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R&D 활동단계별 연구자의 역할은 <표 1>과 같이 직급별로 차이가 있음.

R&D 활동단계 PI급 박사후 연구원 석/박사과정 연구진

아이디어 생성 및 개발 펀딩파악 및 연구팀 구성 실험 및 분석

성과 창출(특허, 논문, 산업화) 평가

<표 1> R&D 활동단계별 연구진 직급별 역할

※ 색이 진해질수록 역할의 중요도가 높아짐.

□ 연구책임자급

- 연구책임자(Principal Investigator: PI)는 실험실(랩)의 연구를 설계하고 책임짐.

∙연구소의 책임 및 선임연구원, 대학의 교수가 이에 해당함.

- PI급은 연구의 전과정에 책임을 지며 아이디어, 연구팀 구성, 펀딩 등 연 구 초기단계와 논문심사 및 평가 단계에 가장 주도적으로 관여함.

- 이들은 공식, 비공식 정보원을 모두 활용함.

∙최신 연구정보는 학술지 논문을 통해 입수하지만 국제 학계를 선도하 는 PI들은 연구동향 파악과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 창출을 위하여 국제 학술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석함. 또한 본인 논문의 후속 인용정보를 추 적하여 최신 연구동향과 연구 방향을 결정짓기도 함.

∙인적정보원을 통한 아이디어 교류와 공동연구자 및 연구원을 발굴하는 것은 학술논문 만큼 중요한 정보원이 됨. 이는 연구팀 간의 협업을 통 해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임.

- 연구팀 및 연구원 협업에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신뢰’임. 상호간 신 뢰를 기반으로 연구가 시작되므로 연구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보다는 학연이나 연구소 등 상호간의 연구경험을 공유해 보았던, 즉 신뢰가 검증된 관계 속에서 활발하게 일어남.

- PI는 펀딩을 받아 연구팀을 구성하는 책임을 가짐. 인적 교류가 활발하 고 연구 실적이 높은 PI일수록 더 많은 펀딩 기회를 갖고 있음.

- 일반적으로 PI들은 소속 연구소나 대학의 산학협력단에서 펀딩 관련 각 종 최신 정보를 전달받으므로 펀딩출처에 대한 정보 부족을 느끼지 않음.

∙일부 선도그룹의 PI들은 국제 공동프로젝트를 하며 해외 펀딩을 적극 발굴하기도 함. 또한 국가 과학기술정책 기획연구 위원으로 포함될 경 우에는 국가 R&D 정책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펀 딩수주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와 정보를 많이 갖고 상대적으로 안정 적인 펀딩기반을 가짐.

- 실제 실험은 주로 박사후 연구원 및 석박사 과정 연구원에 의해 이루어 지고, PI는 실험내용을 보고받는 형태가 됨. 보고는 주로 랩 미팅 또는 실험실 세미나를 통해 이루어짐.

- 실험은 연구가설 검증과 함께 종료되고 결과 분석이 뒤따르는데, 그 결 과가 연구가설과 일치되지 않을 때 PI는 연구의 방향을 지도해주며 실 험결과에 따라 연구결과의 수준에 맞추어 발표할 학술지를 선정하여 투 고함.

- 논문 이외에 특허출원과 산업화를 위한 기술이전으로 연구 성과를 창출 하기도 함.

<표 2> R&D 활동단계별 PI급 역할

R&D 활동단계 PI급 역할

아이디어 단계 연구계획(최신 연구동향, 과제동향 분석)

펀딩파악 및 확보 아이디어에 맞는 펀딩 파악 및 연구계획서 작성 인적네트워크의 신뢰를 바탕으로 연구팀 구성

실험 및 실험분석 실험일정 관리 / 실험분석 후 논문 방향 정립

성과 창출 연구과제 결과보고서 작성, 특허출원, 심사받을 학술지 수준 결정 및 논문투고, 기술이전, 산업화

평가 성과물에 대한 연구수주기관의 평가, 소속기관 내부평가

□ 박사후 연구원

- 책임급 연구원을 보조하는 역할을 함. 박사후 연구원의 연구 역량 및 소 속 실험실에서의 경험과 근무연수에 따라 발휘할 수 있는 역량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연구경험이 많지 않고 타 연구실에서 와서 1~2년 정도 머무르는 박사 후 연구원의 경우 박사과정생 연구원과 크게 역할이 다르지 않음. 다 만 석박사과정 연구원 보다 좀 더 전문화된 주제영역에서 더 난이도 있는 실험 담당함.

∙같은 실험실 출신으로 박사후 연구원으로 남아 있는 경우에는 석박사 과정 연구원들의 실험 과정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도, 관리함. 이들은 책임급 연구원과 그 이하 연구원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보다 적극적 으로 함.

- 과학기술분야는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해외에서 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 에 아시아 지역 출신 외국인 박사후 연구원들이 늘어가는 추세임.

- 성과 창출단계에서 박사후 연구원은 연구실적을 관리하여 직장을 구해 야 하므로 영향력지수가 높은 저널에 투고하기 위해 노력함.

R&D 활동단계 박사후 연구원 역할

아이디어 단계 PI를 보조하여 아이디어 개발

펀딩파악 및 확보 PI의 연구계획서 작성을 돕는 기초자료 준비

실험 및 분석 석박사 연구진 실험 관리/노하우 전수, 결과분석

성과 창출 영향력지수가 높은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고자 노력

평가

-<표 3> R&D 활동단계별 박사후 연구원급 역할

□ 석박사과정 연구원 및 석사후 연구원

- R&D 전 과정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실험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 당함. 석박사연구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험’임.

- 이들의 인건비는 PI의 연구비 펀딩에서 조달됨. 학위과정 연구원은 실험 을 통해서 연구업적을 발표하고 졸업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 연구주제는 본인이 결정하기 보다는 실험실 내에서 이미 결정된 연구주

□ 연구단계별 직급별 역할

- <그림 3>은 연구자 직급별 역할을 연구단계별로 도식화한 것임.

- 연구 초기 단계와 펀딩 등 전반적인 책임은 PI/교수급에서 담당 - 실험 및 실험분석은 박사후 연구원과 학/석/박사 연구원이 담당

- 박사후 연구원은 연구 전반에 관여하며 특히 연구내용과 관련된 부분의 역할 수행

- 석박사 연구원은 학위취득을 목표로 실험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참여하 며 결과를 분석, 논문으로 정리하면서 연구단계별로 PI가 수주한 연구과 제의 성과를 도출해 내는데 기여

<그림 3> 연구단계별 직급별 역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