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Å稱代名詞 (Das Personalpronomen)

문서에서 韓國語의 (페이지 71-78)

{폐텅생닮으l 系섬It~~Ìfcll 쇄한 꾀:r究(주t •) land語에서는 “h" 블 갖고 있다.

C 7 4J

*亞갖:化 19爾

al

t.

ko

r.

sagajtürk. idä-

hier" ;

어 71

hier"

tung. adu

hier

3 여기

hier"

tung. esi

jetzt

”, 。l 재

jetzt"

mong. edüi

soviel" ;

이만좀 “so、tiel"

mong. edüge

ietzt

” ; 이 제 , 지 금

jetzt"

mordw. ese

dort" ;

커기

dort"

syrJ. esa

dieser" ;

dieser"

syrJ. ena

dieser" ;

이틀

diese"

syrJ. ez

, . 1

so";

아렇게

so"

ostj. ít

dieser" ;

“dies앙r"

ostJ.

ltt “

hier" ;

여기

hier"

ostj. így

so";

이렇게

so"

jenisscis. eke

dieser" ;

dieser

’,

kam. üd

jener

”;

jener

’!

Altai語에 서 치 d-am~ (이 , 이 것 ), Latin語에 서 “

i-s

, i-d"는 idg.語의 語根 ,,1

i

./ta(sa)

로 鋼及펀 다.

61

것 은 Greece語의 “τ0" 에 서 도 保存되 어 있다. 바로 이 “i" 가 韓國語의 指示代名詞 “

i"

(이것)과 對應흰다. 또 한 Latin語의 “

est

” (그것 은), Greek語 “ε’ orc" 도 역 시 韓國語의 “

id-de

C<tõ+i)

es

ist" 와 對應된다.

또핸 Latin語에 서 의 “hic-hoc" 의 경 우처 램 韓國語에 서 도, “이 것의 ”의 意味료서 “i-o" 의 變化를 갖고 있다. 맴 “이놈”과 “요돔”이다. 이것과 關 聯하여 Jensen은 다음과 같이 言及했 다.

“인도겔만語와 韓國語에 서 “i" 와 “0" 가 指示代名詞로 짧見되 는 것은 親族關짧블 규명하기 뷔한 좋은 證據가 판다“”고.

이 “o‘’는 韓國話에사는 정말로 빈번하게 나다난다.

여기---요기 (따르 여껴) ; 요것(바로 여기에 있는 것), 요새 (요사이,

in diesen Tagen)

요태 C< 여 대 ;

“ einstweilen , bis jetzt noch")

오늘 C<오날 ; “

heute , dieser Tag")

올해 [“

dieses Jahr" ,

<이해) ; 오롱이 조콩이

(“ hier und dort)

等等.

C

7 5 J

韓國語의 系統論에 關한 &다究(꽂10-一)

인도겔만 北韓 “더"( <뎌〉 “jener”는 人稱代名폐 “뎌”치련

또한 “저~

、/ta로 週及된다.

語의 νt ,

D)

疑問 몇 否定代名詞 (Frage-und

Indefinit Pronomen)

원略.

E)

關係代名詞 (Das

Relativpronomen)

,

:JBJ:t‘의 i-던 j , 完了의

i-LJ

(맛 「 윤J)

@

韓國語의 現tE形語尾 i-는 j ,

「 올j) 로 나타니는 分詞들은 무엇브다도 形容詞l'i':J 과 未來形 「←근 J(및

7-

., ,

다만 몇몇의 形態들은 댐係文으로 옮7'1 잔다.

주며,

r生格을 보여

일하는 사잠 ; 얼하던 사펌 ; 일할 사람 ; 일한 사-람 ;

먹 는 음식 ; 먹 던 음식 ; 먹 은, 먹 블 음삭 ;

Sanskrit語에 서 表示되 는 動形容펴

(Verbaladjektiva) Z.B. “ n§-ya ”

는 錯

‘Lya”(야)와 if3께미되는

國語의 動詞語략tí'. JT5態

(Verbalbasisform) [VBF]

011 對應한다.

、/nî ,

Verbaladj. ne-ya

ein

zu

Führender"

먹 어 야

etwas

zu

Sk

r.

essendes ,

etwas , was man essen muss"

韓國語

“ ant

(-nt)" 로 表示퇴는 웰在分詞의 形ijl(t쫓F을解는

cíl

Skr. 에서

-니

r 1

J t

i-는」 “ -niín" 과 對照관다.

Sanskrit接尾離

-ta

”, Greek짧 rd ”와 名詞와 形잠펴의 f강尾廳 “→ν0"

n" 고l 對應띈약.

niín. -hiín

/、

는 Kor.의

Ko

r.

k

un , man-hií

1);

La

t. MagnlJ~, Ple낀닌s;

問짧되는 듭홉펴흰 또는 接尾解間약 比較과

。] 현저한 構造間의 야기사

。1 러한 事寶올 보면,

현저한 構造間의 比較가 문제되는데,

것이 아니고,

idg諾族에 짧훌되어 對應아야 말로 韓國짧가 다른 어느 語族보다도

있는태,

{것 等。l 나마댄다.

@

이 外어l 特妹한

Partikel

,

a) 나플 부른 이가 누구요?

조~Sl-→

p

옷하오.

b)

당신이 말하산 바가 옳지

(7 6) 東亞갖:11::. 19輯

(및) Kor.의 指示代名詞 “여 " “요”는 idg語의 關1*代名詞

..;'ya

,

Mask.

ya-s; Fem. yâ; Neute

r. yat; 에 歸屬된다.

(5)

이 “여 , 요”는 셈詞로서 “여 기 “요기 ”와 같은 合成語로 Kor.의 펌示代名폐

yo ko

fo”와

Skr.

yati"

(얼마, 얼마나) 맞

Kati

‘’ (얼마,

템마나)‘ 및 “ tati”(그렇게 많이)

@1

Kor- 의 “ yo-k。→ Co ”와 idg: 形態 “ ya-ka-ta" 콜 t~較하었을 때 相互 的 訊族영~J 係블 더 걷거1 한다.

?

환더 맏하면,

Ko

r. 어 느

Cwelcher

,

irgend ein); idg. êna

(이 , ) ,

Ko

r. 어 디

(wo , irgendìvo); idg. êshu (asu)

Ko

r. n

T

(was für ein); idg. a-mu-shm"

“저

Ko

r. 몇 (einigε

wieviele); idg. a-mush

@)

이 外에도 數댐은 韓國템의 代名詞가 idg. 語의 그것괴- 直接 對應 되고 었다.

一般的으로 샤람들은, 韓國民族。1 idg. 語族과 어떤 ro힘係블 맺커에는 너무나 멜리 펠어져 있다고 近視眼的 생각을 갖고 있으며, 數二F年前어f idg. 끊플 짧用하는 民‘族들이 西部에서 東部로 移住할 수 였었음을~ (비l 콕 이것을 證明할만한 文歡的 記錄은 存在하지 않더라도) 생각치 못하 고 있다.

N

"-'5) 形容詞 (Das

Adjektiv)

CD

Altai語의 形容퍼는 핸木的으로나 諸總的으로

(grundsätzlich und

ursprünglich)

名詞와 相異하지 않으며 , 쭈詞앞에 또는 述語로써 名폐둬

에 變化없이 位置할 수 있마.

Samoj. sawa jâlé “ ein schöner Tag"

jâlé-da sawa “ der Tag (ist) schön"

反따‘에 韓國語애 있어서는, 언제나 名詞앞에 놓이며, 독련적으로 샤 -상펀다.

韓國語의 系統論어l 關한 굉구究(其-)

( 7 7 )

“새

, (neu)

→새

(neues Jahr);

“캅

,

(doppe1t) →겹 옷 (Doppe1k1eid)

;

“홀 "(albein)

(V gl. Skr. hol

,

sol; Lat.

solus) →홀아비, 홀어머 ;

@ 또는 形容詞는 寂述語언 動詞로부뎌 形成되 , 分詞 (Partizip) 와 同→한 機能을 갖고 었다.

크다→큰 (groß)

;

많다→많은 (víe1)

;

(Vgl. Skr. mahânt=mahat; La

t.

magnus “ groH

” ;

높약→높은 (hoch

sein)

@

Altai語에서는 形容詞가 附加語 (Attribut) 로 쓰이건 寂述語 CPrädi­

kativ) 로 쓰이건, 아무 區分없이 쓰이지만, 韓國語에서는 大部分의

idg.

語族에 서 처 럼 이 두 形態를 正確히 區分한다.

(j짜) .

ma. inenggi sain; sain inenggi, mo. edür sayin; sayin edür

, 그녁냐 韓國語에셔는

Kor. 좋은 날 ; 날。l 좋다.

그렘으로 韓國語의 形容詞는 Altai語群어l 編入될 수 없고,

lndo-german

語援에 編入된다.

Q

韓國語에 는, 많은 다른 言語들과 마찬가지 로, 形容詞에 11:較級 01 없고,

a)

…보다

(im Vergleichen zu) b)

…며

,

(mehr , weniger)

이 것이 저 것보다 크다.

더 큰

(grösser) ;

덜 큰

(weniger gross) ;

c)

最上級은 가장, 第-→ "(am

meisten)

을 使用 한다.

이 것이 가장 좋다.

(dies ist am meisten schön=Íst am schönsten)

이때의

idg.

suffix “ -tara" 는

Ko

r. 더 (tõ) 와 一꿨한다.

C

7 8

J

東亞강(化 19輯

N "-'6)

폐 詞 (Das

Adverb)

CD

障國릅람의 副詞는 여 러 가지 方式으로 形않렌 다.

a)

많은 경우에 獨立띠이고, 되主마」이다. 껴j플 들면 “갈"

(gut

,

schön) ;

“오늘 "(houte)

;

“이 λ1

" (schnell) ;

“도무지 "

(ganz , vollständig)

等.

b) (J) 語尾 -이 (또는 랴기, →라 -71)와 힘끼11 ; E담빨 되Ij닙꾀 듭편幹 E1띠꾀

아니다. ←→이나 ; 없다 ←→없이;

예사룹디---←{예사쿄이 ; 메르다---빨라 ;

@

述짧認尾

(Konsekutiv Ending) I

) 와 함께 ,

쉰 다----쉬 게 ; 프 뭔-다←←←도불게 ;

1끼르다 U1I1 르게 ;

@ ["←오] 티‘픔으 jf- 펀 5jif즙와 함깨

,

u}로

(gerade) ;

가로

der Breite nach";

@

接續詞

(Konjunktion) I

고 J

(-ko;

go)

결단코 (bestimmt)

;

자구 (in

einem fort);

합부로

(dummerweise) ;

물론하고

(unbekü

:tn

mert) ;

야P 動詞基本形

(Verbalbasisform)

과 함께

,

볼래

(unbewusst) ;

구태

(bestimmt) ;

뜰겨

(gern , freudig);

@ 名詞와 함께

@

處格과 함깨,

낮이11 ; 밤에 ; 전 에

(früher) [sinoko

r.

cãnJ

@ 끽뜯格과 함깨,

여 기 사

(von hier);

거 기 서

(von dort);

@

具格과 함께,

反對로 힘 으쿄

(kräftig) ;

마음으로 ;

(50 I

만 ; 만큼 듯이 처 럼 」 等의 接尾릎 週해 서 .

#펴t國語의 系統폐J 이1 배한 따[究 (~ct 一)

C

7 9

J

Altai語에 있어서도 獨立的인 폐詞기 있다. 例하면, “

tung

”, 갱du"

(hier) , “ esi" (jetzt).

그러 나 大部分의 폐詞들은 名꾀의 Essiγ.Kasus로 形成렌 다.

적 어 도 내 가 보기 에 는, 모든 Altai품듭은 idg. 語듭보다 形態빠造에 있 어사는 原始봐J 이다. 前記에서 例펄한 바와 같이 韓國語에서와 같은 찮 합한 끊O詞形들은 idg語 言語感情의 갚iø홈일 수 있 다.

Greek語나 Latin語와 韓國語에 있어 서 가장 同一하게 람徵 I아]인 것은 副詞形을 語尾0" 록써 構成하는 것이다.

Lat. Ko

r.

roro

“드물게” 바로

gerade";

sero “늦체” 고로 “ gleichm상SSlg ‘’ ;

subito

“캅자기 서로

zusammen" ; tuto

“확실히” 바로소

anfangs"

特色있는 것은 여기에 더우기 副詞構成으로, 또한 Skr.와 韓國語에 있 어 서 의 “Wegen"(後置詞, 또는 前置詞) 이 다.

Skr.

arthêna (Inst

r.)

artham (Ak

k.)

arthâya (Da

t.)

1

arthê (Lok.)

J

Ko

r.

함 으로

(Imt

r.)

(“ 함을”代당.

Akk.)

합에(=하기 때문에)

(Da

t.

u. Lok.)

또한

Skr.

-dâ"

(時間訓꾀)와 韓國語의 「때 j (d섭 zeit) 와플 比較할 수 있다.

Skr. Ko

r.

ka-dâ

(언제, 어느띠D 어느때

(wann?) ,

ta-dâ

(그째

,

)

(damals) ,

Eckart많는 第十章에 시 「動 rì비j , 그리 고 附錄으로서 「밟파’ tt較j (pP.

227-239) 에서 約 립七十餘 語쫓픔 lt較했우나, 紙때 l뼈係노 以下는 띔JlI~

문서에서 韓國語의 (페이지 71-7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