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도 차이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가. 성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 음 <표4-3> 과 같이 나타났다.

<표4-3> 성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나. 연령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20대 26 14.81 2.315

1.953 .123 30대 65 14.91 2.644

40대 62 14.26 2.261 50대 33 15.48 2.333 합계 186 14.78 2.441

연령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서 20대

10년~15년 42 3.38 .697 15년~20년 32 3.34 .902 20년이상 44 3.27 .758

10년~15년 42 3.45 1.017 15년~20년 32 3.28 .924

20년이상 44 3.27 1.086 합계 186 3.34 1.018

경력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서 5년 5년~10년 42 6.26 1.594

10년~15년 42 6.05 1.378 15년~20년 32 5.81 1.575 20년이상 44 6.32 1.137

10년~15년 42 2.02 1.047 15년~20년 31 1.97 .983

20년이상 44 1.91 1.197 합계 185 2.04 1.047

지식(전체)

5년미만 26 14.73 2.164

.385 .819 5년~10년 42 15.02 2.599

10년~15년 42 14.90 2.536 15년~20년 32 14.34 2.364 20년이상 44 14.77 2.467 합계 186 14.78 2.441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으나,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단 및 원인, 행동특성, 약물치료의 경우에 경력별에 따른 지식 및 이해도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력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라.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6> 과 같이 나타났다.

<표4-6>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scheffe

ADHD의특성

1,2학년(저) 68 3.22 .709

.550 .578 3,4학년(중) 57 3.28 .774

5,6학년(고) 61 3.36 .797 합계 186 3.28 .757

진단 및 원인

1,2학년(저) 68 3.44 1.056

1.123 .328 3,4학년(중) 57 3.18 1.002

5,6학년(고) 61 3.38 .986 합계 186 3.34 1.018

행동특성

1,2학년(저) 68 6.16 1.389

.101 .904 3,4학년(중) 57 6.05 1.420

5,6학년(고) 61 6.15 1.526 합계 186 6.12 1.437

약물치료

1,2학년(저) 68 1.96 1.112

5.937** .003 c>a>b 3,4학년(중) 57 1.77 1.086

5,6학년(고) 60 2.40 .827 합계 185 2.04 1.047

지식(전체)

1,2학년(저) 68 14.78 2.285

2.338 .099 3,4학년(중) 57 14.28 2.757

5,6학년(고) 61 15.25 2.234 합계 186 14.78 2.441

**p<.01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도를 살펴보면, ADHD의 특성에 서 1,2학년(저학년)은 3.2점 3,4학년(중학년)은 3.2점, 5,6학년(고학년)은 3.3점을 보였고 진단 및 원인에서는 1,2학년(저학년)은 3.4점 3,4학년(중학년)은 3.1점, 5,6학년(고학년)은 3.3점을 보였다. 또한 행동특성 면에서는 1,2학년(저학년)은 6.1점 3,4학년(중학년)은 6.0 점, 5,6학년(고학년)은 6.1점을 보였고 약물치료에서는1,2학년(저학년)은 1.9점 3,4학년 (중학년)은 1.7점, 5,6학년(고학년)은 2.4점을 보였다.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 한 지식 및 이해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약물치료의 경우 5, 6학년이 상대적으로 높은 2.40점으로 나타났으며, 3, 4학년은 낮은 1.77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5.937, p<.01).

이러한 결과는 담임 학년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정 도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지식의의 경우 학년이 높은 5, 6학년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학년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7> 과 같이 나타났다.

<표4-7>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표4-8>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ADHD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제2절 교사의 배경 변인별 교육적 중재 활동

2. 연령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연령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20대는 3.5점, 30대는 3.6점, 40대는 3.4점, 50대

10년~15년 42 3.65 .689 15년~20년 31 3.56 .761 20년이상 43 3.48 .804

10년~15년 42 3.60 .654 15년~20년 31 3.71 .692 20년이상 43 3.61 .842 합계 184 3.61 .733

경력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4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5점, 20년 이상은 3.4점을 보였고 교수적 조정에서는 5년 미만은 3.5점 5년~10년은 3.6점, 10년~15년은 3.6점, 15년~20년은 3.7점, 20년 이상은 3.6점을 보 였다.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15년~20년의 경우 3.64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년~10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으나, 유 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수적 조정의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교육적 중재 활동의 경우 10년~20년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경력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 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4. 담임 학년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초등학교 교사들의 담임 학년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12>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2> 담임 학년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교육적

중재 활동(전체)

5년미만 26 3.57 .684

.146 .965 5년~10년 42 3.54 .715

10년~15년 42 3.62 .625

15년~20년 31 3.64 .661

20년이상 43 3.56 .798

합계 184 3.58 .697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표4-13>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3> 지도 경험 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구분 지도 경험 N 평균 표준편차 t p

교실 환경조정

예 133 3.59 .771

1.274 .204 아니요 51 3.43 .804

교수적 조정

예 133 3.68 .705

1.839 .068 아니요 51 3.46 .785

교육적 중재 활동(전체)

예 133 3.64 .672

1.712 .089 아니요 51 3.44 .745

지도 경험 별에 따른 교실 환경조정에서는 지도 경험이 있는 경우 3.5점, 지도 경험 이 없는 경우에는 3.4점을 보였고 교수적 조정에서는 지도 경험이 있는 경우는 3.6점.

지도 경험이 없는 경우는 3.4점을 나타냈다. 경험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정도(전 체)를 살펴보면, 지도 경험이 있는 경우 3.64점, 지도 경험이 없는 경우 3.44점으로 나 타나, 지도 경험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교육적 중재 활동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지도 경험 별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6.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초등학교 교사들의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14>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4>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교실환경 조정

예 68 3.64 .879

1.222 .223 아니요 116 3.49 .716

교수적 조정

예 68 3.72 .805

1.458 .146 아니요 116 3.55 .684

교육적 중재 활동(전체)

예 68 3.68 .790

1.467 .144 아니요 116 3.53 .632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실 환경 조정에서는 연수에 참가한 경우에는 3.6점, 연수에 참가 하지 않은 경우에는 3.4점을 보였고 교수적 조정에서는 연수에 참가한 경우는 3.7 점. 연수에 참가 하지 않은 경우는 3.45을 나타냈다.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 재 활동 정도(전체)를 살펴보면, 연수에 참가한 경우 3.68점으로 높은 지식을 보였으며, 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3.53점으로 낮은 지식을 보였음을 알 수 있으나,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변인 교실 환경조정과 교수적 중재의 경우에도 연수에 참가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제3절 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초등교사의 ADHD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 분석

알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가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가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16>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6>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가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구분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B SE β

(상수) 2.294 .301 7.626 .000

지식전체 .087 .020 .307 4.351*** .000

R제곱(수정)=.294(.289), F=18.934***(.000)

* p<.05, **p<.01, ***p<.001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면, β=.307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p<.001).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가 높으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설명력은 28%로 나타났다.

3.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17>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7>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구분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통계량

B SE β

공차한계 VIF

(상수) 2.413 .316 7.644 .000

ADHD의

특성 .033 .067 .035 .485 .629 .935 1.070

진단 및 원인 .103 .050 .152 2.061* .041 .923 1.084

행동특성 .072 .034 .150 2.105* .037 .984 1.016

약물치료 .134 .048 .202 2.824** .005 .978 1.023

R제곱(수정)=.204(.283), F=5.168***(.001)

* p<.05, **p<.01, ***p<.001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에서 다중 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 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진단 및 원인이 교육적 중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β=.152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행동특성 β=.150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약물 치료 β=.202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1).

이러한 결과는 진단 및 원인, 행동특성, 약물치료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가 높으면 교 육적 중재 활동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설명력은 28%로 나타났다.

4.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실 환경조정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실 환경조정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 <표4-18> 과 같이 나타났다.

<표4-18>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실환경 조정에 미치는 영향

구분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 통계량

B SE β

공차한계 VIF

(상수) 2.306 .358 6.448 .000

ADHD의특성 .044 .076 .043 .580 .562 .935 1.070 진단 및 원인 .141 .057 .184 2.480* .014 .923 1.084 행동특성 .069 .039 .127 1.762 .080 .984 1.016 약물치료 .100 .054 .133 1.847 .066 .978 1.023

R제곱(수정)=.186(.165), F=4.204**(.003)

* p<.05, **p<.01, ***p<.001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 하위변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 하위 변인 교 실 환경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단 및 원인이 교육적 중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면, β=.184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다른 변인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진단 및 원인에 대 한 지식 및 이해도가 높으면 교육적 중재 활동 하위변인 교실 환경조정에 대한 인식은

다른 변인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진단 및 원인에 대 한 지식 및 이해도가 높으면 교육적 중재 활동 하위변인 교실 환경조정에 대한 인식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