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연구 방향

문서에서 이민정책 재정지출구조 분석: (페이지 91-96)

□ 이 연구에서는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이민정책의 범위를 최광의로 정하고 이와 관련한 중앙부처들의 세부사업

75

개를 분석하였음

○ 75개의 세부사업 중 일부는 사업전체가 외국인 또는 이민정책을 위한 예산이 아니라, 내국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들이 있었으 므로 75개 전체 사업의 예산이 모두 이민정책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음

○ 하지만 세부사업예산 내의 예산편성현황을 공개된 자료가 아니므로 자료수집이 불가능하여 더욱 세밀하게 연구를 진행하지 못했다는 한 계가 있음

○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이민정책의 재정을 논할 때 대체로 외국인정 책기본계획 및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상의 예산의 단순합으로 제시 하였다는 데에서 진일보했다는 의의가 있음

□ 향후 연구에서는 중앙부처의 예산규모 파악에서 더 나아가 지방자치단 체의 이민정책 예산규모와 그 내용

,

특성 그리고 시사점에 대한 연구를 시리즈로 수행할 예정임

○ 또한 이 연구를 교두보 삼아 이민정책과 관련한 재정규모와 지출내용 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이민정책예산이 다양한 다른 정책 또는 정책 수혜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도 깊게 진행할 수 있음

참고문헌

국제이주기구(IOM). 2011. 뺷이주용어사전 제2판뺸. 국제이주법 제26호.

김연홍, 이성순. 2020. “중장기 한국 이민정책의 방향성 모색: 외국인 력 정책의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뺷다문화콘텐츠연구뺸. 33: 7-42.

유의정. 2010. 「저출산・고령사회 극복을 위한 이민정책의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제64호.

이규용. 2014. “한국의 이민정책 쟁점과 과제”. 뺷월간 노동리뷰뺸. 11:

7-31.

이규홍. 2019. 「한국이민행정의 쟁점 A to Z」. 한국이민재단.

이혜경. 2011. “한국이민정책사”. 정기선(편집). 뺷한국 이민정책의 이 해뺸. 백산서당. 19-50.

이혜경, 이진영, 설동훈, 정기선, 이규용, 윤인진, 김현미, 한건수.

2016. 「이민정책론」. 한국이민재단.

정기선, 전광희, 은기수, 김석호, 강동관, 이정우, 최서리. 2011. 「인구 구조 변화 등에 대비한 이민 및 사회통합 정책방향 연구」.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주성훈. 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뺷예산현안분 석뺸. 38. 국회예산정책처.

최석현, 박정훈. 2017. “이민자 200만 시대, 이민정책의 방향은?”. 뺷이

슈&진단 No. 267뺸. 경기연구원.

허준영. 2017. 「국가발전과 통합 제고를 위한 이민행정체계 구축방안」.

한국행정연구원.

Dunleavy, P. 1989. “The architecture of the British central state, part I: framework for analysis”. Public Administration.

67(3): 249-275.

. 1991. “The Burea-shaping Model”. (In) Democracy, Bureaucracy and Public Choice. Routledge; 1st edition.

Widavsky, Aaron. 1979. The Politics of the Budgetary Process.

Boston: Little, Brown & Company.

법무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www.moj.go.kr/bbs/moj/171/

artclList.do)

열린재정 재정정보공개시스템. (www.openfiscaldata.go.kr/portal/

service/openInfPage.do?mId=B002)

재정용어사전. (http://lofin.mois.go.kr/portal/bbs/bbsListPage.do?

bbsCd=FSL1002#ContDiv_1)

행정자치부. 「2020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 개요」. (www.index.

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45)

2019-01 가족 사증제도와 가족(재)결합에 관한 연구 (민지원)

A Study on the Family Visa System and Family Reunification (Jeewon Min)

2019-02 이주민에 대한 국민수용성 제고사업 추진현황 및 과제 (유민이)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Public Acceptance Program for Migrants (Min Yi Yoo)

2019-03

외국인 불법고용주 제재의 현황과 개선방안 (최서리·김철효·한준성)

Review of Penalties for Employers Hiring Irregular Migrants in Korea and Policy Recommendations (Seori Choi·Chulhyo Kim·Junsung Han)

2019-04

중국동포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과제 (박경숙·이창원·강미선)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Korean-Chinese Popul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Keong-Suk Park·Chang Won Lee·Meishan Jiang)

2019-05

내·외국인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 10년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 (조영희·강정향) Review of The Certified Social Integration Educators: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Younghee Cho·Jeong Hyang Kang)

2019-06 종교적 상징에 관한 국제적 법제 및 사례 연구: 프랑스, 독일, 캐나다를 중심으로 (민지원·조규훈) Legislation on Religious Symbols in France, Germany, and Canada (Jeewon Min·Kyuhoon Cho)

2019-07

난민정책과 ODA정책의 연계 (조영희·김성규)

A Review of the Linkage between Refugee Policy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Younghee Cho·Sung Gyu Kim)

2019-08

일본의 취업이민제도 최근 변화와 정책적 함의 (최서리·이창원·신예진)

Recent Changes to Japan's Labor Migration Polici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Seori Choi·Chang Won Lee·Yejin Shin)

2019-09

영주권제도의 해외사례 연구 (박민정·장주영·강동관·신소희)

Acquisition and Security of Permanent Residence in Selected Countries: Implications for Policy Reform in Korea (Minjeong Park·Juyoung Jang·Dong Kwan Kang·Sohee Shin)

본 연구원의 정책보고서는 요약문이 함께 제공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MRTC policy reports are usually presented in Korean with a summary.

Please Check the MRTC website for more information.

이민정책연구원 출판물은 본원과 홈페이지를 통해서 책자 및 전자파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MRTC publications, in both hard copy and electronic formats, are available from:

이민정책연구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남로 93

MRTC

Annex Building of Yangcheon Building, 2nd, 3rd FL,

문서에서 이민정책 재정지출구조 분석: (페이지 91-9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