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동아리와 시민성 학습

Ⅱ. 이론적 배경

3. 학습동아리와 시민성 학습

가. 학습동아리의 개념과 역사

학습동아리는 ‘학습’이란 목적, ‘공동체’ 지향, 참여자의 삶의 터전인 ‘지역사 회’ 기반이라는 점에서 다른 모임과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동호회, 동문회, 향우회 등과 같은 소모임은 목적이나 활동내용의 제한이 없이 주로 친목과 상 호교류를 위한 모임 모두를 지칭하지만 학습동아리는 ‘학습’을 목적으로 하여 개인과 집단의 성장을 추구하는 학습공동체란 점에서 차이가 있다(국가평생교 육진흥원, 2014).

스터디 모임에서는 학습의 외적 가치인 개인의 시험이나 자격증 취득을 추구 하지만 학습동아리에서는 학습의 내적 가치인 학습내용을 통한 개인과 공동체 의 성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다른 모임, 즉 일반 소모임 이나 스터디 모임등이 학습동아리로 전환될 가능성은 언제든지 있다. 예를 들 어, 같은 동네에 사는 주부들이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모임에서 서로의 재능을 나누거나 관심 있는 주제를 학습하고 더 나아가 마을 공동체를 위한 활동을 하 는 모임으로 전환되는 경우이다(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스터디 모임과 학습 동아리의 비교를 표로 나타내면 <표 Ⅱ-1>과 같다.

<표 Ⅱ-1> 스터디 서클과 학습동아리의 비교

미국의 National Issues Forums 등

각종 스터디 서클, 스터디 그룹

와 임원을 비롯한 모든 학습자들은 모두가 학습자이자 교수자이다(국가평생교 육진흥원, 2014).

‘학습동아리’란 스웨덴이나 미국에서의 스터디서클(study circle) 또는 호주의 학습서클(learning circle), 일본의 자주학습조직(自主學習組織)과 유사한 용어로 써, 같은 주제에 관심이 있는 성인들이 함께 모여 공부하는 소모임을 지칭한다.

보통 5명~15명 내외의 성인들이 둥근 테이블에 둘러앉아 관심주제를 놓고 열 띤 토론을 하는 모습이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장면이다. 나라마다 또 상황 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본래는 같은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시민들이 함께 부 딪치는 문제에 대하여 공동의 해결방안을 찾거나 생각해보는 이슈 중심 토의가 중심이다.

스웨덴의 학습동아리 운동은 산업사회로의 전이 과정 속에서 사회갈등과 불 안이 고조된 문제상황에 대한 대응이었으며, 남미의 기독교기초공동체운동은 주 변국가로서 빈부갈등이 격화된 상황에서 공동체를 통하여 생존의 기반과 삶의 의미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였다. 반면에 미국의 북그룹운동과 일본의 자주학습 집단은 비교적 안정된 경제기반 위에서 중산층 중심의 문화교양의 추구의 경향 을 보여준다. 위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살펴보면 학습공동체는 사회적 상황 속 에서 자연스럽게 출현하며, 그 전개 과정 역시 사회적 맥락에 맞추어 변화하여 왔다.

한국 역사 속에서도 지역사회안에서 공동노동과 놀이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만들어왔던 ‘두레’와 다양한 목적에 따라 결사체를 이루고, 규약을 정해 상호 이 익을 도모했던 ’계‘ 와 같은 형태의 집단학습을 찾아볼 수 있고, 그 외에 사회운 동단체의 학습모임, 대학생들의 학회모임, 시민단체의 조직활동, 평생교육프로그 램의 후속 모임 등이 있으나,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학습동아리의 개념을 가지고 정책적으로 지원한 것은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 졌다. 국민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시민참여활동의 영역이 넓어지 고, 학습동아리 운동도 조금씩 넓혀가기 시작했으며 특히 YWCA의 학습공동체 운동과 지역사회교육협의회, 생활협동조합에서의 동아리 활동 등은 매우 주목할 만 하였다.

2001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가 해마다 선정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는 지역주 민의 성장 및 역량향상과 지역주민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를 실현하기 위

한 실천으로 학습동아리를 육성, 지원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동아리에 대한 국 가 정책과 지원이 거의 없었지만, 지역 특히 평생학습도시를 중심으로 학습동아 리가 성장 및 활성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박상옥, 2014).

나. 학습동아리의 유형과 특징

일반적으로 학습의 목적 및 그 학습의 특성과 의미에 따라 심화학습형, 전문 탐구형, 문제해결형 등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오혁진, 2006). 이 연 구에서는 생활적용형을 첨가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보고자 한다.

첫째, 심화학습형에 있어서, 프로그램과정 수료 후 참여자들은 배운 지식의 심화학습과 기술 습득을 위해 후속모임이 구성된다. 이러한 학습동아리는 개인 에게 학습의 초점을 맞추고, 배운 지식에다가 기술 및 전문적인 학습을 심화해 가는 것이 특징이다. 운영방식 또한 리더나 강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전문탐구형 학습동아리는 일정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공유한 학습자들 이 전문영역별로 스스로 선택한 주제를 가지고 공동으로 토의하고 탐구하기 위 해 만들어진다. 학습의 초점은 개인과 공동학습에 맞춰지며 전문가로서 더욱 전 문능력을 함양하고 전문지식을 재생산하여 보급하는 형태로 학습이 진행된다.

셋째, 문제해결형 학습동아리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나 당면과제나 장 기과제를 찾아내고 그 해결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시민운동 단체에 속해 있는 학습동아리들이 이 문제해결형의 특성을 지니고 이슈 중심의 관심을 가지 고 선호하는 주제로 학습을 한다.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하게 된다. 이 학습동아리의 리더는 실천적 전략가이 자 조직가, 토론 및 성찰의 촉진자 역할을 담당한다.

넷째, 생활적용형은 배운 것을 일상생활에서 바로 활용하는 유형이다. 영어독 서지도 동아리 참여자들은 자녀들의 영어를 가르치는 식으로 실생활에 응용한다.

취미생활을 즐기기 위한 합창동아리 활동을 발전시켜 노래를 통한 지역봉사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운 것들을 지역사회를 위하여 자원봉사라는 실천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학습동아리의 조직 유형에 있어서는, 학습동아리의 조직에는 참여자가 스스로

모여 결성되는 방법과 기관중심이 되어 결성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두 방법은 혼합되는 경우가 많은데 기관중심의 참여자가 소극성을 띠는 단 점을 최소화하고 참여자 중심의 적극성을 수용하는 차원에서 혼합형을 자주 볼 수 있다(신민선, 2004).

첫째로 참여자 주도형은 참여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동아리를 조직하는 경우 이다. 참여자가 공동의 관심에 대한 합의가 전제되므로 공동의 관심영역을 찾아 내는 것이 어렵지 않고, 참여자 스스로 자발적으로 모든 일을 계획하고 추진하 기 때문에 자발성과 능동성이 돋보인다.

둘째, 기관주도형은 기관 중심으로 일정한 계획 아래 육성되거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학습동아리가 조직되고 활동을 활성화는 과정은 순탄한 편이다. 또 한 학습동아리가 발전단계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발판으로 다시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에 학습동아리 활동이 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처음 출발선이 참여자 중심이 아닌 기관중심으로 기획된 것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주체성을 살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기관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동아리 운영과정의 합의 등에서 자율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낮아 명확한 목표설정에 따른 전체적인 공유가 필요하다.

셋째, 혼합형이다. 참여자의 관심과 요구에 따라 학습동아리를 구성 조직하는 과정에서 기관의 협조와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각 동아리는 기관과 소통을 하면서 필요한 학습과정을 주체적으로 선정하고 관련 전문가와 협의하면서 학 습자료 정보와 학습운영 방법을 모색하고 기관은 동아리의 설립목적과 의의를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는 사항들을 실행한다.

학습동아리의 활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첫째,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은 모든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조건 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든 참여자들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 에 참여한다. 둘째,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은 참여자들 간의 수평적 관계를 바 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참여자들은 학습자이면서 동시에 교수자의 역 할을 한다. 셋째,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은 ‘민주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조건’이 형성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경험, 역량, 견해 등이 학습의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서로 다름’을 나누고 공유하는 ‘대화’의 방식으로 학습한다. 따

라서 다양한 경험과 이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지식과 견해가 존중받는다. 넷째, 학습동아리의 활동 속에서 실천과 성찰의 학습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학습 동아리의 학습은 개인, 공동체, 지식, 지역 등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창조하는 생 산적 특징을 가진다.

다. 학습동아리 활동과 시민성 학습

학습동아리에서 학습자들은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토론 및 대화를 통하여 민 주적인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능력을 기르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스스로 정

학습동아리에서 학습자들은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토론 및 대화를 통하여 민 주적인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능력을 기르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스스로 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