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위험선호 측정을 위한 설문지 설계

개인의 위험선호(risk preference)와 건강관련행태(health-related behaviors)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필드실험(field experiment) 방 법을 적용하였다. 개인의 위험선호를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Holt & Laury(2002)가 고안한 실험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 다. 이러한 설계방식은 위험회피에 관한 다른 실험기반 연구와 비교해서

인지-실천의 격차 발생요인 분석

<<

4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위험중립적, 위험선호적, 위험회피적 특성을 쉽게

우라면, 4번이상 선택할 확률이 높다. 참고로 Holt & Laury(2002)의 연 구결과에 따르면, 학부생 및 대학원생 212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26%가 위험중립적이었고, 8%가 위험선호적, 66%가 위험회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2. CRRA Utility Function 측정 방법

실험참가자들이 얻게 되는 기대효용은

   

이고, 여기서 x는 복권 상금을 말하며 r은 추정된 파라미터 (parameter)이다.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 EUT)에 따라, 각 결과값 (outcome) k에 대한 확률을 라 하고, 실험참가자들로부터 얻게 되는 값이다. 그래서 각각의 복권에 따른 효용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본 연구의 복권선택실험에서 constant relative risk aversion의 효용 함수를 가정하여 파라메터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여기서 r은 상대적 위험회피계수(Coefficient of Relative Risk Aversion: CRRA)를 말하며, M는 복권상금을 말한다.

r의 추정값은 위험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 유 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r=0 이면, 위험중립적

인 r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추정된 r의 값을 토대로, 두 복권으로부터 기 대효용의 차이를 ∆  라 하면,

∆   

이는 개인의 잠재적인 선호체계를 보여주며, 복권A로부터의 기대효용 이 복권 B로부터의 기대효용보다 클 경우에 (+)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잠재적 선호를 나타내는 잠재변수(latent index)는 표준누적정 규분포함수(standard cumulative normal distirubution function,

∆ )를 적용하여, 관찰된 선택이 링크(link)되도록 하였다. 프로빗 (probit) 함수를 취하여 ± ∞를 0~1의 값으로 변형하였다. 잠재변수의 비율을 보여주는 식은 다음과 같다.

Prob(복권A선택)=∆ 

∆  > 1-∆ 일 때에는 복권 A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찰된 선택(y)의 log-likelihood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Ln      

 ln  ∆      ln   ∆    

여기서, I(y=.)은 indicator 함수이고, y=1(0)은 제시된 두 복권에서 복권 A(B) 선택을 의미한다. X는 성, 연령, 교육수준 등 개인의 사회경제 적 특성을 의미한다.

3. 조사 방법

전국 만30세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 다. 조사는 2014년 10월 13일부터 201년 11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01년 10월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구성비 로 할당하여 응답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