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톈진

문서에서 중국 중국 중국 (페이지 110-113)

가. 강점 및 기회요인

(1) 북중국 항만물류발전계획

톈진항은 서부대개발, 베이징올림픽 및 중국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전략의 추 진 등을 고려할 때 북중국 항만 중 발전잠재력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톈진항의 항만개발전략은 이른바 남산북집(南散北集)전략으로 요약되는데 북강(北疆)지역에는 2009년까지 안벽길이 3,200m의 10개 선석을 추가로 개 발할 계획임. 이에 따라 2010년에는 연간처리 물동량이 1,000만 TEU에 달 할 전망이다. 남강(南疆)에는 2010년까지 20만 톤급 철광석터미널 2개 선석 과 20만~30만 톤급 원유터미널을 건설할 계획이다.

(2) 국제해운센터 목표로 물류기초시설에 대한 건설 강화

89)이암, (2006), 전게논문, pp.53-58.

첫째, 남쪽 건화물 물류센터의 건설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10기 5개년계획 기간 내 12㎢에 이르는 면적의 개발을 완료하고, 이와 동시에 국가전략차원 의 원유비축 프로젝트로서 건화물 물류센터 2기(14.8㎢)의 확장공사를 추진 한다.90)

둘째, 북쪽 컨테이너물류센터의 건설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05년까지 2.58㎢ 에 이르는 면적을 개발완료하고 ʻ제10기 5개년계획ʼ 기간 내 총 5.4㎢

면적의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심수항로공사 및 항만시설 건설을 위해 ʻ제11기 5개년계획ʼ 말기까지 15만 톤급 선박이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들 고, 2007년까지 20만 톤급 선박의 통항이 가능한 해로를 건설함으로써 톈진 항을 세계 최대의 인공심수항만으로 만들 계획이다.

(3) 전국을 대상으로 한 배송센터 설립

톈진항은 화물의 하역, 창고, 운송 및 금융, 무역, 서비스, 정보 등 다기능 의 현대물류플랫폼을 건설하고 전국적으로 영향력 있는 여러 개의 배송센터 를 설립할 계획이다. 먼저 톈진항의 남쪽에 현재 12㎢에 이르는 건화물 물류 센터를 건설하여 석탄, 메탄, 광석을 중심으로 창고, 가공, 배송, 서비스 등의 기능을 보유하는 한편, 국가전략차원의 원유비축프로젝트를 통해 남쪽항만구 역의 기존 80여 만㎥의 저장시설을 활용하여 석탄, 메탄, 석유, 화공품 등의 배송센터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북쪽에 건설될 컨테이너물류센터는 톈 진항의 컨테이너터미널과 우수한 기초시설을 활용하여 양질의 물류환경과 서 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배송센터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그 외에도 톈 진항은 화학비료배송센터, 철강배송센터, 목재배송센터, 건자재배송센터, 야채 과일배송센터 등을 설립할 계획이다. 이 같은 남산북집 의 2대 물류센터 와 기타 물품배송센터의 설립은 톈진항의 자원거점으로서의 입지를 크게 강 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91)

90) 박창호, "세계 속의 항만, 중국의 항만", 『해양한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01, p.76.

91) 김용기, (2004.12), 전게서, p.56.

(4) 항만가공업의 적극 육성

항만의 우월한 입지와 자원거점의 이점을 활용하여 항만가공업 발전을 적 극적으로 추진하고 톈진시 산업중심의 동부이전전략을 가속화하여 톈진시의 종합적인경제력을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또한 톈진항 가공업단지를 중국과 동북아의 제조가공중심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편 석유화학산업의 발전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톈진은 주변지역에 연산 (燕山)석화, 스자좡연유(練油)공장, 창저우(滄州)연유공장 등 대형 석유화학 기업들이 있는 등 석유화학산업기반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톈진항은 이미 15만 톤급의 대형석유화학터미널을 보유하고 있고, 추가로 25만 톤급 심수 원유터미널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입원유를 석유화학기업에 서 가공한 후 국내로 판매하거나 다시 해외로 수출하는 등 석유화학기지의 형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수입광석과 배후지역의 메탄자원을 활용하여 철강제련 및 가공업의 발전을 도모할 계획으로 있다.

(5) 현대적인 정보항만으로 육성

톈진항은 중국최초로 항만EDI센터를 설립하고 광케이블을 부설한 항만이 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항만관리수준과 작업효율을 제고하 는 동시에 현대정보기술을 응용하여 물류데이터처리기능의 EDI시스템을 구 축할 계획이다. 즉 물류정보의 수집, 창고저장, 재고, 통제기능의 코드시스템 과 물류흐름감시기능의 GPS시스템을 바탕으로 항만자원배치를 위한 공공정 보 교환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톈진항의 유류제품과 광석, 메탄, 컨테이너 및 화학비료, 목재, 건자재, 철강 등 화물의 배송센터와 교역 시장 및 운송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항만을 화물물류, 정보 물류, 자금물류 등 현대물류 정보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92) 92) 한철환 ․ 우종균, "북중국 항만 발전이 우리나라 환적화물 유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수산

개발원, 기본연구자료, 2004.12, pp.43-46.

나. 약점 및 위협요인

(1) 수심부족, 넓지 않다

선박의 입출항에 필요한 가항수로(fairway)는 14m의 수심을 확보하고 있 어 worldwide trunk route 상의 standard ship인 5000TEU급 선박이 입출항 하는 테는 지장이 없으나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좁은 소로 폭 때문에 입출 항 선박의 교행이 어려워 입항과 출항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이중수로(dual channels)체계를 갖고 있어 항만 발전에 한계가 있다.

(2) 항만정보시스템 미약

항만의 Port EDI System을 갖추고 있으나 선사와 화주에 대한 선박 및 화 물 정보서비스(vessel and cargo information service)는 주변국의 거범항만 에 비하여 미약한 편이다.

해원의 특성상 간선 항로(main trunk route)에 가까운 항만이 우선 발달 할 수밖에 없어서 기종점항만(destination port)으로 머물게 되어 그동안 크 게 발전하지 못하였다.93)

문서에서 중국 중국 중국 (페이지 1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