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자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96)

본 항에서는 학습자료가 본문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최신성이 반영되었는지 확인하였다. A 교과서는 학습목표와 함께 동기유발 자료로‘생각 열기’글과 그 림을 실었다. 그러나 내용의 ‘농가월령가’와 그림의 ‘소를 이용한 농사 장면 과 복장’은 현재의 농업 상황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농가월령가’를 설명하는 내용에 노래가 만들어진 시기를 제시하여 그 당시 시대적 상황을 추측하며 해당 그림의 농사 방법, 복장을 이해하거나, 그림의 내용과 현재가 어떻게 변화되었는 지,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서술해 주는 것이 타당하리라 본다.

그림 20. A 교과서 중단원 도입부

B 교과서는 농업 구조의 다각화를 설명하며 ‘농촌다움’을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제목과 내용의 연결성이 약하다. 내용의 제목을 ‘농촌다움’이나 ‘농업 구조의 다각화 사례’와 같이 수정하거나 농업 구조 다각화와 농촌다움의 개념 이 각각 구분되고 유의미한 연결이 되도록 내용의 보충이 요구된다.

그림 21. B 교과서 농촌다움 예시

3종의 교과서는 기술 혁신과 관련한 농업의 변화를 설명할 때 ICT와 융합된 농업의 사례를 제시했다. 이때 A 교과서는 식물 공장, B 교과서는 스마트 팜, C 교과서 도시형 식물 농장의 용어를 사용했다. 이는 스마트 팜의 개념 도입 초기 에 사회적으로 합의된 통칭이 없었기에 교과서마다 유사표현으로 다르게 반영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동일 대상이 교과서마다 다르게 표현된 경우 학습자에 게 혼돈을 줄 수 있고 다르게 인식될 수도 있으니 일치된 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22. A 교과서 식물 공장

그림 23. B 교과서 스마트 팜

그림 24. C 교과서 도시형 식물 농장

이상과 같이 2015 한국지리 교과서 3종의 농업 단원 내용체계를 비교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 교과서가 적실성이 가장 높은 교과서로 확인되었다. <표 19> 내용 분석 기준표 50개의 항목으로 2015 한국지리 교과서 3종의 농업 단원 내용을 확인해보니 A 교과서는 30%, B 교과서는 28%, C 교과서는 62%가 부합하였 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 내용을 재검토한 결과, C 교과서의 본문과 학습자료는 현재 우리나라 농업정책에 따른 사례들을 본문과 학습자료에 반영하 였고, 이것이 다른 교과서들과의 차이로 여겨진다. 따라서 교과서의 자료는 신뢰 성과 현실성이 있는 최신 자료로 구성되어야 하며 사회 변화에 민감한 한국지리 교과서는 정기적으로 학습내용의 갱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과서 내용과 표현이 현재 상황에 들어맞는지 점검이 필요하다.‘이 촌 향도 현상’과 같이 현재에 적용되지 않는 내용과 용어는 교체해야 하며, 교 과서 본문 서술 시 과거와 현재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점(시각, 시대)을 설정하 고 그에 따라 기술하여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없애야 한다. 또한 유사의미로 혼 용되는 용어는 통용되는 기준으로 일치시켜야 한다.‘식물 공장’과‘스마트 팜’과 같이 유사의미로 혼용되는 용어는 동시대의 보편적 활용 상태를 고려하 여 교과서 간 표현을 일치시켜 학습자의 혼란을 줄여야 할 것이다.

셋째, 농업 단원의 내용체계는 기초 개념과 심화 개념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농업의 구조, 농업 생산 기반, 농업의 문제 등은 다양한 사회현 상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만으로 농업과 농업 구조 의 종합적인 상황을 통찰하기 어렵다. 따라서 농업 단원 학습에 필요한 학습내용 의 범위와 수준을 체계화하고 이를 기초 개념과 심화 개념으로 구분하여 교과서 에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제목, 학습목표, 본문은 가치중립적으로 서술되어야 한 다. 교과서의 표현은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잠재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가치중립적으로 표현하여 편향된 사고와 오개념을 발생하지 않아 야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9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