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별항만 자체의 효율성 증진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문서에서 중국 중국 중국 (페이지 177-195)

<표 38>에서, 1999년-2006년까지의 항만별 맴퀴스트지수의 평균변화율 을 보면 상하이항은 다른 지수는 1이상이지만, 규모효율성이 0.987로 1미만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하이항은 규모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투입요 소 중에서 과다한 요소가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면밀하게 검토하여 통제를 가 해야만 한다. 또한 한편으로 산출요소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만 한다. 닝보항, 텐진항, 홍콩항, 샤먼항은 5개의 지수가 모두 1이상이어서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오슝항은 규모효율성을 제외하고 모두 1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벤치마킹항만을 선택하여 그들항만이 시행 하는 방법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칭다오항과 심천항은 기술적효율성만이 1미 만으로 나타났다. 다렌항은 순수기술효율성이 1미만으로 나타났다. 광저우항 은 기술적효율성과 순수기술효율성이 1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칭다오항, 심천항, 다렌항, 광저우항은 기술개선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술 개선을 위해서는 항만세일즈활동강화, 선사나 화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 비스실시, 신상품개발, 항만비용을 할인시키기 위한 가격산출기술 개발, 화주 나 선사의 해당국가언어 및 지역전문가 양성, 타항만과 비교되는 차별화된 전략개발을 통해서 효율성을 증진시켜서 경쟁력을 강화해야만 한다. 또한 카 오슝항은 총요소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항만 내에서의 기술혁신이 반드 시 필요하다.

158) 중국증권보, 2007.9.17.

제 제 제

제6666장 장 장 장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정책적 정책적 정책적 정책적 함의와 함의와 함의와 함의와 향후연구방향 향후연구방향 향후연구방향 향후연구방향 제1절 결론

세계 해운물류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세계적인 대형 선사들은 복합수송망 확충을 서두르고 창고나 터미널 등 화물유통거점의 정비 등 글로벌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선사들간에도 M&A가 확대됨으로써 초대형 선사가 출현하게 되고 전략적 제휴를 통해 초대형 선박의 투입 등 규모의 경 제를 실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세계 해운시장의 변화는 동북아에서도 일어나 고 있으며 중심항만 경쟁은 날로 치열해 지고 있다.

중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해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나라 중의 하나 이다. 1949년 국가 설립이후 중국의 해운산업은 거의 변화가 없는 상태였으 나 1970년대 말의 개방․개혁정책과 2001년 WTO가입을 통해 세계 제일의 해운국가로 성장 하였다. 중국 경제는 개혁개방 정책에 힘입어, 특히 WTO 가입 이후 고도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그 결과 수출입 물동량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항만의 역할이 매우 커지고 있다.

중국은 대외무역 증대에 따른 물류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대응하여 항만, 도 로, 철도, 배후물류단지 등 물류인프라 확충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중국의 주요 항만들은 높은 경제성장과 교역증대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 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규모 컨테이너부두의 확충과 함께 배후물류시설의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요컨대, 중국의 주요항만들은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방안 을 단기, 증기, 장기적으로 수립하여 추진을 해 나가야만 지속적으로 증가하 는 물동량처리 수요에 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정부는 해운, 항만 및 관련 산업육성 및 인프라 확보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항만 개발을 위해 항만의 자유경쟁 및 지역 거 점항만 발전전략을 추진함으로써 지역 거점항만을 포함하는 3개의 지역(동북

․ 화북지역, 화동 및 대만지역, 화남지역)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EA모형을 이용한 항만분야의 효율성측정과 관련된 국내외

기존연구들을 검토하고 항만의 효율성과 관련된 내용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 다. 그리고 10개항만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항만경쟁력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요소를 중심으 로 항만별로 지역별로 비교 분석을 통해 경쟁력을 살펴보고, 이를 SWOT 분 석으로 정리하였다.

제2절 정책적 함의

본 논문에서는 중국 10대 주요항만에 대해 지역적으로 항만현황,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SWOT분석을 통해 개선방안도 제시 하였다.

중국의 해운시장은 잠재력이 큰 시장이다. 그러나 국제시장에서 중국의 해 운산업은 항만기초시설의 부족과 화물처리능력의 미흡, 해운시장질서의 확립, 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기존 항만 부두시설 재정비 등 많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력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항만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물류단지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외국의 선진기업과 인수, 합병, 전략적 제휴를 통해서 항만물류의 경 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종합물류정보망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규범화된 지역해운시장을 형성해야 한다.

21세기 경영활동의 글로벌화, 세계물류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세계물류 기 지화를 국가경제 발전의 주요 전략으로 채택하도록 국가들이 노력하도록 만 들고 있으며, 세계의 주요 항만들은 국가적인 공급 사슬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공급항내의 재화 및 다양한 참여당사자 사이에 관련된 정보 및 서비스의 교환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적인 부 (富)를 향상시키는 육상·해상·항공의 결절점(Node)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 다. 또한 물류환경의 변화는 항만의 대규모 유통센터화, 부가가치운영, 조립 생산기지, 물류컨트롤센터화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통합제조기능 및 물류서

비스를 갖춘 항만기능과 신속 정확한 정보의 교환과 처리에 의한 서비스기능 의 강화 및 집중화된 항만을 요구하고 있다.159)

최근 중국해운선박의 수량은 많지만 구조상 큰 문제가 있다. 중국해운회사 는 필수적으로 각종융자수단을 이용하여 대형선박을 건조하고 낙오된 선박을 제거해야 하며 선박 운항 속도를 높이는데 대책을 세워야 한다. 오래된 선박 에 대해서는 선박기준을 제시하고 낡은 컨테이너 선박을 폐기해야 하며 동시 에 선박회사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여 전체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이상에서 제시된 방안들이 잘 시행되어야 중국의 해운항만 산업이 더욱 많은 발전을 할 것으로 예상 된다.

제3절 향후 연구의 방향

본 연구에서는 항만 효율성측정과 경쟁력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 해 도출된 항만경쟁력 평가용소를 바탕으로 중국 10개 주요항만의 효율성을 1개의 산출요소와 3개 투입요소를 이용하여 DEA모형 중에서 실용도가 높은 CCR-BCC모형, Malmquist를 통해서 효율적인 항만과 비효울적인 항만을 구 분하고 주요항만의 경쟁력을 SWOT으로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개별항만의 효율성 추세, 분석결과 값의 안정성 등을 파약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의 과제로는 DMU의 효율성변화와 효율적 프론티어의 기술 변화를 함께 평가하므로 기간에 따른 총 요소생산성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측정할 수 있는 회귀 분석 Tobit분석을 도입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 SWOT분석은 다소 주관적인 판단이 개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분석 결과 의 객관성과 유용성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증분석 등이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159) 김용기, 전게논문, p.108.

부 부 부 부 록 록 록 록

<부록: 표 1> DMU와 분석자료 1999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28,222,000 16,211,000 21 6,791 12.2-15 2,193,714 상하이 186,410,000 4,216,000 2,281 9.4-12.5 858,000

선전 33,740,000 2,986,000 3 650 14.0 180,000

카오슝 358,120,000 6,985,361 1,907,000

칭다오 72,570,000 1,542,500 5 1,189 6.0-13.0 470,000

광저우 101,570,000 1,177,000 1,138 13.0 980,000

닝보 96,600,000 601,400 1,080 757,000

텐진 72,980,000 1,301,900 4 1,300 12.0 575,000

따리엔 85,050,000 736,000 7 918 12.0-14.0 560,000

샤먼 17,730,000 848,500 1 500 13.3 400,000

2000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30,937,000 18,100,000 18 6,059 12.2-15 2,186,700 상하이 204,400,000 5,613,000 3 2,281 9.4-12.5 858,000 선전 56,853,000 4,636,014 4 1,270 12.5-14.5 400,000 카오슝 375,410,000 7,425,832 2,620 13.5 1,907,000 칭다오 72,570,000 2,120,000 8 2,000 10.5-16.0 786,000 광저우 111,189,000 1,429,900 6 1,299 11.5-12.5

닝보 115,000,000 902,200

텐진 95,660,000 1,708,423 8 2,450 12.0-15.2 1,004,400 따리엔 90,841,000 1,011,000 7 918 12.0-14.0 560,000 샤먼 20,390,000 1,084,700 3 970 12.2-13.3 635,000

2001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30,676,000 17,900,000 18 6,059 12.2-15 2,186,700 상하이 220,990,000 6,340,000 3 2,281 9.4-12.5 858,000 선전 66,316,000 5,976,435 4 1,270 12.5-14.5 400,000 카오슝 373,750,000 7,540,500 2,620 13.5 1,907 칭다오 103,981,000 2,640,000 8 2,000 10.5-16.0 786,000 광저우 126,380,000 1,730,000 6 1,299 11.5-12.5

닝보 126,580,000

텐진 113,690,000 2,010,000 8 2,450 12.0-15.3 1,004,400 따리엔 100,327,000 1,210,000 7 918 12.0-14.0 560,000 샤먼 20,989,000 1,290,000 3 970 12.2-13.3 635,000

2002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38,301,000 19,144,000 18 6,059 12.2-15 2,186,700 상하이 263,840,000 8,612,000 3 2,281 9.4-12.5 858,000 선전 87,659,000 8,830,000 4 1,270 12.5-14.5 400,000 카오슝 410,690,000 8,493,100

칭다오 122,130,000 3,410,000 8 2,000 10.5-16.0 786,000 광저우 152,870,000 2,180,000

닝보 152,530,000 1,859,000

텐진 72,570,000 2,408,000 8 2,450 12.0-15.2 1,004,400 따리엔 19,500,000 1,352,000 7 918 12.0-14.0 560,000

샤먼 27,345,000 1,754,000 1 500 13.3 400,000

2003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48,618,000 20,449,000 24 7,999 12.5-15.5 2,688,500 상하이 316,210,000 11,283,000 24 5,712 8.5-14.2 4,342,858 선전 112,398,100 10,614,900 5 1,843 12.5-16.0 610,000 카오슝 429,640,000 8,843,400 18 5,072 12.8

칭다오 140,900,000 4,239,000 13 5,100 10.5-17.5 786,000 광저우 171,766,000 2,761,700 8 1,819 11.5-14.5 1,136,000 닝보 185,000,000 2,772,000 4 2,138 13.5-15.0 757,000 텐진 160,000,000 3,015,000 8 2,405 12.0-15.2 1,004,400 따리엔 45,060,000 1,670,000 9 1,759 12.0-14.0 1,504,000 샤먼 34,038,800 2,331,000 6 1,490 11.0-13.3 480,000

자료: 각 항만 홈페이지

2004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58,617,000 21,984,000 24 7,999 12.5-15.5 2,688,500 상하이 378,960,000 14,557,200 3 5,712 8.5-14.2 4,342,858 선전 135,245,600 16,790,000 5 1,843 12.5-16.0 610,000 카오슝 468,910,000 9,714,100 18 5,072 12.8 1,907,000 칭다오 162,650,000 5,139,700 13 5,100 10.5-17.5 1,136,000 광저우 215,189,800 3,308,200 19 5,219 11.5-14.5 4,650,000 닝보 225,856,000 1,664,000 4 2,138 13.5-15.0 757,000 텐진 216,190,000 3,814,000 8 2,405 12.0-15.2 1,004,400 따리엔 51,080,000 2,211,200 9 1,759 12.0-14.0 1,504,000

42,613,600 2,871,700 6 1,490 11.0-13.3 480,000 2005년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61,467,000 22,427,000 24 7,999 12.5-15.5 2,688,500 상하이 443,170,000 18,084,000 29 7,056 10.5-14.2 6,169,836 선전 153,487,700 20,367,273 20 3,328 12.5-16.0 2,623,200 카오슝 455,430,000 9,471,100 24 5,072 10.5-14.5 1,907,000 칭다오 186,780,000 6,307,000 13 5,100 10.5-17.5 1,136,000 광저우 266,049,400 4,685,000 19 5,219 9.0-14.5 4,650,000 닝보 268,810,200 1,771,000 4 2,138 13.5-15.0 757,000 텐진 240,688,000 4,801,000 8 2,405 12.0-15.2 1,004,400 따리엔 84,208,000 2,655,000 13 2,808 12.0-14.0 1,663,150 샤먼 47,707,500 3,342,300 6 1,490 11.0-13.3 480,000

2006년 중국각 항만의 효율성 평가

DMU

산출 투입

Total tonnage 컨테이너처리량 TEU

컨테이너

선석수(개) 선석길이 수심 부두면적(㎡)

홍콩 166,208,000 22,602,000 24 7,999 12.5-15.5 2,688,500 상하이 537,000,000 21,720,000 29 7,056 10.5-14.2 6,169,836 선전 175,840,000 18,470,000 20 3,328 12.5-16.0 2,623,200

카오슝 9,770,000 24 5,072 10.5-14.5 1,907,000

칭다오 224,150,000 7,700,000 13 5,100 10.5-17.5 1,136,000 광저우 302,802,300 6,660,000 19 5,219 9.0-14.5 4,650,000 닝보 309,691,100 7,140,000 4 2,138 13.5-15.0 757,000 텐진 258,000,000 5,950,000 8 2,405 12.0-15.2 1,004,400 따리엔 110,070,000 3,210,000 13 2,808 12.0-14.0 1,663,150 샤먼 77,920,700 4,013,000 6 1,490 11.0-14.0 480,000

문서에서 중국 중국 중국 (페이지 177-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