

-ln

,

-un

, 屬格 “-i, -nI

對格 "'be" 가

u]

슷항을 말함인 듯,

C 7 0 ; 東亞文11':. 19輯

0')

(Vokativ)

(a)

Skr. 에서는 Kor.에서 처럼 呼格을 표시할 必몇가 없다.

Deutsche

語에

Kind

Komm!" 으로 마찬가지 이 다.

[

b)

呼格을 끓調하게 될 매에는, Kor. 에서는 “-아야" 敬語에서는

“-어여”얀데, Skr.애자는 “• a";

La

t. “ e”;록 對應펀다.

(VD

格 (Lokativ)

(a)

處格에는 「언제」 “vVann?" 이 라는 質問에 對한 時:間的關係도 包括 된다.

Kor. -e

C<δ

+i) ,

나 Akzent블 가진 다. Cip-é (im Haus); mur-é (im Wasser); pam-é (in der Nacht);

(b)

이 에 對한 idg語의 處格語尾

ê

(<a+i) 는 Kor. 語의 “

e ‘’

(악센트 가 있으면, <δ+i) 와 完全히 對應된다 89)

(c)

그러 나, Altai 語에 서 는 大體的으로,

Ma. Tung. ‘ '-de"; Mong.

-e

,

-a

,

-du

r. •

tur

,

-du

,

-tu"; Tiirk.

-ta

,

-da

,

-te

,

-de

90)

‘’ Fim.

-ssa

,

-lla" .

~VI[) 쩔 格

CAblativ)

(a)

“어디에샤" (Woher) 라는 문제에 關한 갖휴E쯤은- 處 I깜과 區分된다.

韓國語에서 쫓格은 “ sδ"( -서 H<syõ [져 J) oJ 고, 處格과 결함해서 “←esõ~

(-에서) , 與格과 喆合해서 “ -egesδ"(→에게사) ;

Ko

r. Sõul-sδ (서 울 ]

“ aus Seoul , von Seoul her" ,

Cip-e-sõ (잡 에 사 )

aus

dem Hause , von Hause her" ’

89) idg語의 찌로시 다음과 짙。l 플고 있 다‘

Sk

r.

pitar-i

beim Vater";

açva-s

Pferd", rûpa

m

Gestalt" ,

nar-j

bcim

il1a

nn";

açv-ê

beim Pferde";

rG

E

;‘ in cler Gestalt";

La

t.

ars

Kunst", art-e

in cler Kunst";

navis “ Schiff"

,

nav-e “ auf dem Schiff";

90) ó] 部分은 좋者가 쉽‘千 訂正을 지디랬는데, ØÚ 하면,

Türk

,

-ca

,

짧分 이 다. 즈안합. p.132 參昭、

-k’

a

-clä;

韓國語의 系統論에 關한 %다究(其-)

( 7 1 ) pumo-ege-sõ

(부요에 게 서 )

“ von clen Eltern" ,

(b)

이 에 比해 서 iclg語의 屬格과 尊格語尾는

“ as

,

es

, s”와 또

“ siQ

,

sYll" (Brugmann , Delbrück)

가 있는데

,

açva-sya

des Pferdes , von clem Pfercle".

rupa-sya “ der Gestalt , aus der Gestalt" ,

(c)

따라서 idg. 語의

“ as

,

es

,

s

,

sya

,

syo"

,

La

t.

de

, Gr.와 韓國語의

“ sõ" (

서)

, “ -syõ" (

셔)블 같이 보려고 해서 큰 過誤는 없다고 본다.

(VJ[)

(l nstrumental. Lativ)

(a)

“무엇 으로, 무엇 으로 依해 , 무엇 을 가지 고"

(Womit

,

Wodurch

,

Woraus?)

라는 問題에 關한 具格은 韓國語에 서 는 母흡;語幹에 서 는 “

ro"

(-로) , 또 子룹語幹에서는 “내ro ” (→으로)로 形成된다.

namu-ro

(나무로)

“ mit , aus Holz" ,

naksi-ro

(낚시 로)

mi t der Angel" ,

mailrn

f1r。 (마음으로)

mit dem Herzen" ,

mul~lo (물로)

“ mit Wasser"

(b)

idg語의 具格語尾

“ na ”

(낀은 Sanskrit語에 서 는 補助꽉즙이 다. ) 는 이들과 對應된다.

dâtri-If-â “ clurch den Geber";

tantu」1

a “ mit dem Faclen"

vàri-n-à

aus W asser" ,

rüpê-

l).

-â “ durch clie Gestalt"911

N

rv4) 第七章 代名詞 (Das

Pronomen)

λ、稱代名詞에 있어서는 Ural-Altai語 사이에 橫造的 類似싼이 있다. I!

P

複數形態의 第--흡節은 單數形態의 그것과 다른 母즙을 기지고 있는 例 이며, 또한 分明한 資料的 --敎도 存tE한다.

則 이들 諸語에 서 는 第一人稱語幹은 “m" .2.로 始fF하고, 第二人隔끓

91) 4) , 5) 는 省略. 또 5똘 雙짧〔와 複數, 6章 數듭피도 省略.

C 7 2

J

東亞文化 19輯

幹은

t"

또는 “t" 가

i"

앞에 서 變化하는

s"

또는 “è':"록 始作된다.

第--音節의 母音다음에는 大部分의 Ural-Altai語들에서는 “-n" 이 發見 퇴는데,

(例) fFinn. minun

Mein" (나의 )

1

Mo. minu (<minun)

Mein" ;

〈「 Finn- slimn “dein" (너 의

, (

ζ* tinun);

Mo. Cinu (<* tinun);

第三人稱 λ、稱代名詞논 흉홍벗的으로나 比較的觀點에 서 指示代名詞 (De‘

monstrativa) 와 分離되 지 않는다.

Col1inder敎授의 言及에 依하면, (Uralaltaisch,

1

c, s, 15) “韓國語의 人稱代名챔는 Altai語와 比較가 되 지 않는다”고 말한다.

@ 韓國등홈의 一)‘稱語幹은 “m" 으로 銷作하치 않고, 單數 (Sg.) 에셔는

“ n"( 나)1 로 始{'f한다.

@1

AItai語애 셔 는 第二人稱單數 語幹야 “t? S”, 또는 “c" 로 始作하292) 複數는 ‘’t" 로 始作펴지만, 韓國語의 경우 다 “n" 으로 시착흰다. (너,

너희) .

1])

第三A稱語幹의 單數와 複數에 서 는 韓國語에 서 든 “t" 와 “i':"를 Finn-92] 第一人稱單數 (Sg.) t딸몇R ~Pl.)

滿써즘홈 bi; be (非包含), muse(包含); 쫓古語‘ bi; ba (非包含), bida 〈 t믹含이

士耳其語 ben; biz,

通古斯語 bi , mi(go); bu, bü(非) biti minti (섣〉

第=人稱單數 (Sg.)

滿i洲즘흠 si; SUV,i"e,

쫓古語 èi; ta,

士耳其語 sen; siz,

週古:llfr편 si. sÍ SUd, SU1 S디, hu;

第三人稱윤용뺑r(Sg.) ; 複쨌 (Pl.)

滿洲릎홈, Ce,

쏟'^'를~카 ε그→를 nFg1, 1 ; *a,

士耳其語, 0; 。nlar ,

通古斯語 { 앙ani, nãn; noanci, nãti, nuati;

〔닝

nuan, nua nuatJ;

{폐텅생닮으l 系섬It~~Ìfcll 쇄한 꾀:r究(주t •) land語에서는 “h" 블 갖고 있다.

문서에서 韓國語의 (페이지 67-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