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행동변화단계(Stages of Change; 일명,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모형은 중재를 통한 기존의 행동변화이론을 체계적으로 통합하 기 위해 행동변화의 과정과 단계를 구축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행동변 화가 일련의 단계, 즉 계획전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실천단계, 유지단 계라는 행동변화의 연속체에 따라 변화한다고 제시하고 있다(Heimlich and Ardoin, 2008). 행동변화단계 모형은 변화단계(stage of change), 의사결정균형(decisional balance), 자기효능감(self-efficacy), 변화과 정(process of change)의 개념을 다양한 이론으로부터 통합하여 제시하 고 있다. Prochaska et al.(1992) 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접근전략도 다 르게 설정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변화단계(stage of change)는 개인의 인지를 통하여 행위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을 의미하며, 의사결정균형(decisional balance)은 행동 의 장단점에 대한 개인별 평가 결과를 말한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특정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동을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 을 의미하며, 변화과정(process of change)은 개인의 인지적 행동변화 가 어떻게 일어나는 지를 기술하는 개념이다. 변화단계 간의 이동은 자기

효능감과 의사결정균형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Heimlich and Ardoin, 2008).

아래의 표에서와 같이 Prochaska et al.(1992)은 행동변화모형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10가지 유형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각 행위 변화 단계와 각 행위에 대한 이득적 요인과 장애적 요인의 평가인 의사결 정의 균형 요인을 탐구해나가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표 2-1〉 행동변화단계 모형

자료: Prochaska et al. 1992.

행동변화모형에 대한 실제적인 사례 금연과 연결해서 살펴보면, 우선, 금연단계에 따라 건강행위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중재(intervention)를 설정하게 된다. 계획전단계에서는 건강위험평가를, 계획단계와 준비단계 에서는 홍보 및 캠페인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도록 하며, 실천단계에서는 금연실천프로그램을 제공, 유지단계에서는 지속관리를 위한 표적 편지 (target newsletter)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남녀별, 학년별 집단에 따른 행동변화단계 모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자원 확보 와 배치를 통해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행동변화모형을 청소년 금연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활용하 고 있다. 금연의 변화 단계는 5단계로 구분된다. 계획전 단계는 현재 금연 하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 6개월 내에도 금연의도나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단계이다. 계획단계는 현재 금연을 하고 있지 않으나 향후 6개월 내 에 금연을 하고자 계획하는 단계이며, 준비단계는 현재 흡연을 하고 있지 만 1개월 내에 금연을 계획하고 있으며 지난 1년 동안 금연 경험이 있는 경우이다. 실천단계는 현재 금연을 시작한지 6개월이 지나지 않은 단계 이고 유지단계는 금연을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난 단계이다.

금연을 하기 위한 의사결정 단계에서는 개인이 인지하고 있는 금연의 장단점이 영향을 주게 된다. Pallonen & Velicer(1998)은 청소년을 대 상으로 금연을 통한 이점과 장애요소에 대해 사회적 이점(social pros), 개인적 이점(coping pros), 장애요소(cons)로 분류하여, 총 12개의 문 항을 개발하였다.

자기 효능감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고 싶어하는 시점을 알아내기 위한 도구로, 사회적 유혹(positive social), 개인적 유혹(negative affect), 습 관강도(habit strength), 체중조절(weight control)로 구성된다.

과정(process)은 금연변화단계에 있어서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이행될 경우 나타나는 인식적, 행위적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인식적 과 정은 인식고취(consciousness raising), 극적 안도감(dramatic relief), 환경재평가(environmental reevaluation), 사회적 결심(social lib-eration), 자기재평가(self-reevaluation)를 묻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 다. 그리고 행위적 과정은 지지관계(helping relationships), 자극환경 조절(stimulus control), 대체방법(counterconditioning), 강화관리 (reinforcement management), 자기결심(self-liberation)을 묻는 항 목으로 구성되고 있다.

행동변화모형은 연구자보다는 현장 실무자들 사이에서 보다 많이 적용 되는 것으로, 이의 개념이 정확히 잘 정의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사람들 이 어떻게 행동을 변화시키게 되며, 특정행동이 다른 행동보다 왜 효과적

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따라서 인지 모형이 가지고 있는 제한점 즉, 사회구조적, 환경적 요소가 개인의 행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면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물론 사회구조 적, 환경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모형 경계의 외부에 설정해 두고 있다. 행동변화모형은 개인의 행동 문제에 초점을 두 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비용 또는 편익을 유발하는 행동으로의 변화를 직접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