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존 측정지표 변화추이 종합

IV. 지역별 산업구조 측정

3) 기존 측정지표 변화추이 종합

❏ 절대 및 상대지표의 2006년부터 2013년까지 기간 동안의 기존 산업구조 측정지표의 변화추이를 종합

<그림 4-1> 절대지표와 상대지표 변화추이 종합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0-505국가평균지수(상대지표)

-.2 -.1 0 .1 .2 .3

엔트로피지수(절대지표)

56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 연구

○ 절대지표인 엔트로피지수와 상대지표인 국가평균지수의 연구기간동안의 지역 별 연평균변화율(%)을 위 그림 4-1과 같이 그래프로 도식화함

- 상대지표의 경우 값의 증가가 다양성의 감소 및 특화도의 증가를 나타냄에 반해 절대지표의 경우 값의 증가는 다양성의 증가, 곧 전반적인 특화의 감소를 보여줌

-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서울의 산업구조는 절대적인 측면과 상대적인 측면 모두 다양성의 감소, 즉 일부산업으로의 특화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그래프의 우측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충북, 충남의 경우 절대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화와 상대적 측면에서의 특화(혹은 다양성의 감소)가 동시에 나타났고 볼 수 있음

- 이와는 반대로 제주의 경우 절대적 다양성은 미약하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국가전체와 비교했을 때 일부산업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있던 구조상의 치우침이 많이 개선되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절대지표는 양의 변화율을 상대지표는 음의 변화율을 보이고 있는 우측하단부 의 다수의 지역들은 절대적인 측면과 상대적인 측면 모두에서 다양성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됨

○ 종합하면 서울과 제주를 제외한 광주, 부산, 경북, 전북, 강원, 경기, 대전, 인천 등의 지역은 절대, 상대적 측면 모두 산업구조상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형태를 보임

○ 반면 충북, 충남, 경남, 전남, 울산, 대구 등은 국가전체와 비교했을 때 일부산업으 로 특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특화의 과정을 통해 절대적인 측면에서의 산업구조적 다양성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제한적인 특정지표에 의존하여 지역의 산업구조를 측정하는 경우 지역의 산업구조에 대한 왜곡된 혹은 치우친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음

- 즉, 서로 보완적인 다양한 측정지표의 적용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지역의 산업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제4장 지역별 산업구조 측정 57

3. 대안적 지표를 활용한 지역별 산업구조 분석

본 단원에선 앞 단원에서 분석에 사용된 기존 산업구조 측정지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된 대안적인 세 가지 산업구조 측정지표(연관다양성지 수, 다중특화지수, 기술-산업구조지수)를 사용하여 기존 지표로는 간과되었거나 쉽게 측정하기 어려웠던 지역별 산업구조의 특성 및 그 변화추이를 분석

1) 연관다양성지수(Index of Related Variety)

❏ 연관다양성지수를 활용하여 산업구조의 입체적인 특성을 측정

<표 4-3> 지역별 연관다양성지수 변화

(단위: 없음) 지역/년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서울 2.294 2.268 2.273 2.279 2.258 2.259 2.259 2.256

부산 2.323 2.305 2.298 2.305 2.303 2.290 2.287 2.289

대구 2.325 2.326 2.327 2.324 2.311 2.302 2.313 2.308

인천 2.300 2.309 2.300 2.293 2.294 2.294 2.296 2.287

광주 2.241 2.242 2.235 2.216 2.226 2.220 2.231 2.244

대전 2.237 2.234 2.201 2.187 2.210 2.204 2.202 2.200

울산 1.863 1.859 1.895 1.912 1.923 1.919 1.946 1.913

경기 2.364 2.361 2.352 2.348 2.347 2.341 2.357 2.346

강원 2.130 2.127 2.122 2.135 2.134 2.131 2.135 2.144

충북 2.280 2.269 2.257 2.248 2.248 2.239 2.249 2.261

충남 2.209 2.225 2.219 2.216 2.214 2.207 2.217 2.200

전북 2.214 2.221 2.211 2.216 2.205 2.217 2.231 2.235

전남 2.107 2.108 2.106 2.111 2.111 2.109 2.109 2.131

경북 2.241 2.243 2.230 2.220 2.225 2.214 2.218 2.222

경남 2.302 2.270 2.259 2.246 2.273 2.255 2.247 2.267

제주 2.073 2.090 2.081 2.062 2.088 2.112 2.153 2.127

평균 2.219 2.216 2.210 2.207 2.211 2.207 2.216 2.214

58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 연구

○ 앞 단원에서 사용된 산업구조 측정지표의 경우 산업분류체계상의 소분류를 바탕으로 평면적으로 지역별 산업구조의 다양성 혹은 특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소분류상의 각 산업부문내의 세분류 혹은 세세분류 단계에서의 산업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했음

○ 그러나 연관다양성를 활용하면 소분류상의 각 산업부문별 세세분류의 다양성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별 연관다양성지수를 산출 할 수 있음

- 연관다양성 지수는 소분류 산업부분별 세세분류상에서의 다양성을 엔트로피 지수를 측정하고 이를 각 소분류 산업부분별 지역별 구성비에 곱한 가중 평균을 활용하여 그 값을 도출

- 즉, 상위분류인 소분류상에서 같은 종류로 분류된 다양한 세세분류상의 산업들 이 존재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는 반면 소분류상의 각 산업부문들 이 일부 특화된 몇몇 하위 산업들로 구성된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남 - 예를 들어, 소분류상에서 유사한 엔트로피지수 측정치를 보이는 두 지역이

연관다양성지수의 측정결과 서로 다른 값을 보인다면, 그 값이 큰 지역의 경우 값이 작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화된 하부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 연구의 시간적 범위의 시작점인 2006년의 경우 서울, 인천, 경기의 수도권 지역들과 부산, 대구와 같은 대도시 지역들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다양성 정도를 보임

- 반대로, 울산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연관다양성지수의 값을 보이는데 이는 울산의 대표적인 산업인 제조업의 경우 그 하위 구조 역시 다양성을 띈 제조 산업부문으로 구성되어있기보다 대기업 위주의 제한적인 일부 특화산 업으로 구성되어 분류체계상의 상·하위 구조가 모두 일부산업 부문으로 특화 되어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냄

- 또한 엔트로피지수와 마찬가지로 산업적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인식 되고 있는 제주, 강원, 전남 지역 역시 상대적은 낮은 연관다양성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됨

제4장 지역별 산업구조 측정 59

❏ 지역별 연관다양성지수의 변화 패턴

○ 각 연도별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면 감소 혹은 증가라는 특정 방향으로 연관다양성 지수가 변화하는 일관된 패턴을 보이는 지역을 관찰하기 어려움

- 산업분류체계상의 세세분류를 활용하여 측정되는 지수인 만큼 세세분류상의 산업부문별 고용분포 변화의 경우 작은 양으로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 기 때문에 연관다양성 지수의 변화 추이 역시 감소와 반등을 거듭하면서 소규모의 증감을 거듭하는 형태로 나타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범위 초반 높은 값을 보였던 서울, 부산, 대구, 인천과 같은 대도시들의 경우는 미약하게나마 그 값이 감소하는 형태로, 제주나 전북처럼 작은 값을 보였던 지역의 경우 그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2) 다중특화지수(Index of Multiple Specializations)

❏ 다중특화지수를 사용하여 지역별로 산업구조 내 특화된 산업의 비율을 측정

○ 아래 표 4-4는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가 되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다중특화 지수의 지역별 측정치를 보여줌

- 기존 산업구조 측정지표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다중특화지수 역시 산업분류체 계상의 소분류를 바탕으로 산출됨

- 즉, 표 4-4에 표시된 수치들은 각 지역별로 존재하는 소분류상의 산업부문 중 입지계수 값이 1보다 큰, 즉 상대적으로 특화되었다고 판단된 산업부문의 비율을 의미함

-예를 들어, 2006년 서울의 경우 소분류상으로 분류된 산업 전체 중에서 약 41.7%의 산업들이 특화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울산의 경우 약 17.1%의 산업만이 특화되었다고 판단 가능

○ 기존 지표로 측정한 결과와는 다르게 다중특화지수 측정결과를 보면 절대적 혹은 상대적 지표에서 다양성이 그다지 높게 나타나지 않았던 강원, 충남,

60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 연구

전북, 전남 등의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측정치를 보이고 있음

<표 4-4> 지역별 다중특화지수 변화

- 위에 나타난 높은 측정치를 보이는 지역들의 경우 비록 많은 산업들이 존재하고 있진 않지만 존재하고 있는 산업들 중 상대적으로 많은 종류의 산업들이 특화되어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음

- 울산과 같은 경우 일부 제조업 부분의 지나친 특화로 인해 다른 산업부문의 경우 특화된 산업을 찾기가 어려운 지역이라고 할 수 있음

- 즉, 단순히 많이 종류의 산업들이 다양성의 증가와 연결되어 나타나는 기존 지표의 한계를 넘어서서 비록 작은 숫자의 산업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 많은 산업들이 특화되어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값을 보이게 되는 다중특화 지수의 특성을 잘 보여줌

(단위: 없음) 지역/년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서울 0.417 0.411 0.431 0.431 0.403 0.403 0.411 0.397

부산 0.319 0.319 0.319 0.304 0.338 0.377 0.391 0.391

대구 0.284 0.324 0.343 0.353 0.373 0.353 0.338 0.368

인천 0.314 0.386 0.435 0.435 0.429 0.420 0.414 0.420

광주 0.362 0.329 0.329 0.304 0.319 0.324 0.324 0.288

대전 0.418 0.388 0.388 0.371 0.348 0.362 0.338 0.328

울산 0.171 0.159 0.143 0.157 0.186 0.229 0.229 0.200

경기 0.380 0.370 0.411 0.431 0.411 0.397 0.417 0.403

강원 0.472 0.458 0.458 0.479 0.479 0.486 0.444 0.429

충북 0.408 0.361 0.417 0.366 0.371 0.386 0.380 0.403

충남 0.478 0.423 0.437 0.423 0.437 0.366 0.429 0.429

전북 0.478 0.471 0.529 0.471 0.443 0.400 0.443 0.479

전남 0.493 0.507 0.514 0.514 0.521 0.528 0.528 0.514

경북 0.400 0.423 0.457 0.472 0.479 0.465 0.479 0.472

경남 0.329 0.314 0.310 0.338 0.357 0.343 0.329 0.371

제주 0.391 0.391 0.400 0.449 0.435 0.435 0.420 0.420

평균 0.382 0.377 0.395 0.394 0.396 0.392 0.395 0.395

제4장 지역별 산업구조 측정 61

- 그러나 각 특화 산업부문의 특화의 심화정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

- 즉, 울산의 경우 비록 적은 개수의 산업부문이 특화된 것으로 관찰되지만 이러한 몇몇 특화 산업들이 고도로 심화되어 특화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다중특화지수로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 지역별로 상이한 다중특화지수의 변화

○ 다중특화지수의 경우 시간에 변화에 따른 지수 측정치의 변화가 지역별로 매우 다르게 나타남

- 예를 들어, 수도권 내에 인접한 서울과 인천의 경우 서울은 그 값이 미약하지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인천의 경우 상당부분 증가한 것으로 관찰됨 - 이 밖에, 대구, 대전, 충남 등이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고 반대로 부산,

인천, 울산, 경북 등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제주도 역시 중간에 약간의 변동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증가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종합하면 제주도의 경우 기존지표와 대안적 지표를 포함한 대부분 의 산업구조 측정지표들이 공통적으로 산업구조적 다양성이 증대되고 있는 지역으로 지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 다중특화지수의 변화를 통해서 직관적으로 지역 내 산업구조의 다양성이나 특화 정도의 변화를 유추하는 것은 어려움

- 예를 들어, 인천처럼 다중특화지수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의 경우 이러한 증가가 기존의 지역 내 산업의 특화로 인한 것인지 혹은 외부로부터 특화

- 예를 들어, 인천처럼 다중특화지수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의 경우 이러한 증가가 기존의 지역 내 산업의 특화로 인한 것인지 혹은 외부로부터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