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사회적 농업’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사회적 농업이란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업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사회적 농업은 현 정부 국정과제 81 번째‘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산어촌 조성’의 내용에 포함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 지침에 따르면, 사회적 농업이란, 농업인을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와 농업 생산 활동 등을 통한 돌봄 ․ 교육 ․ 고용 효과를 도모하는 활동 및 실천이며, 농산물 생산 ․ 가공 ․ 유통을 포 함하여, 농촌자원을 활용하는 활동을 기반으로 돌봄 ․ 교육 ․ 고용 등의 효과를 도모하는 경제활동을 뜻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회적 농업의 한 부분으로 향후 농 업뿐만 아니라 교육, 건강,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될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회적 농업의 기원에서 찾을 수 있다.

사회적 농업의 시작은 유럽이다. 상업농업의 형태로 농업근대화의 한계에 이 르자 농업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대안으로 다기능 농업을 농업의 발전모델로 계 획하였다. 네덜란드, 독일, 스위스 등은 관행적인 농업생산과 농산물 판매만으로 는 농가 및 농촌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되자, 농업의 다원적 기능 을 기반으로 환경·사회·경제 측면에서 공공의 건강, 교육과 훈련, 사회통합과 포용, 지역개발을 추구하여 농업발전의 새로운 경로를 찾았다. 이에 우리나라에 서도 농업의 새로운 발전 모델로 사회적 농업을 도입하여 농가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사회통합 등의 효과를 기대하며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임송수(2017)는 사회적 농업은 서비스를 공급하는 농가뿐만 아니라 수요자 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대안이라고 했다. 이는 농업을 단순한 생산 차원이 아닌 공공재로서의 공익적 가치를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가치에 국한되지 않 은 공공재와 농업의 다양한 형태를 사회에 공급하는 것은 사회적-생태적으로 지 속가능성을 촉진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또한 사회적 농업은 지역 공동체와 밀접 하게 연계된 연결망 속에서 존재하는데, 지역의 자연환경, 전통과 문화, 식품 등 을 기반으로 영농활동이 이뤄진다는 것은 지역사회의 수요와 지지를 뜻한다(임 송수ㆍ임지은, 2017). 이는 지리학에서 사회적 농업을 주목할 이유가 된다. 따라 서 현재의 농업은 사회적 농업의 형태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변모 할 것으로 예상한다.

Ⅲ.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계를 통한 농업 단원 내용 분석 기준 설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동시에 갖춘 창의 ․ 융합형 인재의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개발되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개 발되게 된 배경은 사회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이다(한춘희·이 경윤, 2018).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따 라 고시되며, 초·중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청사진이자 학교교육 실천의 바탕 을 이룬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기에 교과서 분석에 앞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며, Ⅱ장에서 고찰되었던 농업의 변화와 연 계하여 농업 단원 내용 분석의 기준을 수립하려고 한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문·이과 계열 구분을 없애고, 인문·사회·과학기술 에 관한 기본 소양의 함양을 토대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생 참여 수업을 통해 학습의 흥미와 동기를 높여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행복교육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에 다 음과 같이 4가지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현재 교육활동 전반에서 실행하고 있다.

첫째,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 제시

둘째, 인문, 사회, 과학기술 기초 소양과 인성교육 강화 셋째, 교과 학습량의 적정화

넷째,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개선을 통한 교실 수업의 혁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