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번 평가 기준 방법

1 과학적 탐색

○ 문명의 발달이 지리학의 발달(지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아는가?

○ 지구 구형의 증거를 알고 있는가?

○ 지구의 둘레를 측정한 에라토스테네스의 가정을 알고 있는가?

○ 여러 가지 좌표계를 알고 있는가?

○ 경도와 위도의 개념과 결정 방법을 알고 있는가?

개별과제 (보고서)

2 창의적 설계

○ 어느 지점의 위치를 어떻게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가?

○ 지도의 목적을 잘 설명하는 방법은?

○ 지도를 정확하게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요소는?

○ 지도의 방위를 표시하는 방법은?

조별과제 (포트폴리오)

3 감성적 체험

○ 고 지도의 표현 방법을 알아보자.

○ 프톨레마이오스의 고지도의 모습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고지도를 수집하여 보자?

조별발표

4 태도

○ 토의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가?

○ 좌표계를 결정하는 기준을 알고 있는가?

○ 우리 지역의 지도를 그릴수 있는가?

발표관찰

지리학의 발달과 지도

과목 과학 수업차시 1/3 차시

단원 태양계와 지구

교육과정 지구의 표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좌표 계와 지도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해 안다.

학습목표 지리학의 발달은 지도의 작성과 함께 나타났으며 지도의 표시방법이 변해왔음을 안다.

학습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준비물

도입 (10분)

 지도의 탄생

Co 우리의 중요한 재산인 땅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땅을 나타내는 지도의 발생 과정

학습활동 (35분)

지도의 발전

Co 고대 바빌론의 지도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 경·위도의 개념.

메르카토르의 지도.

여러 가지 투영법.

CD 지도를 작성할 때 여러 가지 투영법이 사용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여러 가지 고지도

마무리 (5분)

Co 천문학의 발달이 지도 작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안다.

ET

지도상의

유의점 지리학의 어원에서 지리는 땅을 나타내는 일임을 알고 지도의 발달과 연관시킨다.

지구의 크기와 위도 경도의 결정

과목 과학 수업차시 2/3 차시

단원 태양계와 지구

교육과정 지구의 표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좌표 계와 지도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해 안다.

학습목표 지구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경도, 위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안다.

학습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준비물

도입 (10분)

 지구 구형의 증거

Co 지구 구형의 증거를 알아보자.

자전축이 기울어진 지구가 공전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알아보자.

학습활동 (35분)

 지구의 크기 측정

Co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둘레 측정

구형인 지구에서 지표면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좌표의 개념이 형 성

경도 위도 좌표계 경도와 위도의 측정 방법 메르카토르 도법

CD 여러 가지 투영법에 대해 조사해보자.

여러 가지 도법 자료

마무리 (5분)

ET 현재 지리학의 발달에 결정적 역할을 한 메르카토르에 대해 알아보 자.

지도상의 유의점

실제 지표면의 모습과 가장 유사한 지도를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도법이 발달하였음을 이해시킨다..

여러 가지 지도의 요소와 GPS

과목 과학 수업차시 3/3 차시

단원 태양계와 지구

교육과정 지구의 표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좌표 계와 지도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해 안다.

학습목표 지도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 지도의 요소를 알고 현대 지리학의 중요 개념을 안다.

학습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준비물

도입 (10분)

 지도의 표시요소

Co 지도의 표시요소는?

학습활동 (35분)

 여러 가지 지도 요소

Co 제목: 지도의 내용을 알려주는 가장 일반적인 요소 축척: 지구의 표면을 일정한 비율로 줄여서 표현 범례: 지도를 읽기 위하여 지표의 현상을 표시

방위: 지도에 곡 필요한 요소로 일반적으로 지도의 상단은 북방향

 현대지리학의 발전

Co GIS(지리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PS(위성 항법 장치 Global Positioning System)

CD GIS와 GPS의 의미와 사용.

지도

마무리

(5분) ET GPS의 발달로 지리학의 커다란 발전이 이루어짐

지도상의

유의점 GPS가 어떻게 실제 생활에 적용되는 지를 조사해 본다.

■ 학생 활동지 : 수업지도안 Ⅳ

1차시 지리학의 발달과 지도

지리학(Geography)은 전통이 매우 깊은 학문으로 분야의 범위나 대상이 약간씩 다를 수는 있지만 고 대 그리스 혹은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땅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연구하는 Geography 또는 地理라는 학문 분야가 있었다. 인간이 땅을 밟고 공간을 점유하고 살아간다는 사실이 당연한 것이기에, 그 땅에 대한 철학적 의문을 가지는 것 또한 본능일지도 모른다. 지리학의 근본적인 발상은 ‘남의 땅은 어떻게 되어 있는가.’ 지리학의 명칭이 geo(땅)과 graphia(표시)인 이유가 될 것이다. 지리학의 발달과 더불어 지 도의 제작이 시작되었다. 이다.

활동 1. 가장 오래된 지도 Imago Mundi

가장 오래된 지도는 기원전 9세기 고대 바빌론으로 거슬 러간다. 1961년 터키의 차탈휘유크 시내 지도가 벽에 그려 진 형태로 발굴된 벽화는 기원전 8500년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Imago Mundi라고 알려진 6세기의 서판은 유프라테 스 강 유역의 바빌론은 묘사하고 있는데 세계의 이미지라 는 이름이 붙었다. 7각형의 별모양으로 된 7개의 섬을 동 반한 Bitter River가 둘러싸고 있는 Assyria, Uratu 그리고 몇몇 도시들을 볼 수 있는 둥근 대륙에 둘러싸인 유프라테 스강의 바빌론을 보여준다. 대륙을 둘러싼 대양 너머에 잇 는 7개의 지역에는 텍스트로 된 주석이 달려잇는데 그 서 술들 중에서 다섯 개가 남아 있다.

활동 2. 프톨레미의 지리학 출간

근대적 의미의 지도 제작술의 발전은 14세기 후반에 재 발견된 프톨레미(Claudius Ptolemy, 90~168년 추정)의 『지

리학(Geographia)』에 의해 시작되었다. 물론 그 이전에도 지도를 통한 풍경이나 지형에 대한 묘사가 아 나톨리아 지방(지금의 터키)의 동굴 벽화에 나타나기도 하고, 기원전 6세기경, 밀레투스 지역에서 활동하 던 철학자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er)에 의해 실제로 지도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원후 2세기경, 로마 문명의 사상적 중심지였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인 프톨레미는 아리 스토텔레스의 세계관과 그리스 천문지리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구 중심의 천체 운행에 대한 수학적 이론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세계지도를 경위도상에 반영한 탁월한 인물이었다. 그는 총 8권으로 구성된 『지리학』을 기원후 150년경에 출간했다.

원본은 아쉽게도 유실되었기 때문에, 후대의 복사본에 의존하여, 프톨레미가 세계지도를 그의 책에 포 함시켰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후대의 기록에 의존하여 세계지도 한 장과 26종류의 지역지도가 포함 되어 있었다고 추정되는데, 후대의 판본으로 넘어가면서 아예 이 지도들이 책의 내용으로 포함되었다.

물론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대해 반대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린 것이다. 2,000여 년 전, 프톨레미는 고대 그 리스로부터 물려받은 지리학 이론을 토대로 세계 지도를 그렸다.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표현하 기 위해 지도의 경선과 위선을 모두 곡선으로 묘 사했다. 지구 둘레에 방위를 나타내는 12명의 신 이 바람 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 흥미로우며 동 양의 끝을 인도가 아닌 중국까지 넓힌 것도 주목 할 부분이다. 그리스인의 상상이 함축적으로 표 현된 이 지도는 9세기 무렵 중동지역에서 연구되 기 시작했고, 1406년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서구 유럽의 지도제작에 눈을 뜨게 했다

활동 3. 메르카토르의 출현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과 벨기에의 앤트워프 를 중심으로 지도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사제지간인 게마 프리지우스(Gemma Frisius)와 헤르하르뒤스 메르카토르(Gerardus Mercator)는 당대의 지도 제작 분야에 큰 족적 을 남긴 학자들이다. 과학적 측량을 중요시했던 프리지우스는 루뱅 대학의 교수로 수학, 지리학, 측량학 분야의 이론뿐만 아니라 항해도 및 세계 지도의 제작에 뛰어났으며, 메르카토르 (1512~1594)는 1569년에 Nunes의 이론적 원리 를 이용해서 메르카토르 투영법을 개발하였다.

메르카토르는 스승의 지도 제작을 도우면서 1538년에는 두 개로 나누어진 하트형 투영법으로 세계 지도를 만들었으며, 1554년에는 15장의 유럽 지도를 제작하였고, 1564년에는 8장으로 된 영국 지도, 1569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18장으로 된 세계 지도를 완성하였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항해에 필수적인 메르카토르 도법을 정착시킨 점이며 이후부터 지리적 지식이 확산되어 벽걸이 지도부터 낱장의 지도까 지 다양한 지도가 제작ㆍ보급되었다.

활동 4. 현대 지도의 투영법

지도는 구형(球形:회전타원체)을 이루는 지구 표면을 평면상에 나타내는 것이나, 거리·면적·모양 등 어 느 면에서도 조금도 왜곡됨이 없이 평면에 전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지구는 반지름 약 6,370km에 이르는 크기이므로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좁은 범위를 한 장의 지도에 나타낼 경 우에 한해서만 실질적으로 왜곡이 전혀 없는 지도를 작성할 수가 있다. 지구 표면상의 각 구점(球點)을 평면상에 표시하는 방법, 실제문제로서는 지구상의 경위선을 평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지도투영법이라 고 한다.

지구상의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지도를 작성할 경우에는, ① 특정한 방향에 대해서 거리를 정확 히 유지할 것, ② 어느 부분에서도 면적을 정확히 유지할 것, ③ 임의의 지점간의 방향을 정확히 유지할

한편 투영면에서 분류하면, 지구에 접하는 평면에 직접 투영하는 방위도법 외에 지구에 접하는 원뿔 또는 원통에 투영한 후 그것을 평면에 전개하는 원뿔도법이나 원통도법이 있고, 다시 그것들을 변경시 킨 의방위도법(擬方位圖法)·의원뿔도법·의원통도법 등도 있다. 정거도법의 경우에는 어떤 특정한 방향선 상에서만 거리의 관계가 정확하게 나타날 뿐이기 때문에 정거방위도법·정거원뿔도법(톨레미도법)·정거원 통도법 등이 고안되고 있다.

정적도법의 지도에서는 면적이 정확히 나타나므로 몇 개 지역의 면적을 비교한다든가, 면적을 정확히 나타낼 필요가 있는 분포도 등에 적합하나 크건 작건 간에 면적의 왜곡이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 다. 정적도법에는 람베르트정적방위도법·람베르트정적원뿔도법 외에 의원추도법인 본도법, 의원통도법에 속하는 상송도법 및 몰바이데도법 등이 있다.

정각도법의 지도는 비교적 좁은 범위이면 모양의 왜곡이 적어 유리하나, 넓은 범위의 지도면 면적의 왜곡이 커진다. 정각원통도법인 메르카토르도법은 고위도에 이르면 거리나 면적이 몹시 커지기는 하나, 경선과 같은 각도에서 교차되면서 진행하는 항정선(航程線)이 항상 직선으로 나타나는 유일한 투영법으 로 해도(海圖)의 도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정각도법으로서는 방위도법 중의 평사도법(平射圖法) 이나 람베르트정각원뿔도법 등이 있다.

2차시 지구의 크기와 위도 경도의 결정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숙련된 지도 작성자였다. 기원전 5~6세기쯤 그들은 지중해, 유럽, 아시아의 넓 은 부분, 아프리카 등 자신들이 알고 있는 세계의 지도를 그렸다. 특히 그들이 그린 지도는 거리를 측정 하기 위한 과학적인 도구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놀랄 만큼 정확했다. 탈레스는 지구의 모습을 평평 하거나 물 위에 떠 있는 원판일 것이라고 상상 하였으며, 이때부터 지구의 형상에 대해 과학적인 사고 를 갖고 지도를 그리기 시작했다.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os), 헤카타이오스(Hecataeos), 헤로도토스 (Herodotos) 등이 그린 세계 지도는 지구 구체설이 나오기 전에 제작되었으며, 피타고라스를 중심으로 한 동료 과학자들은 둥근 지구에 대한 확신을 갖고 지도 제작에 접근하였다. 그 후 플라톤과 아리스토 텔레스는 태양의 고도나 낮의 길이에 따른 지구 구체설에 근거하여 지도를 그렸으며, 에우독수스 (Eudoxus)와 디카르추스(Dicaearchus)도 수학적인 근거에 의해 경위선을 설정하여 위치를 잡는 기법을 응용하기 시작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이자 도서관장인 에라토스테네스는 실제 측정을 실시하여 지구의 규모를 계산하고 좌표 개념을 도입하여 지도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또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 르코스는 지구를 360°로 구분하고 경위선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고도계를 발명하였고 지도의 투영법인 정사 도법과 평사 도법을 고안하였다. 그는 투영상 왜곡도를 산술적으로 계산하는 등 지도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활동1. 지구 구형의 증거

고대인들이 생각한 지구는 평탄한 모습이었다. 지구 의 외형이 둥글다는 주장은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 (B.C. 532)에 의해서 처음 주장되었다. 그 후에 아리스토 텔레스가 월식이 일어날 때 달 표면에 비친 지구의 그 림자를 관찰하여 이러한 주장에 증거를 제시하기도 하 였다. 중세에는 기독교의 신앙적인 압박에 의해서 지구 가 둥글다고 하는 주장은 금기시되었으나 지구가 둥글 다고 하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마침내 지리상 발 견시대에 마젤란에 의해서 입증되었다. 그는 세계일주

항해를 통해서 확

실한 증명을 해보인 것이다. 특히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로 생각할 수 있는 현상은 항구에 정박하러 들어오는 배가 항구에서 먼 거리 서 가까이 오면서 시야에 들어오는 배의 모습 등으로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최근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지구의 사진이 원형으로 나타나는 것도 증거로 볼 수 있다.

활동2. 좌표계

좌표계: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지구좌표: 지구상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구면좌표를 사용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