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클러스터의 이론적 분석

1) 클러스터의 개념

우리나라에 “클러스터”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추진 된 것은 참여정부가 들어 서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의 한 수단으로 지역에 이러한 클러스터 형 개발정책을 도입하면서 본격화되었다.

클러스터는 지역개발의 한 수단으로 발전하면서, 경제지리학적 이론적 배경뿐 아니라 신경제성장이론, 국가혁신체제론, 기술혁신이론 등 기술혁신을 명시적으

24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창출방안 연구

로 인정하고 있는 다양한 경제사회학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클러스터에 대한 대표적인 정의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생산기업들과 부품 및 원재료 공급기업, 최종소비자, 사용자기업 등의 네트워크”9)를 들 수 있다. 즉, 클러스터는 상호 연관된 기업 및 기관, 즉 제 품생산업체, 부품공급업체, 서비스제공업체, 연관 산업, 협회, 연구소 및 대학 등 이 서로 지식을 교류함으로써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리적 집중체를 말하 며, 기술, 인력, 유통경로 등을 공유하는 산업집단을 말한다.10)

한편, 스코틀랜드에서는 실질적으로 “부품공급업체를 포함한 강한 독립성을 갖는 기업들의 생산네트워크, 대학, 연구소 등 지식생산주체, 브로커, 컨설턴트 등 경제주체간 가교역할을 하는 기관 그리고 고객 등이 생산체계에서 부가가치 를 줄 수 있도록 연계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좀 더 발전된 개념으로는 ‘혁신(지식)클러스터’가 있다. 기존 부가가치개념의 클러스터에 지식을 창출하고 과학기술정책을 연계시키기 위해 대학, 공공연구기 관, 컨설팅회사, 지식집약사업서비스 회사, 브로커 등 지식을 취급하는 조직을 클 러스터의 혁신주체로 포함한다.11)

<그림 3-1> 혁신(지식)클러스터와 기존 클러스터의 구성요소 차이

자료 : 이공래, 앞의 책, p.4 (저자 재작성)

9) Porter, Michael E. “Cluster and the New Economic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1998 10) 권영섭, “産業클러스터의 성공과 발전戰略”, 2004

11) OECD, “Boosting Innovation”, 1999

제 3 장∙물류클러스터 창출을 위한 이론적 접근 25

12) Roelandt, Theo, J.A and den Hertog, Pim, “Cluster Analysis and Cluster-Based Policy Making in OECD Countries,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OECD, 1999

26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창출방안 연구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물류대학과 연구소 설치가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시스템통합자(SO: System Organizer)로서 원천기술을 상업화하고 요소기 술과 부품을 통합하여 제품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연계조직, 생산업체가 해당 된다. 물류클러스터 구축을 위해서 전문물류업체의 육성과 정부의 지원전담조직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전문공급자(SS: Specialized Supplier)로서 부품과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중 소기업, 벤처, 금융, 마케팅, 법률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지원서비스업체 등 담당 하고, 주로 부품소재업체, 서비스업체 등이 해당된다. 물류클러스터에서는 이들 지원 산업이 연계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결국 이들 주체 간 역할분담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 및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창 출이 클러스터의 작동 원리이다.

<그림 3-2> 클러스터 구성주체와 구성요소의 연관성

자료 : 복득규, 앞의 글, p.5를 참조하여 재작성

(2) 클러스터의 유형

이러한 클러스터는 다양한 분류 기준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크게 기능, 지식활동, 형성방식, 행태, 산업발전정도, 공간적 범위, 주도주체에 따 라 구분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제 3 장∙물류클러스터 창출을 위한 이론적 접근 27

먼저 기능에 따라 구분하면, 연구개발 중심의 R&D 클러스터, 산업체 중심의 생산클러스터, 3차 산업 중심의 판매 및 서비스 클러스터 그리고 기존 클러스터 의 발전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등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물류클러스터는 이들 중 에서 특히 판매 및 서비스 클러스터 혹은 혁신클러스터로 구분될 수 있다.

두 번째 지식활동측면에서는 “지식창출형, 흡수형, 자족형, 강화형 클러스터”

로 구분할 수 있다. 지식창출형은 지식 집약적이며, 다른 클러스터의 혁신을 위 한 전문공급자(SS)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흡수형은 공급자들로부터 지식 을 공급하고, 자족형은 자신의 기술혁신에 치중하고, 독립적이며, 지식강화형은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에서 지식집약도를 강화해 나가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 형성방식에 따르면 인위적(외생적) 클러스터와 자연적(내생적) 클러스 터로 구분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입지여건이 좋은 지역에 생산시설, 연구개발 시설 및 관련지원시설을 동반 입지시키는 경우로 프랑스 소피아앙띠폴리스의 테 크노파크) 등이 해당된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자연발생적으로 협력과 경쟁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학습하는 오랜 전통을 지닌 성장지역으로 독일 바덴뷔르템베 르크를 들 수 있다. 국내 물류클러스터는 이들 중에서 전자에 주로 해당된다.

네 번째 주도 주체에 따라 신산업처럼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하는 대학․연구 소 주도형 클러스터, 자동차 및 통신시스템과 같은 대형조립산업을 중심으로 하 는 대기업주도형 클러스터, 특산지의 전통, 숙련전문기술자 중심의 지역특화형 클러스터 그리고 구성주체가 모두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 신기술 및 산업을 창출 하는 고도로 발달된 실리콘밸리형 클러스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형태에 따라서 경쟁적 클러스터와 협력적 클러스터 그리고 산업발 전정도에 따라서 기존산업지역형태의 낙후지역 클러스터, 혁신클러스터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한편, 공간적 범위에 따라서 국지적 클러스터13), 지역적 클러 스터, 초광역적 클러스터, 초국경적 클러스터로 구분되며 초국경적 클러스터의 사례로 스웨덴과 덴마크간 클러스터를 들 수 있다.

13) 국내 일부 연구에서는 국지적 클러스터의 공간적 거리기준으로 10~15km를 제시 (권영섭, 2004)

28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창출방안 연구

(3) 클러스터의 형성과정 및 성공요인

그간 많은 연구를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전략적 추진 과정이 발표되었으 며, 크게 7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첫째, 경쟁력 있는 특정 산업 도출

둘째, 기업, 전문가, 지원기관의 네트워크 구축과 토론 셋째, 지역과 산업의 SWOT분석

넷째, 주도세력을 도출하여 적극적 지원 기관 형성

다섯째, 홍보 및 세일즈를 통해 세계적 관점에서 접근 필요

여섯째, 지역 내 기관간 연계(link) 외 외국기업 유치, 제휴 등 적극적 교류 일곱째, 변화에 적응하고 미리 대처할 수 있는 클러스터 혁신

이렇게 형성된 클러스터는 여러 가지 성공요인을 가지고 있을 때 경쟁력 있고 성공적인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성공요인 제시 사례로 오 이나스와 말레키의 성공요인14)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지역 내 네트워크의 존재여 부, 지식전파를 위한 지역 내 학습문화의 존재여부, 사회구조 속에서 기술혁신이 착근되어 있는 지 여부, 여러 혁신주체들의 사회적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기관 또는 조직이 얼마나 많고 다양한 지 여부 그리고 지역 내 유연하고 혁신적 인 문화의 존재 여부 등 총 다섯 가지의 클러스터 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그 외 외국의 클러스터 성공사례를 통해 본 성공요인15)으로는 연구개발능력 (높은 수준의 과학기반), 첨단기업문화환경, 연구개발형 대기업, 고급인재(핵심인 력), 핵심인력유치를 위한 생활환경(삶의 질), 벤처캐피탈 등 자금조달능력, 가용 토지와 에너지, 교통, 통신, 정보인프라 등의 물적 인프라, 첨단지원서비스, 안정 된 노동시장 그리고 기타 네트워킹 및 협력기회, 정책적 지원 등으로 정리하여 발표한 바 있다.

14) 권영섭, 앞의 글 (원문: Oinas, P. & Malecki, E.J. “Spatial Innovation System”. in Making Connection, 1999)

15) 권영섭, 김동주, 『지식기반産業의 입지특성과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2

제 3 장∙물류클러스터 창출을 위한 이론적 접근 29

3) 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16)

(1) 국내 클러스터 사례

국내의 클러스터 사례는 건설 당시에 클러스터 개념을 도입했다기 보다는 현 재의 클러스터 개념을 투영해 볼 때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첫 번째 대표적인 사례가 대덕벨리이다. 대덕벨리는 1973년부터 조성되었으며, IT․바이오클러스터로 대학․연구소 주도형으로 볼 수 있으나 아 직 연구기능이 강하여 클러스터 면모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1968년에 조성된 울산 현대 자동차산업 클러스터는 2002년부터 산자부의 지원 으로 Auto Valley가 형성되어가고 있는 중이며, 너무 하드웨어 중심으로 되어 있 어 소프트웨어의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조립 및 부품업체의 고부가가치 기능의 강화와 R&D를 포함한 혁신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1950년대 말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이천 도자기클러스터는 지역 특성을 살린 클러스터 형태로 현재 대형업체, 조합, 대학, 지방자치단체 등이 공동으로 기술 및 상품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공동구매, 경매 등의 협력과 핵 심기술의 공유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자생적 클러스터 형태 외에 최근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여 참여정부는

이러한 자생적 클러스터 형태 외에 최근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여 참여정부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