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 Maeda (1998 )등의 선행연구의 고찰

5) Crist 등의 선행 연구의 고찰

Crist et al., (1987)등은 운동과 면역체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을 투여한 결과 성장호르몬의 증가와 함께 체 지방이 감소하고, NK(Natural Killer) 세포가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NK세포는 인체기관에서 종양이나 암세포를 식 세포 작용(phagocyte)으로 용해시키 는 세포로서 중요한 면역세포중의 하나이다. 어떤 원인으로 성장호르몬의 증가와 NK 세포와의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즉, 상호관계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 지 못했다. 또한 Kappel et al., (1991) 등의 연구자들도 운동으로 단련된 엘리트 선수 들을 대상으로 epinephrine 과 NK세포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실험을 하였으나, 인공 적으로 합성된 epinephrine 투여한 군과 비교 분석한 결과 운동으로 생성되는 epinephrine과 비교한 결과 인공적으로 합성된 epinephrine을 투여한 집단과 운동으로 epinephrine이 생성된 집단이 NK세포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Pederson et al., (1989) 등의 연구자들도 오랜 운동으로 단련된 선수집단과 비 선수집단에서의 NK cell, lymphocytes 등의 면역세포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운동선 수집단이 NK cell, lymphocytes 등의 면역세포가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으나 이러한 원인, 즉 운동과 면역체계의 상호관계를 명확히 밝히지 못하였다.

그러나 Crist et al., (1987), Pederson et al., (1989) Kappel et al., (1991) 등의 많은 연구자들은 운동과 면역체계의 상호관계성을 밝히는데는 호르몬과의 생리학적인 해결 방법으로 접근하였는데, 생리학적인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Donald, (1998)는 '근육에서의 유전자 발현과 전사작용의 조절의 연구의 결론으로 다 음과 같은 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운동으로 인한 RNA와 근육단백질의 증가는 insulin binding and MAP Kinase signaling으로 생각된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부연설명하자면, 성호경(1995) 등에 의하면 분자의 크기가 작고 지방용해성인 지방호르몬들은 표적세포에 도달하면 단백 호르몬들과 달리 세포 내에

확산하여 들어간다. 세포 내에 들어온 호르몬들은 세포질에 있는 특정 수용체와 결합 하게 되고 결합한 호르몬-수용체 결합물은 핵 내로 들어가서 특정 유전자(specific gene)를 활성화하여 특정한 mRNA를 형성을 전사(transcription)라고 논하였다.

또한, mRNA는 세포질로 확산해온 다음 ribosome에서 특정 단백질을 새로이 형성한 다 이러한 세포내의 작용을 번역(translation)라고 논하였다. 지방호르몬은 효소나 운 반 단백과 단백질을 신생하여 호르몬의 기능을 발휘한다고 논하였다. 그러므로, 지구 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으로 인한 호르몬 등의 증가는 mRNA와 근육단백질의 증가도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기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fig- 11>.

Fig- 11. 지방 호르몬의 작용방식. Hs =지방호르몬, BP = 결합단백질.

예를 들자면; Crist et al., (1987), Pederson et al., (1989) Kappel et al., (1991) 등의 많은 연구자들은 운동과 면역체계의 상호관계성을 밝히는데는 호르몬과 생리학적인 해결방법으로의 접근은 분자생물학적인 중심가설을 이용하여 설명되어질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자의 고찰결과 부연하자면, 운동으로 인한 성장호르몬의 증가는 세포막에 성 장호르몬의 수용체의 증가를 촉진 시켜 보다 많은 호르몬과 수용체의 결합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즉, 정상적인 상태보다는 운동으로 인한 수용체의 증가는 성장호르몬 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고, 보다 많은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도록, DNA와 RNA 등의 유전자는 변하게 될 것이다. 이때 세포막 안에서는 Phosphorylation작용이 활성화되어, MAP kinase의 작용이 촉진시키게 되며, MAP kinase는 직접적으로 nucleus안의 유전 자들을 변화시켜 면역작용의 활성화를 도출한다고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