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필수 유형 익히기  p.76~p.84

문서에서 0 3 위치 관계 (페이지 35-39)

= △ OBC

STEP 1 필수 유형 익히기  p.76~p.84

0486

③ ∠AOC는 µAC에 대한 중심각이다.  ③

0487

한 원에서 부채꼴과 활꼴이 같아질 때는 반원인 경우이므로

중심각의 크기는 180ù이다.  180ù

0497

ACÓ=OCÓ=OAÓ에서

CAO는 정삼각형이므로 ∠AOC=60ù

∴ ∠COD=180ù-(60ù+75ù)=45ù 따라서 µAC:µ CD=∠AOC:∠COD이므로 16:µCD=60ù:45ù

16:µCD=4:3, 4µ CD=48

∴ µ CD=12`(cm)  12`cm

0498 △

OPC에서 COÓ=CPÓ이므로

35∞

35∞ 105∞

70∞

70∞

O A P

B

C D

24 cm

∠COP=∠CPO=35ù ∴ ∠OCD=35ù+35ù=70ù

OCD에서 OCÓ=ODÓ이므로 ∠ODC=∠OCD=70ù

OPD에서 ∠BOD=35ù+70ù=105ù 따라서 µAC:µ BD=∠AOC:∠BOD이므로 µAC:24=35ù:105ù

µAC:24=1:3, 3µAC=24

∴ µAC=8`(cm)  8`cm

0499

ADÓ∥OCÓ이므로

O 40∞

40∞

40∞

A 100∞ B

D C

∠DAO=∠COB=40ù(동위각) 6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ODÓ를 그으면

ODA에서 OAÓ=ODÓ이므로 ∠ODA=∠DAO=40ù

∴ ∠AOD=180ù-(40ù+40ù)=100ù 따라서 µ BC:µAD=∠COB:∠AOD이므로 6:µAD=40ù:100ù

6:µAD=2:5, 2µAD=30

∴ µAD=15`(cm)  15`cm

0500

OAÓ∥CBÓ이므로 ∠OBC=∠AOB=20ù(엇각)

OCB에서 OCÓ=OBÓ이므로 ∠OCB=∠OBC=20ù ∴ ∠COB=180ù-(20ù+20ù)=140ù

따라서 µAB:µ BC=∠AOB:∠COB이므로 3:µBC=20ù:140ù

3:µBC=1:7 ∴ µBC=21`(cm)  21`cm

0501

∠BOC=∠x라 하면

OCÓ∥ABÓ이므로 ∠OBA=∠BOC=∠x (엇각)

OAB에서 OAÓ=OBÓ이므로 ∠OAB=∠OBA=∠x ∴ ∠AOB=180ù-(∠x+∠x)=180ù-2∠x 따라서 µAB:µ BC=∠AOB:∠BOC이므로 4:1=(180ù-2∠x):∠x

4∠x=180ù-2∠x, 6∠x=180ù

∴ ∠x=30ù, 즉 ∠BOC=30ù  30ù

0502

∠COD=∠x라 하면

ABÓ∥OCÓ이므로 ∠BAO=∠COD=∠x (동위각) 오른쪽 그림과 같이 OBÓ를 그으면

x x x 108∞

B C

A O D

BAO에서 OAÓ=OBÓ이므로 ∠OBA=∠BAO=∠x

∴ ∠AOB =180ù-(∠x+∠x)

=180ù-2∠x 이때 µAB:µ BD=3:2이므로 ∠AOB=180ù_ 3

3+2 =108ù

따라서 180ù-2∠x=108ù이므로 2∠x=72ù

∴ ∠x=36ù, 즉 ∠COD=36ù  36ù

0503

부채꼴 COD의 넓이를 x`cmÛ`라 하면

25ù:125ù=10:x이므로 1:5=10:x ∴ x=50

따라서 부채꼴 COD의 넓이는 50`cmÛ`이다.  50`cmÛ`

0504

부채꼴 AOB의 넓이를 x`cmÛ`라 하면 x:27=4:12이므로

x:27=1:3 3x=27 ∴ x=9

따라서 부채꼴 AOB의 넓이는 9`cmÛ`이다.  9`cmÛ`

0505

µAB:µ BC:µ CA=3:1:5이므로 세 부채꼴 AOB, BOC, COA의 넓이의 비도 3:1:5이다.

따라서 부채꼴 BOC의 넓이는

36_ 1

3+1+5 =4`(cmÛ`)  4`cmÛ`

0506

OAÓ=ABÓ=OBÓ에서

OAB는 정삼각형이므로 ∠AOB=60ù

∴ (부채꼴 AOB의 넓이):(원 O의 넓이) =60ù:360ù

=1:6

 ②

0507

ACÓ=BDÓ이므로 ∠BOD=∠AOC=40ù

∴ ∠COD=180ù-(40ù+40ù)=100ù  ⑤

0508

∠AOC=∠BOD`(맞꼭지각)이므로

BDÓ=ACÓ=5`cm yy 40 %

또 ∠BOD=∠BOE이므로 BEÓ=BDÓ=5`cm yy 40 % ∴ BDÓ+BEÓ=5+5=10`(cm) yy 20 %

 10`cm

채점 기준 비율

BDÓ의 길이 구하기 40 %

BEÓ의 길이 구하기 40 %

BDÓ+BEÓ의 길이 구하기 20 %

http://hjini.tistory.com

05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Ó를 그으면

8 cm 12 cm A

B O C

µAB=µAC이므로 ∠AOB=∠AOC ∴ ACÓ=ABÓ=12`cm 또 OCÓ=OBÓ=8`cm (반지름)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ABÓ+OBÓ+OCÓ+ACÓ =12+8+8+12

=40`(cm)  40`cm

0510

①, ② ∠AOB=∠DOE이므로 ABÓ=DEÓ, µAB=µ DE ③ 중심각의 크기와 호의 길이는 정비례하므로 µAC=2µ DE ④ ∠AOB=∠BOC=∠DOE이므로 ABÓ=BCÓ=DEÓ

따라서

ABC에서 ACÓ<ABÓ+BCÓ=2DEÓ ⑤ 중심각의 크기와 부채꼴의 넓이는 정비례하므로 (부채꼴 AOC의 넓이)=2_(부채꼴 DOE의 넓이)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④

0511

① AOÓ=BOÓ이지만 ABÓ+AOÓ이다.

② ∠AOC의 크기와 ∠BOD의 크기는 알 수 없다.

③ 중심각의 크기와 호의 길이는 정비례하므로 µAB=3µ CD ④ 중심각의 크기와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ABÓ+3 CDÓ

⑤ 중심각의 크기와 부채꼴의 넓이는 정비례하므로 부채꼴 COD의 넓이는 부채꼴 AOB의 넓이의 ;3!;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 ③

0512

㉠ 중심각의 크기와 호의 길이는 정비례하므로 µ CD=2µAB ㉡ 중심각의 크기와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CDÓ+2ABÓ

㉢ 중심각의 크기와 삼각형의 넓이는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OCD+2

OAB

㉣ 중심각의 크기와 부채꼴의 넓이는 정비례하므로 (부채꼴 OCD의 넓이)=2_(부채꼴 OAB의 넓이)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 ㉠, ㉣

0513

(둘레의 길이)=2p_5+2p_;2&;+2p_;2#;

=10p+7p+3p   

=20p`(cm)

(넓이)=p_5Û`-p_{;2&;}2`+p_{;2#;}2`

=25p-:¢4»:p+;4(;p   =15p`(cmÛ`)

 둘레의 길이:20p`cm, 넓이:15p`cmÛ`

0514

⑴ (둘레의 길이) =2p_8+2p_4

=16p+8p=24p`(cm) (넓이) =p_8Û`-p_4Û`

=64p-16p=48p`(cmÛ`) ⑵ (둘레의 길이) =2p_6+2p_3

=12p+6p=18p`(cm) (넓이) =p_6Û`-p_3Û`

=36p-9p=27p`(cmÛ`)

 ⑴ 둘레의 길이:24p`cm, 넓이:48p`cmÛ`

⑵ 둘레의 길이:18p`cm, 넓이:27p`cmÛ`

0515

(넓이)=p_2Û`_;2!;+p_4Û`_;2!;-p_2Û`_;2!;

=8p`(cmÛ`)  8p`cmÛ`

0516

가장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나머지 두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크기순으로 2r`cm, 3r`cm이므로 2_3r=12 ∴ r=2

즉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크기순으로 2`cm, 4`cm, 6`cm 이다.

∴ (둘레의 길이) =2p_2+2p_4+2p_6

=4p+8p+12p   

=24p`(cm)  24p`cm

0517

(넓이)=;2!;_6_8p=24p`(cmÛ`)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 하면 2p_6_;36{0;=8p ∴ x=240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240ù이다.  ⑤

0518

⑴ (호의 길이)=2p_3_;3¤6¼0;=p`(cm)

(넓이)=p_3Û`_;3¤6¼0;=;2#;p`(cmÛ`) ⑵ (호의 길이)=2p_8_;3!6#0%;=6p`(cm) (넓이)=p_8Û`_;3!6#0%;=24p`(cmÛ`)

 ⑴ 호의 길이:p`cm, 넓이:;2#;p`cmÛ`

⑵ 호의 길이:6p`cm, 넓이:24p`cmÛ`

다른 풀이

⑴ (넓이)=;2!;_3_p=;2#;p`(cmÛ`) ⑵ (넓이)=;2!;_8_6p=24p`(cmÛ`)

0519

(넓이)=;2!;_12_7p=42p`(cmÛ`)  42p`cmÛ`

0520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cm라 하면 ;2!;_10_l=30p ∴ l=6p

따라서 구하는 호의 길이는 6p`cm이다.  ⑤

http://hjini.tistory.com

0521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 하면 3p=p_6Û`_;36{0; ∴ x=30

따라서 구하는 중심각의 크기는 30ù이다.  ⑤

0522

반지름의 길이가 6`cm이고 호의 길이가 2p`cm인 부채꼴의

넓이는

;2!;_6_2p=6p`(cmÛ`)

즉 p_4Û`_;36{0;=6p이므로 x=135  135

0523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80ù_(5-2)

5 =108ù이므로 ∠ABC=108ù 따라서 부채꼴 ABC의 넓이는

p_10Û`_;3!6)0*;=30p`(cmÛ`)  30p`cmÛ`

0524

(둘레의 길이)

135∞

4 cm 4 cm

=㉠+㉡+㉢_2

=2p_8_;3!6#0%;+2p_4_;3!6#0%;

+4_2

=6p+3p+8=9p+8`(cm)  (9p+8)`cm

0525

(둘레의 길이)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사분원의 호의 길이)_4 ={2p_4_;4!;}_4=8p`(cm)  ②

0526

(둘레의 길이)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사분원의 호의 길이) +(지름의 길이가 6`cm인 반원의 호의 길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2p_6_;4!;+2p_3_;2!;+6 yy 50`%

=3p+3p+6=6p+6`(cm) yy 50`%

 (6p+6)`cm

채점 기준 비율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식 세우기 50`%

둘레의 길이 구하기 50`%

0527

(둘레의 길이)

=2p_6_;3¢6¼0;+2p_4_;3¤6¼0;+2+6+4 =;3$;p+;3$;p+12

=;3*;p+12`(cm) {;3*;p+12}`cm

0528

(둘레의 길이)

=2p_12_;3@6!0);+2p_6_;3@6!0);+6+6

=14p+7p+12=21p+12`(cm)  ⑤

0529

(둘레의 길이)=µAE+µ BE+ABÓ =µAE+µ CE+ABÓ

=µAC+ABÓ

=2p_6_;3»6¼0;+6

=3p+6`(cm)  (3p+6)`cm

0530

(넓이)

10 cm

10 cm

=(빗금친 부분의 넓이)_2

={p_10Û`_;4!;-;2!;_10_10}_2 =(25p-50)_2

=50p-100`(cmÛ`)  (50p-100)`cmÛ`

0531

(넓이)=p_4Û`_;3¢6°0;-p_2Û`_;3¢6°0;

=2p-;2!;p=;2#;p`(cmÛ`) ;2#;p`cmÛ`

0532

(넓이)=p_4Û`_;4!;-p_2Û`_;2!;

=4p-2p=2p`(cmÛ`)  ①

05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EFÓ, FGÓ를 그

20 cm 20 cm

A

B E

G F

C D

으면

(넓이)

=(사각형 ABCD의 넓이) -(사각형 EBGF의 넓이) -(부채꼴 AEF의 넓이)_2

=20_20-10_10-{p_10Û`_;4!;}_2 =400-100-50p

=300-50p`(cmÛ`)  (300-50p)`cmÛ`

0534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을 옮기

8 cm

8 cm

(넓이)=(정사각형의 넓이)_;2!;

=8_8_;2!;

=32`(cmÛ`)  ④

05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을

10 cm

5 cm

옮기면

(넓이) =(직사각형의 넓이)

=5_10=50`(cmÛ`)

 ②

http://hjini.tistory.com

053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을 옮기면

8 cm

(넓이)

={(반지름의 길이가 8`cm인 사분원의 넓이) -(직각삼각형의 넓이)}_2

={p_8Û`_;4!;-;2!;_8_8}_2

=(16p-32)_2

=32p-64`(cmÛ`)  (32p-64)`cmÛ`

053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을 옮기

O

4 cm

(넓이)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반원의 넓이)

=p_4Û`_;2!;

=8p`(cmÛ`)  8p`cmÛ`

053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을

6 cm

6 cm

옮기면 yy 50`%

(넓이)=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사각형의 넓이)_2

=(3_3)_2

=18`(cmÛ`) yy 50`%

 18`cmÛ`

채점 기준 비율

도형의 일부분을 적당히 옮기기 50`%

넓이 구하기 50`%

053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

A D

C

45∞ B 12 cm

을 옮기면 (넓이)

=(부채꼴 CAB의 넓이) -(

DAB의 넓이)

=p_12Û`_;3¢6°0;-;2!;_12_6

=18p-36`(cmÛ`)  (18p-36)`cmÛ`

0540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B C

8 cm

8 cm = 8 cm +

-+ 6 cm

6 cm 6 cm

10 cm 10 cm

∴ (넓이)=p_4Û`_;2!;+p_3Û`_;2!;+;2!;_8_6 -p_5Û`_;2!;

=8p+;2(;p+24-:ª2°:p

=24`(cmÛ`)  24`cmÛ`

0541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B

B′

= + 45∞

-16 cm

16 cm 16 cm

45∞

16 cm

∴ (넓이)=p_8Û`_;2!;+p_16Û`_;3¢6°0;-p_8Û`_;2!;

=32p`(cmÛ`)  32p`cmÛ`

0542

(부채꼴 FBC의 넓이)=㉠+㉡,

12 cm A

B C

F E D

(직사각형 ABCD의 넓이)=㉡+㉢이 고 ㉠=㉢이므로

(부채꼴 FBC의 넓이)

=(직사각형 ABCD의 넓이) 따라서 p_12Û`_;4!;=12_ABÓ에서

36p=12ABÓ ∴ ABÓ=3p`(cm)  ②

0543

6 cm 18 cm

위 그림에서 곡선 부분의 길이는 {2p_3_;2!;}_2=6p`(cm) 직선 부분의 길이는 18_2=36`(cm)

따라서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6p+36)`cm이다.

 ③

0544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 부분의 길이는 120∞

120∞ 4 cm 120∞

{2p_4_;3!6@0);}_3=8p`(cm) 직선 부분의 길이는

8_3=24`(cm)

따라서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8p+24)`cm이다.  ④

문서에서 0 3 위치 관계 (페이지 35-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