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신보건센터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들의 삶의 질 관련요인을 규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는 가구월수입, 약물순응도, 입원기간, 우울 감, 자아존중감등이 있었는데, 가구 월수입이 100만원 이상인 경우가 미만인 경우보 다, 약물순응도가 높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입원기간이 길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둘째, 주간재활 서비스는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통제되기 전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삶의 질 차이를 보였는데 주간재활 서비스 이용 일수가 긴 경우와 주간재활 프로그램의 일상생활 효과성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삶의 질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투입 된 인구사회학적 변인, 정신질환 및 치료특성, 주간재 활 서비스 특성 및 심리적 특성이 포함된 최종 모델에서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이 60%를 상회하였다.

최근,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이 지역사회 거주 만성 중증정신장애인에서 일반인구 로 그 중심이 이동되고 있는데,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만성 중증정신질환의 재활 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국가와 경기도의 정책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계승 발전시킬 다양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상경, 좌현숙. 지역사회정신보건 재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자기 효능감 및 삶의 질 -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지 2007;33(-):185-213.

강옥경. 정신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 요인: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국승희.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 모델 개발[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김경진, 설지환, 백영석, 김재현.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특성과의 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004;43(5):603-610.

김민경, 이봉건, 전양환.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평정방법에 따른 평정자간 신뢰도와 자기보고식 검사와의 상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003;22(3):685-698.

김소형, 오수성, 이은희, 김현정. 만성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 : 스트레스 대처방 식, 증상,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05;24(1):73-87.

김용분. 정신분열병환자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 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9.

김이영, 박현숙.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과 역량강화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010;19(1):11-21.

김이영. 통합정신사회재활서비스와 재활성과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 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김인경. 정신분열병환자의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김지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3.

김형석.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노은선, 권혜진, 류은정.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 간호과학회지 2001;31(5):912-920.

노인영.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제공 전ㆍ후 정신장애인의 의료비용, 삶의 질, 가 족부담감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류석환.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 : 항정신병 약물의 차이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 약물 태도와 약물 부작용의 관련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5;16(1):42-51.

민성길, 박진균, 서신영, 김동기. 안정화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주관적 삶의 질 에 미치는 Haloperidol과 Risperidone의 영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002;

41(1):76-83.

민성길. 제5판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06.

박애란.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만족도[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변은경, 전성숙.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정신간 호학회지 2011;20(2):157-166.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1 국민건강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

보건복지부. 2011년 정신질환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12.

보건복지부. 2013 보건복지통계연보. 서울: 보건복지부; 2013.

보건복지부. 2014년 정신건강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14.

서호석, 김찬형, 이홍식 등.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병리 주관 및 객관적 평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001;40(6):1122-1131.

신성희, 김윤희, 김정숙.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2006;32(2):113-119.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대한생물치 료정신의학회지 2013;19(1):47-56.

양동석, 국승희, 최 영, 이형영. 정신장애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및

심리적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001;40(6):1044-1054.

오평자.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GAF 척도를 중심으로. [박사학 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유희정, 윤도준, 신영우, 반건호, 김종우.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방식. 대한신 경정신의학회지 1999;38(2):340-348.

이경욱. 박원명. 정신분열병의 새로운 치료목표 : 삶의 질.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6;17(1):13-23.

이은현.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간호학 탐구 2007;16(2):24-38.

이태경.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이 사회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석사 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임순옥.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 교 대학원: 2008.

장창현. 지역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및 관련 정신사회적 요인[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정명숙, 강석임.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 병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08;2008(-):562-563.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서울의대의료관리학교실, 보건복지부. 2012 중앙정신보건 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서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서울의대의료관리학교실, 보

건복지부; 2012.

질병관리본부. 2005년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자료. 서울: 질병관리본부; 2006.

최봉실.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추후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최숙희, 이기호, 정용모. 주간 정신재활서비스 이용 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1;5(3):133-143.

최충식. 채정호, 우동원 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에서 단축형 증상관리 훈련의 효과 : 예비적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40(1):79-80.

통계청. 제6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서울: 통계청; 2012.

한근영. 지역사회 거주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석사학위논문]. 아주대 학교 대학원: 2002.

한금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구조 모형. 정신간호학회 지 2002;11(4):430-442.

한금선, 이평숙, 박은영. 퇴원한 만성 정신 질환자의 삶의 질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01;10(3):265-275.

한영란.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 학원: 1998.

한오수, 이철, 최지욱, 홍진표, 김창윤. 첫 입원치료 받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삶의 질 추적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1997;36(6):987-996.

황태연. 만성정신질환자의 사회통합 촉진 전략. 용인정신의학보. 2001;8(2):121-12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Washingyon, DC: The Association; 1994.

Galuppi A, Turola MC, Nanni MG, Mazzoni P, Grassi L. Schizophrenia and quality of life: how important are symptoms and functi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2010;4(31) doi:10.1186/1752-4458-4-31.

Awad AG, Voruganti LNP. Quality of life and new antipsychotics in schizophrenia:

are patients better off.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1999;45:268-275.

Beck A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6.

Chou CY, Ma MC, Yang TT. Determinants of subjecti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2014;154(1-3):83-88.

Eaton WW. "Epidemiology of Schizophrenia" Epidemiologic Review 7. 1985;105-126.

Koivumaa-Honkanen HT, Honkanen R, Antikainen R, Hintikka J, Viinamäki H.

Self-reported life satisfaction and treatment factor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jor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1999;99(5):377-384.

Kunikata H, Mino Y, Nakajima K.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c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the relationships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bjective indicators and self-esteem.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2005;59(2):163-169.

Lehman AF. The well-being of chronic mental pati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83;40:369-373.

Mesbah M. Cole BF. Lee MT. Statistical methods for quality of life studies.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Lanfredi M, Candini V, Buizza C. The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oi:10.1016/j.psychres. 2014.01.045. Epub 2014 Feb 6.

Ruggeri M, Gater R, Bisoffi G, Barbui C, Tansella M. Determinant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ttending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ervices. The South-Verona Outcome Project 5.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2002;105:131-140.

Nakamura H, Watanabe N, Matsushima 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schizophrenic patients in Japan.

Mental Health System. doi:10.1186/1752-4458-8-32. eCollection 2014.

Rocca P, Giugiario M, Montemagni C, Rigazzi C, Rocca G, Bogetto F. Quality of life and psychopathology during the course of schizophrenia. Comprehensive Psychiatry 2009:50(6)542–54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Spiridonow K, Kasperek B, Meder J.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nd in healthy persons. Psychiatria Polska 1998;32(3):297-306.

WH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WHOQ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Social Science Medicine 1998;46(12):1569-1585.

부 록

1. 피험자 설명문 및 동의서

2. 설문조사 도구

3.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서

4. 측정도구 허락 승인 메일 가. 삶의 질

나. 자아존중감

다. 우울감

[Abstract]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Utilizing Day Care Service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onyoung Ki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unhwan Lee, MD, DrPH)

In recent years, the aim of the treatment for schizophrenics has been focused on maintaining their fun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QOL), other than simply relieving sympto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QOL of schizophrenics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CMHC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50 schizophrenics enrolled in the CMHC day care service in 10 cities of Gyeonggi Provinc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y interviewer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QOL of schizophrenics.

Higher family income, higher compliance with medications, longer hospitalization stays, less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QOL. In addition,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s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higher QO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er participation in and higher satisfaction of day care service in CMHC.

Th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such as occupational rehabilitation, education to improve treatment compliance, management of depressive symptoms,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empowerment of day care services, to improve QOL of severely mentally ill attending CMHCs should be given high prior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QOL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Keyword: schizophreni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quality of life, day care service, depression, self-esteem.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