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저항성 운동과 유전자 조절물질들과 상관 관계에 관한 결론

저항성 운동과 유전자 조절물질들과 상호관계성에 연구고찰결과 웨이트 베어링 운동은 분명히 근세포의 mRNA의 양과 작용을 증가시키는데는, 후전사(posttranscriptional)기능이 중요하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자의 견해로서는 이는 저항성 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과부 하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근육의 단백질 합성이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1-2일 정도 시 간이 경과되면 DNA 에서의 mRNA를 생성시키는 분자신호(molecular signals)들이 증 가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즉, 운동으로 인한 mRNA가 보다 많은 단백질 생성작 용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초래 한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운동으 로 인한 D N A의 형질변화와 단백질의 증가는 운동이라는 환경 적인 복합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고찰을 종합해보면, 저항성운동은 D N A를 자극하여 mRNA 후전사를 촉진 시켜 근세포, 체 조직의 형질단백질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저항성 운동은 자극을 통해서 근세포의 내에서의 DNA의 변화로 인해서 RNA 의 작용이 증가되어, 단백질 생성을 촉진한다고 생각되어지며,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항성 운동은 RNA의 전사작용(transcriptional activity)을 향상시키고, 단백질을 만드는 번역작용을 자극하여(translating existing) 근육의 작용 이 변화하고, 근 비대가 발생한다고 생각되어진다.

3) PCR 실험방법의 차이에 따른 운동과 유전물질들의 상호관계 관한 결론

(1) 장기간의 지구성 운동으로 발생하는 cardiac muscle의 수축력이 강하여, stroke volume 확장되어 적은 심박수로도 충분한 혈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심 폐기능의 향상현상인 sports heart 원인들을 분자생물학적인 접근방법으로 고찰 한 결과 지구성 심폐 운동은 좌심실 심근세포의 혈관내피(endothelial- 1, ET - 1) 유전자 조절물질인 mRNA의 정보수행능력의 향상의 결과이며, 심방질환인 심 부전과 비독립적이며, 병리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유전자 발현현상이 발 생학적으로 분명히 같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운동으로 인한 면역기관의 기능향상과 이러한 연구결과 바탕으로는 운동으로 인 한 glutamine의 농도의 변화가 면역기관의 면역세포의 DNA, RNA, Protein의 생산 량과 유지,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심한 운동을 하는 선수들 (overtrained athlete)의 면역 세포 내에 glutamine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데, 이로 인해 과도한 트레이닝으로 인한 면역기능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대 산소 섭취량의 >70% Vo2max 정도의 운동은 오히려 면역기관의 세 포 glutamine의 생산량을 증대시켜서 DNA, RNA, Protein의 안정적인 복제와 전사 량을 증대시킬 것으로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3) PAGE 실험방법의 차이에 따른 운동과 유전물질들의 상호관계 관한 결론

(1

) 골격근의 근세포를 통해 고찰해본 결과, Myosin Heavy Chain(MHC)에서의 이 론적 배경에서 설명되어진 것 같은 메커니즘으로, 운동으로 인한 돌연변이가 발 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골격근의 근원섬유의 유전자 변화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운동으로 인한, 강화변조물질(enhancer modules) 즉, DNA에서 RNA의 전사신호 를 받은 조절 부위에서의 특정영역에서 특유한 성질을 가진 유전자 변조물질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운동으로 인한 면역세포들의 운동 중, 후의 증가와 감소는 epinephrine의 호르몬 의 증가와 면역기관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이는 분자생물학적인 접근 적인 해석으로는 운동으로 인한 면역 세포 내, 세포의 변화는 insulin binding and MAP Kinase signaling의 증가로 인한 DNA, RNA의 전사량과 단백질 생산 량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증가, 또는 감소의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