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무 정보 서비스 구축 방안

문서에서 최종보고서 (페이지 189-198)

4. 해무 정보 서비스 구축 방안

나.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 방안

n 현황

기상청에서 내륙과 연안지역에서 종관기상관측장비(ASOS)와 자동기상관측(AWS)을 통한 자동 관측과 목측에 의한 수동 관측을 통해 시정을 산출하고 있으며 천리안 위성을 이용한 안개 탐지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시정을 목측으로 관측하는 지점은 21개소이며, 279개소(2016년 기준)에서 시정계를 이용한 자동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이와 서, 2018).

(그림 123 참조)

그림 123 기상청 시정 관측망(좌: 목측, 중: 시정계, 우: 위성영상)

국립해양조사원은 2016년에 4개소(부산항, 부산항신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2017년에 7개소(군산항, 대산항, 목포항, 여수항, 포항항, 울산항, 부산 해운대)에 해무(해양기상)를 관측하기 위하여 시정계와 CCTV 및 기상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처 리안 GOCI 영상과 일본 Himawari-8 영상자료를 이용한 해무 탐지 영상을 제공하고 있 다. 해양경찰청은 18개소의 해상교통관제(VTS: Vessel Traffic Service)센터에서 시정계 를 이용한 시정 거리 관측과 더불어 선박 교신을 통한 해무 발생 여부를 관제 일지에 기 록하고 있으며 해무(시정 거리 1,000m 이하) 또는 짙은 해무(시정 거리 500m 이하) 일 때, 선박운항통제 관리대장에 선박 통제 및 해제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그림 124 참조)

국립해양조사원 해무관측망 국립해양조사원 위성해무탐지 해양경찰청 VTS 센터

VTS 위치 시정계 관리대장

경인항

군산항

대산항

동해항

마산항

목포항

부산신항

부산항

여수연안

여수항

울산항

인천항

제주항

진도연안

통영연안

평택항

포항항

해양경찰청 해무관측자료

그림 124 유관기관 해무 관측망 현황

n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 방안

해무 관측 정보는 정확한 해상 현황을 제공함과 동시에 해무의 다양한 기작(형성, 진 화, 분산 등)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해무 예측 정 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기상청 및 유관기관의 해무(시정) 관측은 주로 해안에 설치한 연안 시정계와 한 반도 영역을 대상으로 위성 탐지 안개 영상을 표출하고 있으나 여객선 운항, 어선 조업 및 최근 해상 레저 활동이 활발한 연근해역의 해무 정보는 일부 섬을 제외하고 거의 없 는 실정이다.

해무 집중 관측망은 기상청 및 유관기관의 기존 관측망을 최대한 활용하고 기존 해무 기인 사고 발생해역, 인명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여객선 항로, 입출항 선박으로 인한 통 항 밀도가 높은 항만 구역 등 취약 지역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해무 관측 정 보의 공백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연안, 근해, 외해로 대상 해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ü 연안

연안 해역을 대상으로 하는 해무 관측망은 기존 해무(시정) 관측망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연안 해무 관측은 선박 통항이 활발하고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해안 및 연안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상청에서 운 영하는 기존 관측지점 중 시정계는 해안선에서 최대 500 m 이내에 위치(43개소, 일부지 점 1km 이내)하고 관측된 시정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CCTV 관측이 인근 (1km 이내)에 서 수행되는 지점(10개소, 시정계와 중복)을 선정하였으며, 항만에 위치한 국립해양조사 원 해양기상관측소(11개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해양경찰청 VTS 센터 시정계와 해양수산부 비디오 모니터링 지점은 CCTV를 활용한 시정 산출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후 적용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그림 125 참조)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수산부

그림 125 연안 해무 관측 관련 기관별 관측 지점

ü 연근해

현재 연근해 해역을 대상으로 하는 해무 관측 정보는 기상청에서 일부 섬에 설치된 시 정계와 위성 자료 분석을 통해 산출되고 있으나 주요 여객선 항로 및 어업 활동 구역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연근해 해무 관측망은 해안에 설치 하는 관측 장비에 비해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도입 및 운영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아 충분한 관측 해상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주요 여객선 항로와 어업 활동 구역 인근에 위치한 해양기상부이(17개소)와 해양등표(8개소)에 시정계와 CCTV를 신규 설치하여 연근해 해무 관측망을 구축하고 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해양기상부이 에 설치되는 시정계와 CCTV는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관측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설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여 기 설치된 부이 시스템에 적합하고 신뢰성이 확보된 장비를 설 치하여야 한다.

ü 외해

외해 해무 관측은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위성 안개 탐지 영상을 활 용하는 방안이 유일하다.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안개 탐지 영상 자료는 한반도 영역

에 대하여 제공되고 있어 자세한 영역에 대한 정보 제공이 미흡하므로 영상 자료를 가공 하여 웹 GIS 상에서 표출하거나 해구별 정보로 제공되는 것이 보다 활용성이 높을 것으 로 판단된다.

ü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안

위에서 제시한 연안, 근해, 외해 해무 관측망을 정리하여 아래의 표에 제시하였으며, 해무 관측망을 통합한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안을 그림에 제시하였다. (표 33, 그림 126 참조)

중점 고려 사항

① 해무기인 사고 발생해역

② 연안 해무 관측 공백 해소

③ 인명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여객선 항로

대상해역 관측 지점 구축 방안

연안 (54)

(기상청)

Ÿ 연안 시정계(기존 33개소)

Ÿ 연안 CCTV(기존 10개소)

Ÿ 유인등대 (신설 8개소) (유관기관)

Ÿ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기상관측소(11개소)

Ÿ 기존 관측망 활용

Ÿ 신설 관측소 시정현천계, CCTV 설치

Ÿ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 연근해

(17)

(기상청)

Ÿ 해양기상부이(기존 17개소)

Ÿ 해양기상부이(신설 10개소)

Ÿ 해양기상기지(신설 3개소)

Ÿ 시정계 및 CCTV 추가 설치

Ÿ 영상자료를 이용한 시정 산출 알고리즘 적용

원해 (1)

(기상청)

Ÿ 천리안 안개 탐지 영상 자료 활용

Ÿ 영상 자료 가공

Ÿ 웹 GIS 상 표출 표 33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 방안

연안 연근해

외해 통합 해무 관측망

그림 126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안

다. 해무 예측 정보 산출 방안

해무 예측 정보는 국외의 경우 해상 안전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기상청에서 제공되었던 안개 예보는 안개 정보 서비스로 변경되어 중요도가 다소 낮아졌다.

육상은 안개로 인하여 교통이 통제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해상에서 안개는 해상 교 통과 생업뿐만 아니라 해상 안전사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해상 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기상 기인 해상 사고 중 해무로 인 한 사고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해상 사고 예방과 사회경제적 피 해를 방지를 위하여 해상에서 안개 정보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져 왔으며 정확한 해상 안개 상황 및 예측 정보의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해무 예측 정보 의 산출 체계 구축은 시급한 사안으로 판단된다.

해무 예측 기술은 통계적인 방법과 역학기반 수치 예측 모델이 서로 상호 보완하는 방 법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치 모델을 이용한 안개 예측 과 대기 예측 결과에 기반한 다양한 예측 가이던스가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기계학 습 및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한 예측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지역 안개가이던스, 지역특화 안개가이던스, 구름물리기반 안개가이 던스 및 연무가이던스를 산출하여 안개 정보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나, 정보에 대 한 접근성과 텍스트 위주의 정보 전달로 사용자 측면에서 다소 불편한 면이 있다. 기상 청 안개 정보 중 해상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는 연안 안개 정보가 유일하며 연근해 및 외 해 해무 예측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해무 예측 정보 산출 측면에서 정확한 해무 예측을 위해서는 대기의 미세물리 과정, 해양-대기 경계층에서 난류 모의, 해무 산출 알고리즘, 해양-대기 접합모델 개발, 관측자 료를 이용한 수치모델의 자료동화 등 방대한 분야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모델 개발이 바람직하다. 현재 구름 및 안개의 생성 기작을 포함한 대기 예측 연구는 학계, 연구기관 및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국가적인 과제로 진행되고 있다.

n 추진방안

구름 미세물리과정, 경계층 난류 모델 등 보다 정확한 대기 예측 모델 개발은 기존 연 구개발 및 기상청 현업에서 산출되는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우리 나라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연구 및 현업에서 개별적으로 다루기 힘든 국지 연안 및 연근해를 대상으로 대기 예측 모델 결과를 이용한 해무 예측 기법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n 해무 예측 정보 산출 방안

해무 예측 정보는 기본적으로 기상청 혹은 국외 대기 예측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 법을 적용하여 단기, 중장기로 나누어 예측 기술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해무 예측 기술 개발 앞서 최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할 단계는 해무 발생 특성을 분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현장 관측 자료를 수집하여 해역별 해무 발 생 및 소멸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 인자를 도출하고 영향 범위를 파악하여야 한다.

단기적으로 해무 특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해무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개 발 기간이 비교적 짧고 효과적인 통계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통계모델은 해무 발생 특성을 이용한 의사결정트리 기법(예: Lindner et al, et al. 2018) 이나 인공지능 기법(기계학습, 딥러닝; 예: Claxton, 2008)을 적용하여 특정 연안/연근해 를 대상으로 한 해무 예측 정보를 산출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대기 예측 모델에서 산출된 기상 변수와 해양기상 예측 모델에서 산출 된 해양 변수를 이용한 1D 해무 예측 모델(예: Koracin et al, et al. 2001)을 개발하여 적 용한다. 또한 대기 예측 자료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기 예측 모델 결과를 이용하는 앙상블 기술(예: Duan et al, et al. 2012)을 개발‧적용하여 연안, 연근해 및 원해를 대상으로 하는 해무 예측 산출 체계를 구축한다. (표 34 참조)

구 분 목표 내 용

단기

Ÿ 해무 발생 특성 파악

Ÿ 대기, 해양 자료 수집 및 분석

Ÿ 해무 발생 사례 분석

Ÿ 우리나라 해무 발생 특성 분석

Ÿ 연안/연근해 특정 해역 대상 국지 해무 예측 모델 개발

Ÿ 대기 예측 결과를 활용한 통계모델 기법 분석

Ÿ 특정 해역 대상

- 의사결정트리 개발 및 적용

Ÿ 다양한 대기 예측 모델 결과를 이용한 앙상블 시정 산출

중장기 Ÿ 우리나라 전해역 대상 해무 예측 체계 개발

Ÿ 특정 해역 대상

- 인공지능 기법 개발 및 적용

Ÿ 해양 예측 변수와 대기 예측 변수를 이용한 1D 해무 예측 모델 개발

표 34 해무 예측 방법의 장단점 및 적용 방안

라. 해무 정보 서비스 구축 방안

해무 정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해무 집중 관측망 구축

❍ 해무 예측 정보 산출 체계 구축

❍ 통합 해무 정보 전달시스템 구축

앞서 제시한 해무 집중 관측망 및 예측 정보 산출 체계에서 산출된 해무 현황 및 예측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해무 정보 전달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림 127 참조)

그림 127 해무 정보 전달 시스템 적용

해무 정보 전달 시스템을 살펴보면, 시정계, CCTV, 파고부이, 해양기상부이 등의 해양 기상관측소스로부터 생산된 관측값은 해무 정보 전달 플랫폼으로 전달되고, 통합 해무 정보 전달 플랫폼은 수집된 데이터의 전처리 후 전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및 검 증을 수행함으로써 해무 예측에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해무 예측 정보는 정보 전달 API를 통해 기상청, 해양경찰청 등 해무 정보를 원하는 공공수요처 또는 민간기상

문서에서 최종보고서 (페이지 189-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