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인의 과일 섭취와 질환과의 관련성

3.1. 선행 연구 검토

○ 심혈관계 질환 및 암에 걸릴 위험을 낮추고 질병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과일 과 채소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됨(Lichtenstein AH et al. 2006) 과일과 채소는 수분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가 낮 고, 비타민과 미네랄, 생리활성물질(Phytochemical)이 풍부함(WCRF 2007).

○ 세계암연구재단(WCRF 2007)에서는 비전분성 채소 및 과일 섭취와 구강, 인두, 후두, 식도, 위, 폐암, 대장암 등에 대해 연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집 단의 건강 증진을 위한 목표로 과일과 채소를 하루 최소 600g 이상(개인은 하루 최소 400g) 섭취할 것을 권장함.

- 채소는 비전분성 채소로 염장채소는 제외한 것임.

○ 최근 2013년까지 코호트 연구를 중심으로 과일과 채소 섭취와 총사망률, 심

7 식물 속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로 식물 자체에서는 경쟁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각 종 미생물·해충 등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 등을 한다. 또 사람의 몸에 들 어가면 항산화물질이나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해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식물 생리활성영양소임(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혈관질환 및 암 사망률의 관련성을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Wang X et al.

2014)에서는 과일 섭취 비율이 증가할수록 총사망률 및 심혈관질환으로 인 한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음.

- 1일 1회 섭취량 증가당 총사망률은 6%,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5%임.

<그림 4-2> 총사망률과 과일 섭취와의 관련성

자료: Wang X, et al.(2014).

○ 우리나라의 채소 및 과일 섭취는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목표지표에 제시된 과일류와 채소류 섭취량 500g 이상을 목표로 제시함.

- 2014년 국민건강통계에서는 채소·과일 1일 500g 이상 섭취자 분율이 38.3%(’14년)로 채소 및 과일 섭취가 부족하였음. 특히 20대 이하 연령 에서 섭취가 낮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낮았음.

<그림 4-3> 우리나라의 과일 및 채소 1일 500g 이상 섭취자 분율(2014 국민건강통계)

연도별 과일‧채소 1일 500g 이상 섭취자 분율(%) 연령·소득 수준별 과일·채소 1일 500g 이상 섭취자(%) 주: 소득 수준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 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사분위로 구분하고, 2005년 추

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것임.

자료: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2015). 2014 국민건강통계.

○ 선행연구 검토 결과, 채소·과일 섭취와 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있었으나, 과일 섭취와 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음. 본 연구 에서는 한국인의 과일 섭취와 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함.

3.2. 분석 방법 및 자료 개요

3.2.1.

분석 방법

○ 한국인 성인의 과일 섭취와 질환(비만, 고혈압, 당뇨병, 영구치우식)과의 관 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조사 자료가 있는 19세 이상 성인 28,15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되었고 조사 내용으로 조사 직전 1일 24시간 동안 섭취한 식사의 끼니별 음식명, 음식별 식품 재료명 및 식품 섭취량이 포함됨.

○ 과일, 과일 가공품, 과실류 음료 섭취량.

- 조사된 식품섭취조사 자료에 분류된 18개 식품군 중 과실류로 분류된 식 품목록을 산출하여 과일(원재료성 과일)과 과일 가공품(주스와 과일 가 공품류 등 포함)으로 분류하고 1인 1일 섭취량을 산출함.

- 과실류 음료는 과실류의 과일주스뿐만 아니라 음료류의 과실류 음료를 모두 포함하여 분류해 1인 1일 섭취량을 산출함.

○ 질환은 비만, 고혈압, 당뇨병, 영구치 우식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서 제시하고 있는 정의를 적용함.

- 비만은 측정된 신장과 체중으로 체질량지수를 산출하고, 체질량지수 25

㎏/㎡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함.

- 고혈압 유병률은 수축기혈압≥140mmHg 또는 이완기혈압≥90mmHg 또 는 고혈압약 복용을 한 경우로 정의함.

- 당뇨병 유병률은 공복혈당≥126 또는 당뇨병약 복용 또는 인슐린주사 투여 또는 의사진단을 받은 경우로 정의함.

- 영구치 우식은 영구치 우식증(충치)을 현재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 우로 정의함.

○ 기타 사회경제적 수준 등 관련성 분석에 필요한 변수들을 분석에 사용함.

○ 자료의 통계처리에는 SAS 9.4(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이용하였으 며, 본 사업의 분석 결과는 각 개인별 가중치가 적용된 survey procedure를 통해 집락추출 변수(PSU) 및 분산추정층(KSTRATA)을 사용하여 산출함.

○ 식이섭취(과일, 과일 가공품, 과실류 음료 등)와 질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 고자 1일 식품섭취량은 각각 100g, 200g 기준으로 나누었음. Proc surveylo-gistic 명령어를 사용하여 성, 연령, 소득, 총에너지, 음주, 신체활동 등을 보 정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오즈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음.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 5%하에서 유의성 을 검증함.

3.2.2.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과일 섭취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4년을 통합한 전체 대상자를 연령별로 분류하 여 본 연구대상자인 19세 이상 성인의 섭취량과 비교하였음. 연령별 과일 섭취량과 관련해 과실류는 본 연구대상자인 19~64세 성인이 가장 많이 섭 취한 반면에, 과실류 음료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12~18세의 아동 및 청소년 의 섭취가 가장 많았음.

- 19세 이상 성인의 과실류 섭취량은 187.7g이었으며, 그중 과일은 168.9g, 과일 가공품은 18.8g이었음.

<그림 4-4> 연구대상자의 연령별 과일 섭취량 분포

주: 과실류는 과일과 과일 가공품의 합계를 의미함.

○ 과일 및 과실류는 19세 이상 성인 중 여성이 많이 섭취하였으나, 과일 가공 품이나 과실류 음료는 남성이 더 많이 섭취함.

<그림 4-5> 성별 과일 섭취량 분포

주: 과실류는 과일과 과일 가공품의 합계를 의미함.

○ 19세 이상 성인 중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으로 갈수록 과실류나 과일 뿐만 아니라 과일 가공품이나 과실류 음료 섭취에 대한 섭취가 적었음.

<그림 4-6> 지역별 과일 섭취량 분포

주: 과실류는 과일과 과일 가공품의 합계를 의미함.

○ 19세 이상 성인 중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총 과실류 섭취뿐만 아니라 과일 이나 과실류 음료 섭취도 많았음.

<그림 4-7> 소득수준별 과일 섭취량 분포

주: 과실류는 과일과 과일 가공품의 합계를 의미함.

3.3. 과일 섭취와 질환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200g/d ≥200g/d <100g/d ≥100g/d (확률) 비만

환자/대조군(명) 5164/10982 2655/5909 4061/8470 3758/8421

OR1)(95% CI) 1.00(기준) 0.94(0.87-1.00) 0.0608 1.00(기준) 0.95(0.88-1.01) 0.0991 고혈압

환자/대조군(명) 5414/10672 2527/6007 4281/8199 3660/8480

OR1)(95% CI) 1.00(기준) 0.90(0.82-0.98) 0.0139 1.00(기준) 0.86(0.80-0.93) 0.0002 당뇨병

환자/대조군(명) 1692/13074 765/7195 1368/10099 1089/10170

OR1)(95% CI) 1.00(기준) 0.92(0.81-1.03) 0.1527 1.00(기준) 0.88(0.78-0.99) 0.0275 영구치 우식

환자/대조군(명) 4778/10843 2189/6094 3861/8268 3106/8669

OR1)(95% CI) 1.00(기준) 0.86(0.79-0.93) <.0001 1.00(기준) 0.81(0.75-0.87) <.0001 주: 오즈비(Odds Ratio)는 성, 연령, 소득, 총에너지, 음주, 신체활동 등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임.

○ 과실류 중에서 원재료성 과일(주로 생것)과 과일 가공식품으로 나누어 분석 한 결과에서는 과일을 1일 100g 이상 섭취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고혈압, 영구치 우식의 위험이 낮았음. 그러나 과일 가공식품의 섭취

<200g/d ≥200g/d <100g/d ≥100g/d (확률) 비만

환자/대조군(명) 5375/11501 2444/5390 4296/9054 3523/7837

OR1)(95% CI) 1.00(기준) 0.96(0.89-1.03) 0.2154 1.00(기준) 0.95(0.89-1.02) 0.1761 고혈압

환자/대조군(명) 5562/11252 2379/5427 4495/8834 3482/7841

OR1)(95% CI) 1.00(기준) 0.88(0.81-0.97) 0.0073 1.00(기준) 0.86(0.79-0.93) 0.0002 당뇨병

환자/대조군(명) 1730/13718 727/6551 1415/10810 1042/9459

OR1)(95% CI) 1.00(기준) 0.93(0.82-1.06) 0.2854 1.00(기준) 0.90(0.80-1.01) 0.0626 영구치 우식

환자/대조군(명) 5006/11324 1961/5613 4110/8812 2857/8125

OR1)(95% CI) 1.00(기준) 0.84(0.77-0.91) <.0001 1.00(기준) 0.80(0.74-0.86) <.0001 주: 오즈비(Odds Ratio)는 성, 연령, 소득, 총에너지, 음주, 신체활동 등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임.

<표 4-4> 과일 가공품 섭취가 1일 200(100)g/d 이상자와 200(100)g/d 미만자의 질병별 오즈비 분석

과일 섭취 200g/d P (확률)

과일 섭취 100g/d P

<200g/d ≥200g/d <100g/d ≥100g/d (확률) 비만

환자/대조군(명) 5375/11501 2444/5390 4296/9054 3523/7837

OR1)(95% CI) 1.00(기준) 0.96(0.89-1.03) 0.2154 1.00(기준) 0.95(0.89-1.02) 0.1761 고혈압

환자/대조군(명) 5562/11252 2379/5427 4495/8834 3482/7841

OR1)(95% CI) 1.00(기준) 0.88(0.81-0.97) 0.0073 1.00(기준) 0.86(0.79-0.93) 0.0002 당뇨병

환자/대조군(명) 1730/13718 727/6551 1415/10810 1042/9459

OR1)(95% CI) 1.00(기준) 0.93(0.82-1.06) 0.2854 1.00(기준) 0.90(0.80-1.01) 0.0626 영구치 우식

환자/대조군(명) 5006/11324 1961/5613 4110/8812 2857/8125

OR1)(95% CI) 1.00(기준) 0.84(0.77-0.91) <.0001 1.00(기준) 0.80(0.74-0.86) <.0001 주: 오즈비(Odds Ratio)는 성, 연령, 소득, 총에너지, 음주, 신체활동 등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