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교차비

Ⅴ. 결론

본 연구는 식품섭취조사로 조사된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이용하여 성인의 치주질환 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치주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영양관련 예방계획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하였다.

건강설문, 구강검사 및 영양조사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성인 6,113명을 대 상으로 치주질환 유병률과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증진 행위, 본인인지구강건강상태, 영양상태 와의 관련성을 chi-square test와 단변 량,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상태와 치주질환이 관련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영양상태는 치주질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없으며, 간접적으로 작용하 여 다른 요인들과 함께 작용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타 변수가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영양상태보다 더 높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 보이며, 또한‘영양상태’라는 연속변수를 섭취량을 기준으로 2가지로 나누어 변수가 세분화되었으며, 다른 변수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생긴 결과이다.

또한 영양상태를 4가지(총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로 한정지어 분석하 였기 때문에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여 분석할 경우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을 것 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강진영. 한국성인의 치주질환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강현경, 김경미, 김수화, 김정숙, 남용옥, 류정숙, 성미경, 송경희, 신형식, 이광희, 임선아, 정미애. 치주과학. 고문사; 2009. p.3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비통계연보 2013년

구강보건정책연구회, 2001 구강보건정책연구회, “2001년 보건소 구강보건사업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01.

구상미. 한국성인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와 치주염 간의 관련성 :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검진조사 지침서. 2016

김명선. 중장년층 당뇨병 환자의 구강관리실태와 치주질환.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김성희, 유아름, 양윤정. 흡연 여부에 따른 한국성인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와 치주염과의 상관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4;19(1);84-94.

김영선. 전신질환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7

김유정. 경기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영양의 중요성 인식수준에 따른 영양지식 및 식습관의 차이.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김인숙, 오정숙, 이은숙, 장영호, 정순희, 정미래. 치과영양학, 고문사. 2012.

김혜영, 원복연, 류시현. 초등학교 아동의 치아우식성 식품섭취 및 영양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2002.

박주희. 한국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낭 형성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박현정. 구강질환의 유병과 사회경제적요인 및 보건의식행태와의

관련성-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박희정.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 불평등 : 사회경제적 지위와 구강건강의시기 및 행태요인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반설아. 한국 성인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와 구강질환과의 연관성: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015.

서선영.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실천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심연수, 안소연, 박소영. 일부 병원 종사자의 시행동과 주관적 중대 구강병과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 2013;13(3):377-385.

양진영, 박경숙. 흡연이 구강환경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2001;1(1);67-73.

윤지혜. 치주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적 위험인자들에 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6기 자료활용. 석사학위논문. 2017

이현석. 흡연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 구강위생이 양호한 특정 집단의 장기적 영연구를 위한 예비평가.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임예라. 우리나라 성인의 영양소 권장섭취량 관련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정정옥,전주연, 이경희. 한국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한국치위생학회지, 21438(2)176-83.

정채욱. 청소년들의 식이섭취 행태와 치아우식증 발생과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주미선. 한국성인에서 혈당 조절정도와 치주질환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채범석. 사람의 영양학. 아카데미서적; 1995.

천혜원. 구강질환과 만성질환의 관련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최정희. 한국 성인의 식품섭취와 본인이 인지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한국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2010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2011

Albandar JM, Brunelle JA, Kingman A.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30 years of age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1988-1994. J Periodontol 1999;70:13-29.

Bae KH, Kim HD, Jung SH, Park DY, Kim JB, Paik DI, Chung S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the Korean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1):73-9.

Baek HJ, Choi YH, Song KB, Kwon HJ: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34:338-345.

Field AE, Coakley EH, Must A.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a 10-year period. Arch Intern Med 2001;161:1581-1586.

Kim JW, Kwon HJ, Lee SG, Choi Y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7;31:387-395.

Norlen,P.,Steen,B.,Birkhed,D.,& Bjorn,A.L.(1993).Ontherelations between dietary habits, nutrients, andoral health in women

attheageofretirement.ActaOdontologica,51(5):277-284.

Nutbeam,D.,Aar,L.,& Catford,J(1989). Understanding childrens' health behaviour : the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for young people. Socialscience &

medicine ,29(3):317-325.

Petersen PE, Yamamoto T.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5;33(2):81-9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69234&cid=42413&categoryId=42413

Zambon JJ, Periodontal disease : microbial factors, Ann. Periodontal., 1. pp.

879-925(1996).

Zini A, Sgan-Cohen HD.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an underprivileged homebound and non-homebound elderly population in Jerusalem. J Am Geriatr Soc 2008:56(1):99-104.

부 록

부록 1.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면제 확인서

- 심의면제이후 논문 제목은 변경되었으나 내용 동일하여 기관연구윤리심의 위원회(IRB)에 확인 후 추가로 면제 확인 받지 않음.

[ ABSTRACT ]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3

ju-eun Je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eong Keun Lee, D.D.S, Ph.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otal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at nutritional imbalance is the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loss.

Participants & Methods : A composite samp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weight of the first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3). The subjects were 6,113 (2,660 males and 3,453 females) whose nutrition status and oral examination were completed among the total 8,018 subjects in the first year (2013).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variables into the population & Sociological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the oral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erson, and the nutritional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subjects' population & Sociological characteristic, or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were related to each othe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in the subjects with total energy and carbohydrate than those in the intake level. Howeve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in the subjects with protein or fat intake below the intake standar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1.3 times higher (OR = 1.28, 95% CI 1.09 ~ 1.51) than the intake level of protein, and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than the intake standard (OR = 1.92, 95% CI 1.63-2.26), respectively. However,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influence of protein and fat on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no longer significant.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When the two variables were examined independently,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protein and fat intake.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variables. This seems to be caused by subdividing the nutritional status item, which is a continuous variable, and is the result of interaction with other variables. It also means that nutritional status can not independently affect periodontal disease and it indirectly affects periodontal disease in combination with various factors.

Keyword : Periodontal disease, Nutritional statu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