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타이포그래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제3장

2. 타이포그래피

목성을 가지는 것 그리고 재미를 줄 수 있는 표현에 대한 발상법을 연구해 나갈 필요 가 있다.23)

잡지에 효과적인 타이포그래피의 원리를 3가지로 나눠보면

① 글자체의 절제 : 최소한의 글자체의 종류와 크기를 사용하도록 하며 절제된 시각 어휘를 통해 동질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순수성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

② 자족을 고수 : 하나의 글자체 이름으로 묶어져 있으며 기본적인 글자체와 그 글자 체를 바탕으로 한 변형서체들인 자족의 유사성을 통해 기본적인 이미지 통일을 유지 시켜주므로 전체적인 특징이 손상되지 않고 생동감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가진 다.

③ 단 유형의 표준화 : 조판 할 때 지면에 폭과 단의 위치에 대한 표준화와 단에 만 들어진 패턴은 잡지 전체의 리듬감과 통일성을 준다.

여성지는 타이포그래피에서 가독성이 중요하며 글자크기의 선정에 있어서 여성지는 그 욕구 대상이 본능적으로 미적 예민함을 소유하기 때문에 여성들의 흥미를 통한 배 열상태의 변화로 문자의 구성은 조화로움을 고려해야 한다.24)

타이포그래피는 기본적으로 글자체를 다루는 것인 만큼 글자의 성공적 디자인을 위해 서는 글자의 크기는 어떻게 지정되고 분류되며 어느 정도의 간격을 주고 사용 가능한 서체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인지와 어떠한 작업에 어떠한 타입을 가진 서체를 사용해야 하는 지, 지면 위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25)

① 서체 : 본문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주로 명조체를 위주로 사용하며 명조 체는 가독성이 높고 고딕보다 좀 더 빨리 읽힌다. 본문에서 명조체가 주로 쓰이는 이 유는 획들이 네모틀 안에서 가득차 있는 고딕체보다는 그렇지 않은 명조체의 들쑥, 날쑥한 획들이 읽기가 더 수월하다. 단, 서체를 사용할 때 가독성을 고려 시 조심해야 할 것은 획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은 글자는 가독성을 감소시킨다.

② 서체의 크기 : 서체의 크기는 본문용 활자와 제목용 활자가 있다. 국문인 경우 일 반적으로 본문용 활자는 8~10pt이며 제목용 활자는 12pt이상을 사용한다. 같은 크기 의 서체를 사용할 때 고딕 계열의 활자는 명조 계열의 활자보다 크고 두꺼워 보이므 로 같은 크기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고딕 계열의 활자는 0.5~1pt 작은 서체를 사

23) 김지현(1997년). 디자이너를 위한 타입과 타이포그래피. 서울: 임프레스, pp. 83-86.

24) 정경순(1996년). 여성지 편집디자인의 현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3.

25) 데이비드 콜리어, 밥 코튼(1994년). Desk Top Publishing. 디자인하우스, p. 16.

용해야 한다.

활자의 크기는 가독성과 관련이 있으며 큰 글씨나 너무 작은 글씨는 가독성에 어려움 을 준다. 한 지면 안에 다양한 종류의 활자와 여러 크기의 활자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떨어지며 지면이 복잡해 보이고 통일감이 없어 보인다. 최근에는 편집 디자인의 기본 관례를 무시한 실험적 편집 디자인이 부각 되면서 많은 종류의 활자와 다양한 크기의 활자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디자인 컨셉에 맞게 디자인을 하고, 디자인 기본 원리 를 바탕으로 처음부터 계획된 기획의도에 따라 작업해야 함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활자의 크기 변화는 지면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고 생명력을 불어넣기도 한다. 또한 정지된 지면을 살아 숨쉬는 역동적인 지면으로 만들 수 있는 요소로도 사용된다.26) [그림 9]를 살펴보면 활자의 굵기에 따라 명암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 수 있으며 [그림 10]은 활자의 다양한 스타일에 따라 지면에 개성을 주는 레이아웃의 예라고 볼 수 있다.

[그림 9]한글창제

[그림 10]Fast Company

③ 글자사이 : 서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글자 사이가 너무 좁거나 넓으면 글이 읽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보통 국문일 경우 글자의 자간(글자사이)은 보통 -10pt~-15pt 정도로 쓰이며 영문의 경우엔 자간(글자사이)을 주지 않는다.

④ 글줄길이 : 글줄길이란 ‘행간’이라고 불리우며 한 줄에 있는 문자의 아래선으로부

26) 송민정(2006년). 레이아웃에 모든 것. 서울: 예경, p. 54.

터 위 줄의 문자 아래선 까지를 의미하고 줄간격의 경우는 서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 게 적용된다. 대체적으로 가장 적절한 글줄사이 띄우기는 선택된 활자높이의 최소 1/2에서 최대 1배까지이다. 이 범위는 역시 글줄길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27) 잡지의 타이포그래피는 많은 부분이 본문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외 다른 타이 포그래피적인 요소들이 있다. 타이틀과 헤드라인, 캡션, 블러브가 있다.

첫 번째 타이틀과 헤드라인은 보통 1줄~2줄이며 독자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큰 활자체를 사용한다. 헤드라인은 독자를 자극하고 내용을 요약하며 광고 기능을 하기도 한다.

두 번째 캡션은 일러스트나 사진에서 본문과는 별도로 붙이게 되는 간단한 설명문이 다. 주로 고딕체를 쓰며 넣는 위치는 일정하지 않지만 주의를 기울여서 사용해야 하며 작가가 본문에서 포함할 수 없었던 내용들을 언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세 번째 블러브는 발췌문으로 독자들에게 관심을 끌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것은 다양 한 방법으로 사용되며 본문의 옆이나 맨 위 또는 맨 아래와 중앙에 인용문을 들여 쓸 수 있으며 페이지 위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고 본문과 다른 글자체뿐 아니라 다른 크기로 지정될 수 있지만 인용문이 본문과 문맥상으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2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