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DHD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은하(2013: 59) ADHD에 대한 초등 교사의 지식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ADHD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문항으로 4가지 하위영역인 ADHD의 일반적인 특성 4문항, 진단 및 원인 5문항, 행 동특성 8문항, 약물치료 4문항으로 나누었고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설문 문 항은 3점 척도(모르겠다(0), 그렇다.(1), 그렇지 않다.(2))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구체 적인 설문지 문항 구성은 다음 <표3-2>와 같다.

<표3-2> 설문지 문항 구성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수

ADHD에대한 교사의 인식

일반적인 특성 Ⅰ-1.2.3.4

21문항 진단 및 원인 Ⅰ-5,6,7,8,9

행동 특성 Ⅰ-10,11,12,13,14,15,16,17

약물 치료 Ⅰ-18,19,20,21

2. ADHD 교육적 중재 활동 측정 도구

ADHD에 대한 교사들의 교육적 중재 활동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자경(2006:

67) 특수교육 연수 여부에 따른 ADHD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를 알아보기 위해 수 행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최미녀(2014: 66)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유아에 대 한 교사 인식 및 교육적 중재 방안 연구로 수행된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교육적 중 재활동 설문 문항의 구분을 교수적 조정과 교실 환경 개선으로 나누어 설문 문항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ADHD학생에 대한 교육적 중재 활동 실태 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문항으로 각 문항은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 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적 중재를 많이 하 는 것을 의미한다. 본 설문 문항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설문지 문 항 구성은 다음 <표3-3>와 같다.

<표3-3> 설문지 문항 구성

3. ADHD에 대한 인식 및 교육적 중재 활동 측정 도구 신뢰도 분석 결과

ADHD에 대한 인식 및 교육적 중재 활동 측정 도구 신뢰도 분석은 다음 <표3-4>와

구분 문항 번호 문항수

ADHD에 대한 교사의 교육적 중재 활동

교실환경 조성 1∼7번 문항 (7문항)

16문항

교수적 조정 8∼16번 문항 (9문항)

같다.

<표3-4> 설문지 문항 구성

지식 및 교육적 중재 활동 항목에 대한 안정성, 일관성 및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 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를 신뢰도 계수로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0.6 이상을 기준으로 신뢰성을 평가하기로 하는 것으로 한 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에 의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지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영역에서 0.8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수준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구분 Cronbach의 알파

ADHD 교사의 인식

1. ADHD의 특성 .874

2. 진단 및 원인 .876

3. 행동특성 .885

4. 약물치료 .824

지식(전체) .899

ADHD에 대한 교사 의 교육적 중재 활동

교실환경조정 .845

교수적 조정 .870

교육적 중재활동(전체) .912

제4절 자료 처리

본 연구는 ADHD 아동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교육적 중재 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 가 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일반적 사항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교육적 중재 활동의 차이 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인 Ttest와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와 교육적 중재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 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 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제4장 연구 결과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한 정답률에서 하위 항목별로 살펴보면, ADHD 특

일하다.’의 경우 정답률이 6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단 및 원인의 경우 ‘다.

ADHD는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에 따라 더 악화 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이 93.0%

로 높게 나타났으며, ‘라. MRI와 같은 뇌 사진을 찍어보면 ADHD에 대한 정확한 진단 이 가능하다.’의 경우에는 33.7%로 낮게 나타났다. 행동특성의 경우 ‘다. ADHD 아동들 은 물건들을 정리, 정돈 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다.’ 의 경우가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 며, ‘가. ADHD아동은 그 증상들을 부모는 모르게 학교에서만 드러낼 수 있다.’ 의 정답 률이 낮게 나타났다. 약물치료의 경우에는 ‘라. 약물치료를 장시간 동안 받았다면 잠시 끊어도 ADHD증상의 변화가 없다.’가 81.9%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 ADHD 의심 아동에게 약물을 투여하여 효과가 있으면 ADHD라 할 수 있다.’ 의 경우에는 정 답률이 31.5%로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ADHD에 관한 전체 지식수준의 정 답률을 살펴보면, 하위영역인 ADHD 특성면에서 ‘다. ADHD에는 주의력 결핍형과 과 잉행동, 충동성이 있다.’ 의 경우 정답률이 9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인 약물치료 면에서 ‘다. ADHD 의심 아동에게 약물을 투여하여 효과가 있으면 ADHD라 할 수 있다.’ 의 정답률이 31.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2.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답률

초등학교 교사들의 ADHD에 관한 전체 지식 및 이해 정답률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 음 <표4-2> 과 같이 나타났다.

<표4-2> ADHD에 대한 영역별 지식 및 이해 정답률

평균 표준편차 정답률(%)

ADHD의 특성 .82 .190 82.4

진단 및 원인 .67 .203 67.4

행동특성 .77 .180 76.5

약물치료 .51 .261 51.4

지식(전체) .71 .115 70.7

〔그림4-1〕 ADHD에 대한 영역별 지식 및 이해 정답률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한 정답률을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서는 정답 률이 8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동특성 76.5%, 진단 및 원인 67.4%, 약물치료 51.4%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평균은 70.7%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HD에 대 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한 정답률에서 ADHD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답률을 보였 으며, 약물치료에 대한 지식 및 이해는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3.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도 차이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가. 성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 음 <표4-3> 과 같이 나타났다.

<표4-3> 성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나. 연령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20대 26 14.81 2.315

1.953 .123 30대 65 14.91 2.644

40대 62 14.26 2.261 50대 33 15.48 2.333 합계 186 14.78 2.441

연령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서 20대

10년~15년 42 3.38 .697 15년~20년 32 3.34 .902 20년이상 44 3.27 .758

10년~15년 42 3.45 1.017 15년~20년 32 3.28 .924

20년이상 44 3.27 1.086 합계 186 3.34 1.018

경력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서 5년 5년~10년 42 6.26 1.594

10년~15년 42 6.05 1.378 15년~20년 32 5.81 1.575 20년이상 44 6.32 1.137

10년~15년 42 2.02 1.047 15년~20년 31 1.97 .983

20년이상 44 1.91 1.197 합계 185 2.04 1.047

지식(전체)

5년미만 26 14.73 2.164

.385 .819 5년~10년 42 15.02 2.599

10년~15년 42 14.90 2.536 15년~20년 32 14.34 2.364 20년이상 44 14.77 2.467 합계 186 14.78 2.441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으나,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단 및 원인, 행동특성, 약물치료의 경우에 경력별에 따른 지식 및 이해도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력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라.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6> 과 같이 나타났다.

<표4-6>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scheffe

ADHD의특성

1,2학년(저) 68 3.22 .709

.550 .578 3,4학년(중) 57 3.28 .774

5,6학년(고) 61 3.36 .797 합계 186 3.28 .757

진단 및 원인

1,2학년(저) 68 3.44 1.056

1.123 .328 3,4학년(중) 57 3.18 1.002

5,6학년(고) 61 3.38 .986 합계 186 3.34 1.018

행동특성

1,2학년(저) 68 6.16 1.389

.101 .904 3,4학년(중) 57 6.05 1.420

5,6학년(고) 61 6.15 1.526 합계 186 6.12 1.437

약물치료

1,2학년(저) 68 1.96 1.112

5.937** .003 c>a>b 3,4학년(중) 57 1.77 1.086

5,6학년(고) 60 2.40 .827 합계 185 2.04 1.047

지식(전체)

1,2학년(저) 68 14.78 2.285

2.338 .099 3,4학년(중) 57 14.28 2.757

5,6학년(고) 61 15.25 2.234 합계 186 14.78 2.441

**p<.01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 서 1,2학년(저학년)은 3.2점 3,4학년(중학년)은 3.2점, 5,6학년(고학년)은 3.3점을 보였고 진단 및 원인에서는 1,2학년(저학년)은 3.4점 3,4학년(중학년)은 3.1점, 5,6학년(고학년)은 3.3점을 보였다. 또한 행동특성 면에서는 1,2학년(저학년)은 6.1점 3,4학년(중학년)은 6.0 점, 5,6학년(고학년)은 6.1점을 보였고 약물치료에서는1,2학년(저학년)은 1.9점 3,4학년 (중학년)은 1.7점, 5,6학년(고학년)은 2.4점을 보였다.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 한 지식 및 이해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약물치료의 경우 5, 6학년이 상대적으로 높은 2.40점으로 나타났으며, 3, 4학년은 낮은 1.77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5.937, p<.01).

이러한 결과는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 도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지식의의 경우 학년이 높은 5, 6학년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학년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7> 과 같이 나타났다.

<표4-7>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표4-8>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제2절 교사의 배경 변인별 교육적 중재 활동

2. 연령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연령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20대는 3.5점, 30대는 3.6점, 40대는 3.4점, 50대

10년~15년 42 3.65 .689 15년~20년 31 3.56 .761 20년이상 43 3.48 .804

10년~15년 42 3.60 .654 15년~20년 31 3.71 .692 20년이상 43 3.61 .842 합계 184 3.61 .733

경력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4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5점, 20년 이상은 3.4점을 보였고 교수적 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6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7점, 20년 이상은 3.6점을 보 였다.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15년~20년의 경우 3.64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년~10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으나, 유 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수적 조정의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교육적 중재 활동의 경우 10년~20년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 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경력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4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5점, 20년 이상은 3.4점을 보였고 교수적 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6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7점, 20년 이상은 3.6점을 보 였다.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15년~20년의 경우 3.64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년~10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으나, 유 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수적 조정의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교육적 중재 활동의 경우 10년~20년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 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