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부모가정 자녀의 성별․가족형태에 따른 사회적 지지

가설Ⅰ : 한부모가정 자녀의 사회적 지지는 성별․가족형태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1) 성별에 따른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한부모가정 자녀의 성별에 따라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 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 1> 성별에 따른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구 분

남 (n=57)

여 (n=51)

전 체

(n=108) t

M SD M SD M SD

부 모 3.63 0.59 3.41 0.56 3.52 0.58 1.99* 교 사 3.18 0.75 2.68 0.66 2.94 0.75 3.65**

친 구 3.19 0.53 3.38 0.44 3.28 0.49 -2.04* 전 체 3.33 0.49 3.16 0.35 3.25 0.44 2.13*

* p<.05, ** p<.01

<표 Ⅳ-1>에서 부모의 지지는 남학생(M=3.63)이 여학생(M=3.41)보다 높 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1.99, p<.05).

교사의 지지는 남학생(M=3.18)이 여학생(M=2.68)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3.65, p<.01).

친구의 지지는 여학생(M=3.38)이 남학생(M=3.19)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04, p<.05).

전체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남학생(M=3.33)이 여학생(M=3.16)보다 높게 지 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13, p<.05). 이는 임유진(2001)이 일반 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 생보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결과와는 다르나, 김연순(2000)의 부자가정 자녀 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윤채봉(2000)의 징계처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남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여학생의 사회적 지지 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와 는 일치하였다. 즉, 한부모가정 자녀의 사회적 지지는 일반 가정 자녀의 사회 적 지지와는 그 양상이 다르며, 구체적으로 부모, 교사로부터 남학생이 여학 생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성별에 따른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

한부모가정 자녀의 성별에 따라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Ⅳ-2>와 같다.

<표 Ⅳ- 2> 성별에 따른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

구 분

남 (n=57)

여 (n=51)

전 체

(n=108) t

M SD M SD M SD

정서적 지지 3.33 0.56 2.97 0.44 3.16 0.53 3.69**

평가적 지지 3.12 0.25 3.07 0.26 3.10 0.26 1.16 정보적 지지 3.58 0.69 3.34 0.50 3.47 0.62 2.06* 물질적 지지 3.28 0.74 3.30 0.50 3.29 0.63 -0.13 전 체 3.33 0.49 3.16 0.35 3.25 0.44 2.13*

* p<.05, ** p<.01

<표 Ⅳ-2>에서 정서적 지지는 남학생(M=3.33)이 여학생(M=2.97)보다 높 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3.69, p<.01).

평가적 지지는 남학생(M=3.12)이 여학생(M=3.07)보다 높게 지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보적 지지는 남학생(M=3.58)이 여학생(M=3.34)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06, p<.05).

물질적 지지는 남학생(M=3.28)과 여학생(M=3.30)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성별에 따른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를 높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더 많은 신뢰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더 욱 많이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가족형태에 따른 사회적 지지

(1) 가족형태에 따른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한부모가정의 가족형태에 따라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 과는 <표 Ⅳ-3>과 같다.

<표 Ⅳ- 3> 가족형태에 따른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구 분

부자가정 (n=50)

모자가정 (n=58)

전 체

(n=108) t

M SD M SD M SD

부 모 3.36 0.63 3.66 0.50 3.52 0.58 -2.77**

교 사 2.89 0.67 2.99 0.81 2.94 0.75 -0.74

친 구 3.17 0.52 3.37 0.45 3.28 0.49 -2.16* 전 체 3.14 0.47 3.34 0.39 3.25 0.44 -2.48*

* p<.05, ** p<.01

<표 Ⅳ-3>에서 부모의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66)가 부자가정의 자 녀(M=3.36)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77, p<.01).

교사의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2.99)가 부자가정의 자녀(M=2.89)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친구의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37)가 부자가정의 자녀(M=3.17)보다 높 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16, p<.05).

전체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34)가 부자가정의 자녀 (M=3.14)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 다(t=-2.48, p<.05). 구체적으로 모자가정의 자녀가 부자가정의 자녀보다 부 모, 친구로부터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데, 이는 부자가정의 가정생활 만족 도가 모자가정의 가정생활만족도보다 낮으며(변화순 외, 2001), 부자가정의 자녀가 모의 부재로 가사부담 등을 떠 안는 등 가정환경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김연순, 2000)는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가족형태에 따른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

한부모가정의 가족형태에 따라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Ⅳ-4>와 같다.

<표 Ⅳ- 4> 가족형태에 따른 지지유형별 사회적 지지

구 분

부자가정 (n=50)

모자가정 (n=58)

전 체

(n=108) t

M SD M SD M SD

정서적 지지 3.04 0.56 3.28 0.49 3.16 0.53 -2.39* 평가적 지지 3.06 0.25 3.13 0.26 3.10 0.26 -1.51 정보적 지지 3.35 0.69 3.57 0.53 3.47 0.62 -1.90 물질적 지지 3.13 0.63 3.42 0.62 3.29 0.63 -2.37* 전 체 3.14 0.47 3.34 0.39 3.25 0.44 -2.48*

* p<.05

<표 Ⅳ-4>에서 정서적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28)가 부자가정의 자 녀(M=3.04)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39, p<.05). 이는 부자가정의 자녀가 모의 부재로 정서적인 문제에 서 부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부자가정 자녀의 모성 결핍은 타인과의 원만 한 정서적 교류를 방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적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13)가 부자가정의 자녀(M=3.06)보다 높게 지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보적 지지 또한 모자가정의 자녀(M=3.57)가 부자가정의 자녀(M=3.35)보 다 높게 지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물질적 지지는 모자가정의 자녀(M=3.42)가 부자가정의 자녀(M=3.13)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37, p<.05). 이는 모자가정의 경제적인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 변화순(2001) 등의 연구 결과와 는 다르며, 최근 들어 활발한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모자가정의 경제적 상황 이 다소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