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핏자국은 어디에서 날아왔을까?

☼ 실험방법

1. 우드락에 A4 한 장을 붙인 후 책상 바 닥과 10°를 유지하여 위치시킨다.

발혈점의 높이 100cm 책받침과

종이

각도계

2. 1m 높이에서 혈액 한 방울을 종이 위에 조심스럽게 떨어뜨린다.

3. 혈흔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측정한 다.

4. 10°~ 80°로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과정 ①~②를 반복한다.

<증거기록표>

빗면의 각도 (degree)

혈액의 충돌각도 (degree)

1차 2차 평균

혈흔의 특징 장축

(mm) 단축 (mm) 장축

(mm) 단축

(mm) 장축

(mm) 단축

(mm) 10°

20°

30°

40°

50°

☼ 실험 결과 및 토론

1. 혈액의 충돌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혈흔 장축의 길이는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래프에 나타내 보자.

2. 혈액의 충돌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혈흔 단축의 길이는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래프에 나타내 보자.

3. 위의 결과로 볼 때 혈액의 충돌 각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혈흔의 모양은 어떻게 변화된다고 말할 수 있는가?

☼ 실험 원리

혈흔분석가에게 소중한 정보 중 하나는 혈흔의 방향성이다. 방향성은 혈액이 목표 물에 닿을 때에 방울의 방향을 말한다. 혈액방울이 바닥이나 벽면과 같이 목표물 에 닿을 때 생성되는 꼬리나 자혈흔을 통해서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방향성은 거의 언제나 모혈흔의 장축과 평행선상이다. 충돌할 때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꼬리, 돌기, 또는 자혈흔이 부착되어 있다. 방향성 판단을 위해서는 자혈흔과 모혈 흔을 구분해야 하고 자혈흔의 꼬리는 모혈흔을 향해 생성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 다. 아래 그림을 통해서 혈흔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측정하면 혈액이 날아온 방 향과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개 이상의 혈흔을 조사함으로서 혈액이 처음으로 출발한 점 즉 발혈점을 추정할 수 있다.

<혈흔의 방향성>

sin  

  arcsin 



α = 혈액의 충돌 각도

ω = 단축의 길이 (혈흔의 폭) ι = 장축의 길이 (혈흔의 길이)

*arcsin은 sin 함수의 역함수

토 의 혈흔의 모양으로 발혈점을 찾아내자

1. 실험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혈액의 충돌 각도와 혈흔 모양의 관계를 글로 써보자.

2. 다음 사진은 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혈흔이다.

단축의 길이

장축의 길이

1) 이 혈흔은 어느 방향에서 날아온 혈액의 혈흔인가? 혈액의 진행 방향을 화살표를 써서 나타내시오.

2) 혈흔의 단축과 장축의 길이가 각각 10mm, 27mm 였다면, 이 혈액이 지 면에 충돌한 각도는 얼마 인가? 아래의 수식과 부록의 삼각함수 표를 참고 하여 해결해보자.

sin  

  arcsin 



α = 혈액의 충돌 각도

ω = 단축의 길이 (혈흔의 폭) ι = 장축의 길이 (혈흔의 길이)

*arcsin은 sin 함수의 역함수 이다.

혈액이 충돌한 각도 : °

[삼각함수표]

θ sinθ θ sinθ

0˚ 0.0000 45˚ 0.7071

1˚ 0.0175 46˚ 0.7193

2˚ 0.0349 47˚ 0.7314

3˚ 0.0523 48˚ 0.7431

4˚ 0.0698 49˚ 0.7547

5˚ 0.0872 50˚ 0.7660

6˚ 0.1045 51˚ 0.7771

7˚ 0.1219 52˚ 0.7880

8˚ 0.1392 53˚ 0.7986

9˚ 0.1564 54˚ 0.8090

10˚ 0.1736 55˚ 0.8192

11˚ 0.1908 56˚ 0.8290

12˚ 0.2079 57˚ 0.8387

13˚ 0.2250 58˚ 0.8480

14˚ 0.2419 59˚ 0.8572

15˚ 0.2588 60˚ 0.8660

16˚ 0.2756 61˚ 0.8746

17˚ 0.2924 62˚ 0.8829

18˚ 0.3090 63˚ 0.8910

19˚ 0.3256 64˚ 0.8988

20˚ 0.3420 65˚ 0.9063

21˚ 0.3584 66˚ 0.9135

22˚ 0.3746 67˚ 0.9205

23˚ 0.3907 68˚ 0.9272

24˚ 0.4067 69˚ 0.9336

25˚ 0.4226 70˚ 0.9397

26˚ 0.4384 71˚ 0.9455

27˚ 0.4540 72˚ 0.9511

28˚ 0.4695 73˚ 0.9563

29˚ 0.4848 74˚ 0.9613

30˚ 0.5000 75˚ 0.9659

31˚ 0.5150 76˚ 0.9703

32˚ 0.5299 77˚ 0.9744

33˚ 0.5446 78˚ 0.9781

34˚ 0.5592 79˚ 0.9816

35˚ 0.5736 80˚ 0.9848

36˚ 0.5878 81˚ 0.9877

37˚ 0.6018 82˚ 0.9903

38˚ 0.6157 83˚ 0.9925

39˚ 0.6293 84˚ 0.9945

40˚ 0.6428 85˚ 0.9962

41˚ 0.6561 86˚ 0.9976

42˚ 0.6691 87˚ 0.9986

43˚ 0.6820 88˚ 0.9994

44˚ 0.6947 89˚ 0.9998

45˚ 0.7071 90˚ 1.0000

참고 자료 말 없는 목격자, 혈흔

서울 교외의 한 흉가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빈방 안에는 두 사람의 시체와 벽에 뿌려진 다 량의 혈흔이 있었다. 문제는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지 모른다는 점이다.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살해하고 스스로 목 숨을 끊었거나, 서로 가해자이거나, 제 3자의 범 행일 수도 있다. 이런 사건이 생겼을 경우 어떻

게 범인을 밝혀낼까? 중요한 단서인 혈흔의 분석을 통해 함께 추적해보자!

만약 사람이 날카로운 도구에 찔리거나 뭉툭한 무언가에 얻어맞으면 피를 흘리게 된다. 이때 부상의 유형과 위치, 정도, 가해진 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혈흔이 만 들어진다. 핏방울이 형성되는 과정, 공기 중을 이동하는 속도, 여러 형태의 표면 에 부딪힐 때 핏방울이 일으키는 반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으면 수사는 한결 쉬워진다.

혈흔형태의 분석 결과는 사건 현장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진술 또는 분석 결과들과 일치해야 한다. 만약 여러 가지 분석 결과로 범행이 입증되었다 해도 혈흔형태 등 현장의 분석 결과와 기록이 이를 입증할 수 없다면 범죄를 확 인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혈흔의 형태는 사건 현장에서 혈흔의 여러 가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추 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범인과 피해자가 사건 당시 매우 심하게 다투었을 경 우 범인도 피를 흘렸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비산된 혈흔 가운데 자유낙하 혈흔 (정지된 상태에서 중력의 힘에 의해 떨어진 혈흔)이 발견되거나 또는 다른 혈흔 과 전혀 다른 각도에서 비산된 혈흔이 있다면 이는 범인이 흘린 혈흔일 가능성이 크다.

충돌각도가 예각이면 혈흔은 90도에서 만들어지는 둥근 형태가 아닌 타원형을 취하게 된다. 충격의 각도가 줄어들수록 혈흔은 더 길어지고, 약 30도에서 혈흔 의 꼬리가 가장 눈에 잘 띄게 된다. 조가비 형태의 혈흔은 핏방울이 수평 방향으 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각도가 예각일수록 핏방울의 한쪽에는 조가비 형 태가 아예 없게 되지만 반대쪽에는 아주 긴 조가비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범인이 심하게 다쳐서 도주한 경우 혈흔이 형성된 모양을 통해 범인이 도주 한 경로와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즉, 움직이면서 떨어진 혈흔의 경우 움직인 방향 쪽으로 위성 혈흔(본래의 혈흔 방울에서 떨어져 나가서 형성된 톱니모양의 혈흔)이 형성된다. 위성 혈흔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에 따라 도주 당시의 속력을

참고 자료 말 없는 목격자, 혈흔

추정하여 당시 상황을 재구성해본다. 그리고 이를 채취하여 분석을 하면 범인의 혈액형 및 유전자형을 알 수 있어 범인을 좁혀갈 수 있고, 용의자가 잡히면 그의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건 현장에서 혈흔의 흐름과 왜곡 현상이 많이 관찰되었다면 자살의 가능성은 작아진다. 즉, 피해자가 알 수 없는 둔기 등으로 맞아 의식을 잃고 출혈된 경우 혈액은 보통 중력 방향으로 흐른다. 중간에 누군가 시신을 움직이면 왜곡이 일어 나 혈흔의 흐름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시신 등에서 발견되는 왜곡 혈흔은 범인 이 시신을 옮기거나 다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혈흔이 없는 빈공간은 어떠한 물건이 놓여 있었는데 사후에 물건이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러 가지 혈흔의 비산된 방향을 분석하면 혈흔이 어느 곳 으로부터 비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범행의 중심 장소를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실험실에서도 미리 충격된 혈흔으로 줄기법(혈흔에 수많은 선을 연결하여 혈흔의 시작점을 찾는 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면 기원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의 혈흔의 모양이 실제의 사건현장에서 관찰된다. 손, 머리 카락 등에 묻은 혈흔이 다른 물건에 묻은 경우의 전달된 혈흔, 코 등에서 호흡에 의해 분출된 호기 혈흔, 파리 등이 옮겨서 마치 비산된 작은 혈흔처럼 보이는 파 리 얼룩 등 다양한 혈흔의 모양이 존재하고 이들은 사건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사건 현장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이러한 혈흔들은 범행도구로부터 혈흔이 이탈되 는 속도에 따라 보통 저속 혈흔, 중속 혈흔, 고속 혈흔의 3가지 종류로 나눈다.

저속 혈흔의 경우 초속 25피트(약 7.62m) 이하의 속도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것 인데, 자연적으로 떨어진 자유낙하혈흔 등이 해당된다. 중속 혈흔은 초속 25피 트~100피트(약 7.62m~30.48m)의 힘이 가해진 것으로, 동맥분출혈흔이나 이동하면 서 흘린 혈흔 등이 해당된다. 고속 혈흔은 초속 100피트(약 30.48m) 이상의 충격 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주로 총상이나 폭발에 의한 혈흔, 호기된 혈액 등이 해당 된다. 외국은 1983년 11월에 매도널 박사에 의해 국제혈흔형태분석전문가협회 (IABPA)가 결성되었으며 한국도 지난 2008년 6월 5일 한국혈흔형태분석학회가 창 립되어 출범하였다. 살인 사건 등 강력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현장에 흔적 이 있는 한, 완전범죄란 없다. 사건 당시에 피해자 또는 범인이 흘린 혈흔이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