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작품의 구조와 기법

2. 플롯과 스토리 대비

스토리는 소재의 시간 순서에 따른 배열로서 플롯을 통해서만 환원될 수 있 다. 여기서 플롯은 원소재를 예술적인 이야기로 재구성한 것을 가리킨다.19) 따 라서 스토리가 소재로서의 이야기라면, 플롯은 그 소재를 미적으로 변형시킨 예술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롯의 의미작용과 미적기능을 검증 하기 위해서는 스토리의 환원과 대비과정이 필요하다.

스토리를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요약을 통해 플롯의 이야기 질서로 정리한 뒤, 그것을 다시 사건(이야기)의 발생 시간순서로 되돌리면 스토리의 질서 (story-line)가 된다.

이렇게 요약된 두 가지의 이야기 질서는 동일면상에 상하로 배열하여 시간 순서에 맞게 대비시켜 보면 <그림 1>처럼 나타난다.20) 여기서 변형원리의 탐 구를 위해서는 플롯의 이야기 배열순서와 스토리의 순서를 대비하여 삽입된 미적 기법을 찾아내고, 그 기능을 해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플롯의 이야기 배열순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플롯>

<1> 신실한 새벽 예배 준비→ <2> 기도와 속죄의 생활→ <3> 회개→ <4>

회개의 삶→ <5> 아내에 대한 연민→ <6> 되살아난 욕정→〈7> 김집사의 음 19) 안성수(1999), “현대소설의 교수방법과 표상형식 -〈그림 지도법>을 중심으로-”, 「

白鹿論叢」 第1輯, 제주대학교. p.24. 여기에서 필자는 플롯과 스토리와 대비 과정에 서 “스토리를 플롯으로 변형시켜 재구성하기 위해 도입된 온갖 미적 창조기법들이 발견되고, 발견된 기법들은 작가의 예술적 창작의도나 텍스트의 의미구조와 관련시 켜 해명하면 플롯의 미학성을 밝혀내는 근거가 된다”고 하였다.

20) 플롯과 스토리의 대비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은 체사레 세그레의 논문, “설화분 석․설화논리 및 시간”에 제시되어 있다. 김병욱, 최상규 역(1983), 「현대소설의 이 론」, 대방출판사, pp.69∼80.

모와 거지애(만남 3)→ <8> 구원에의 탄식과 성적 욕망→ <9> 육욕과 형벌→

<10> 성적 만족과 신앙적 열망→ <11> 김집사의 위선적 행동→ <12> 폭행 과 화해→ <13> 대주의 이기주의→ <14> 대주의 인생관→ <15> 타락한 대 주→ <16> 타락한 선희→ <17> 목사의 사표 제출→ <18> 사태 수습→

<19> 방화→ <20> 김집사의 추궁→ <21> 삼애의 발병→ <22> 죄의식의 각 성 → <23> 신앙적 구원의 욕구→ <24> 연민→ <25> 죄의 유혹과 발병→

<26> 선희와 대주의 만남→ <27> 정욕의 억압과 탄식→ <28> 선희와 대주 의 외박→ <29> 대주의 타락과 연민→ <30> 오해와 음모→ <31> 일기책으 로 인한 갈등→ <32> 죄의식과 허무감→ <33> 경선의 가출→ <34> 죄의식 의 자각과 뉘우침→ <35> 대주의 공금 탈취와 사직요구→ <36> 목사의 누명 벗기→ <37> 교회를 떠나는 목사와 광주.

플롯이 소재를 예술적으로 변형시키는 2차 이야기의 생성원리라고 한다면 텍스트의 이야기 배열질서는 곧 플롯의 배열순서가 된다. 그러므로 바로 위에 서 추출해낸 의미망은 플롯의 방법이 된다. 이러한 이야기 배열순서를 절대시 간 순서로 환원시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스토리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 다

<스토리 라인>

〈20〉→〈5〉→〈15〉→〈8〉→〈32〉→〈1〉→〈2〉→〈4〉→〈30〉→〈9〉

→〈6〉→〈14〉→〈7〉→〈13〉→〈3〉→〈10〉→〈11〉→〈12〉→〈16〉→

〈17〉→〈18〉→〈19〉→〈21〉→〈22〉→〈23〉→〈24〉→〈25〉→〈26〉→

〈27〉→〈28〉→〈29〉→〈31〉→〈33〉→〈34〉→〈35〉→〈36〉→〈37〉

이제, 플롯과 스토리 라인을 대비시켜 보면 이야기의 미적 변형 과정에서 삽 입된 다양한 소설의 기법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시간착오, 패턴, 콜라주, 시점 등의 원리가 중요한 창작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다. 여기서 숫자 번호는 앞에서 요약 제시한 시퀀스의 명칭이다. 시간착오는 주로 소급제시와 요약반복서술, 단회서술, 감속 등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쓰 이며, 사전제시는 시퀀스 5에서 찾을 수 있다. 패턴은 크게 속죄와 구원의 패 턴(시퀀스 5, 9, 18, 29), 실천적 사랑의 자각 패턴(시퀀스 3, 7, 19, 23, 33, 35), 일상적 속죄 패턴(시퀀스 1, 2, 3, 4, 7, 8) 등 3 가지가 발견된다. 콜라주는 시 퀀스 5와 34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의 기능과 의미작용에 대한 소설 미학적 논의는 다음 장에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그림으로 정리하면 <그림 1>과 같다.

패 턴

이야기 주체: 광 주(주체)

대주 광주․대주 광주 광주․대주 광 주

<시간착오> 1 : 소급제시, 요약반복서술, 2 : 소급제시, 요약반복서술, 3 : 소급제시, 4 : 소급제 시, 요약반복서술, 5 : 소급제시, 사전제시, 6 : 소급제시, 7 : 소급제시, 8 : 소급제시, 14 : 소 급제시, 15 : 소급제시, 20 : 소급제시와 단회서술, 30 : 소급제시와 단회서술, 32 : 소급제시 와 감속.

<패턴> ① 속죄와 구원의 패턴 : 5, 9, 18, 29. ② 실천적 사랑의 자각 패턴 : 3, 7, 19, 23, 33, 35. ③ 일상적 속죄 패턴 : 1, 2, 3, 4, 7, 8.

<콜라주> 5, 34.

<그림 1> 플롯과 스토리 대비

p: 1 2 3 4 5 6 7 8 9 10 1112131415 1617181920 2122232425 2627282930 3132333435 3637

s

: 20 5 8 1532 1 2 4 9 30 6 14 7 13 3 1011121617181921222324252627282931333435 36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