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평생교육에 관한 교육요구

1) 앞으로 받고 싶은 평생교육의 유형

향후 받고 싶은 평생교육의 유형을 묻는 문항이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을 ① 자격증 취득, 취업 등 직업기술교육 ② 기초 교양․강좌 ③ 취미, 오락, 여가 교육 ④ 시민교 육, 경제생활교육 ⑤ 건강, 보건, 스포츠교육 ⑥ 학력인정교육 ⑦ 외국어교육 ⑧ 기타

로 분류, 제시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결과는 <표Ⅳ-26>에 나타나 있다. 215 84(31.1) 29(10.7) 15(5.6) 6(2.2) 16(5.9) 17(6.3) 47(17.4) 1(.4) 215(79.6)

전 체 270 106(39.3) 34(12.6) 20(7.4) 8(3.0) 27(10.0) 21(7.8) 53(19.6) 1(.4) 270(100)

20-30대 178 79(29.3) 22(8.1) 11(4.1) 4(1.5) 13(4.8) 16(5.9) 33(12.2) 178(65.9)

16.411 0.289

향후 받고 싶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자격증취득, 기술교육’이 39.3%로 가 장 많이 나타났고, ‘외국어교육’, ‘기초교양강좌’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보면 현 재 제주도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주로 직업기술, 외국어교육에 편중되어 있으며 이런 경향이 학습자들이 수요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배경별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는 ‘직업기술교육’, ‘건강보건 교육’,

‘외국어교육’ 순으로 나타났고 여자는 ‘직업기술교육’, ‘외국어교육’, ‘건강보건 교육’ 순 으로 나타나 남녀차이는 의미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연령별로 보면 각 연령 모두 ‘직업기술교육’과 ‘외국어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0대의 경우 ‘건강보건교육’에 대한 관심도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 보면, 각 학력별 응답자 모두 ‘직업기술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각 학력별로는 중졸은 ‘건강보건교육’으로 나타났으나 고졸이상은 ‘외국어교육’으 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응답결과를 보면, 제주시는 ‘자격증취득, 취업․기술’, ‘기초․교양강좌’ 순 으로 나타났고, 서귀포시는 ‘자격증취득, 취업․기술’, 건강․보건 스포츠 순으로, 북 제주군은 ‘자격증취득, 취업․기술’, 외국어교육 순으로, 남제주군은 ‘외국어교육’, ‘기 초․소양교육’ 순으로 나타나 지역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직업별로는 전문직, 영업사무, 가정주부, 무직, 기타는 ‘직업기술교육’과 ‘외국어교육’

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농․임․수산업은 ‘건강보건교육’이 자영업은 ‘기초교양교육’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직업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앞으로 받고 싶어하는 평생교육 교육기간

향후 받고 싶은 교육프로그램의 교육기간을 묻는 문항이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을

① 1주일미만 ② 1주일-1개월 미만 ③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④ 3개월 이상-6개월 미만 ⑤ 6개월 이상-1년 미만 ⑥ 1년 이상- 2년 미만 ⑦ 2년 이상으로 분류, 제시하

여 응답하게 하였다. 이 결과는 <표Ⅳ-27>에 나타나 있다. 213 1(.4) 7(2.6) 52(19.4) 70(26.1) 50(18.7) 26(9.7) 7(2.6) 213(79.5)

전 체 268 3(1.1) 9(3.4) 61(22.8) 88(32.8) 67(25.0) 30(11.2) 10(3.7) 268(100)

20-30대 177 1(.4) 6(2.2) 36(13.4) 64(23.9) 45(16.8) 21(7.8) 4(1.5) 177(66.0)

11.412 0.494

학습자들이 향후 받고 싶어하는 평생교육 교육기간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별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순으로 나타났고 여자는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 순인 것으로 나타나 약간의 성 별차이가 있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는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순으로 나타났고 40대는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1개월 이상 3개 월 미만’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 순이다. 50대는 ‘1개 월 이상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과 ‘3개 월 이상 6개월 미만’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 보면, 대부분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나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거주지별로는 제주시와 북군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서귀 포시와 남군은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영업사무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다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습자가 받고 싶어하는 교육 시기

다음은 학습자들이 향후 교육받고 싶어하는 교육시기를 묻는 질문이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을 ① 평일 오전 ② 평일 낮 ③ 평일 오후 ④ 주말 낮 ⑤ 주말 오후 ⑥방학기 간 중으로 분류․제시하고 응답하게 하였다. 이 결과는 <표Ⅳ-28>에 나타나 있다.

<표Ⅳ-28> 학습자가 받고 싶어하는 교육 시기 214 74(27.6) 13(4.9) 57(21.3) 19(7.1) 41(15.3) 10(3.7) 214(79.9)

전 체 268 80(29.9) 16(6.0) 72(26.9) 25(9.3) 59(22.0) 16(6.0) 268(100)

20-30대 177 58(21.6) 11(4.1) 46(17.2) 13(4.9) 38(14.2) 11(4.1) 177(66.0)

8.955 0.536

은 ‘평일 오후’, ‘주말 오후’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해석된 다. 즉 일반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정규시간 이후 즉 주말 혹은 평일 저녁이 가 장 선호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 결과를 보면 정규시간 내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아마도 이 설문지 응답 대상이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대학과 같은 정규시간 내에 강의를 수강했던 경험이 작용하였고 또 비학생층도 학생과 같은 일상생활을 경험하고 싶은 내적 욕구가 포함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개인배경별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는 ‘주말오후’, ‘평일 오후’ 순으로 나타났고 여자는 ‘평일 오전’, ‘평일 오후’ 순으로 나타나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여자응답자의 경우 전업주부인 경우가 많이 있어 상대적으로 여가시간이 많은 평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비해 남자는 직 장 일과시간이 끝나는 주말이나 평일 오후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는 ‘평일 오전’, ‘평일 오후’ 순으로 나타났고 40대는 ‘평일 오 전’과 ‘평일 오후’가 같게 나타났으며 50대는 ‘평일 오후’와 ‘주말 오후’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 보면, 고졸과 전문대졸은 ‘평일 오전’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중졸은 ‘주 말 낮’ 대졸은 주말 오후‘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P<.01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거주지별로는 제주시와 남군은 ‘평일 오전’을 서귀포시는 ‘평일 오후’를 북군은 ‘주 말 오후’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은 ‘평일 오후’ 행정사무는 ‘주말 오후’, 영업사무 ‘주말 오후’, 농․임․수산업 ‘주말 오후’, 가정 주부 ‘평일 오전, 자영업 ‘평일 오후’, 무직 ‘평일 오 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문항에 비해 직업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직업에 따라 일과시간과 여가시간이 다르고 따라서 평생교육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4) 평생교육을 위해 월평균 부담할 수 있는 학습비용

평생교육을 위해 월평균 부담할 수 있는 교육비용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10 만원 미만’이 60.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10만원 이상과 30만원 미만’이 그 다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별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는 ‘10만원 미만’ (49.1%),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 (34.5%)로 나타났고 여자는 ‘10만원 미만’ (64.5%) ‘10만원 이상 30 만원 미만’ (23.4%) 인 것으로 나타나 수치상으로 남녀간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연령별로는 20-30대, 40대, 50대 모두 ‘10만원 미만’과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 순 으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모두 ‘10만원 미만’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나 중졸인 경우 ‘전혀 없다’

(22.2%)도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각 직업별 모두 ‘10만원 미만’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다. 다만 농․

임․수산업인 경우 ‘3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Ⅴ. 요약 및 결론

1. 요 약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학교졸업 후 계속교육은 필수적이다. 사회와 삶 의 양식 변화로 인해 교육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도 매우 다양화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평생교육은 오늘날 매우 중요한 교육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여러 가지 교육적 여건상 지역사회에서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의 기여와 역할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정과 관련하여 이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의 교육요구를 조사․분석하여 대학의 평생교육 프 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재 제주지역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고 있 다. 대략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수는 146개 내외이다. 프로그램의 유형별 순위를 보면 개인적 욕구충족 프로그램(64개, 43.8%) > 소득증대 프로그램(45개, 30.8%) >

학력인정 프로그램(27개, 18.5%) > 미래지향적 프로그램(7개, 4.8%) >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3개, 2.1%) 순이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이 지나치게 개인적 욕구충족 프로그램에 집중, 개설되고 있으 며, 특히 각 기관이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설하기보다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중복 개 설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렇다면 각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수 강했던 학습자들의 생각은 어떨까? 이 연구의 목적이 여기에 있었거니와,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평생교육원 학습자 32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 시 하였으며, 그 중에서 응답 내용이 충실한 272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에의 참여동기와 장애요인

(1) 학습자들이 “현재의 강좌에 등록하게 된 동기”로는 ‘취업, 전직, 자격증 취득

(1) 학습자들이 “현재의 강좌에 등록하게 된 동기”로는 ‘취업, 전직, 자격증 취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