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여교수의 국제 공동연구 실적 및 계획

문서에서 <신청서 요약문> (페이지 114-119)

III. 연구역량 영역

2.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2.2 참여교수의 국제 공동연구 실적 및 계획

가. 국제 공동연구의 우수성 및 중요성

▮ 탄소융합공학과 참여교수는 현재 국제 우수 대학 및 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 며, 내용은 아래와 같음.

▮ 해외 저명 연구자와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다양한 교류 를 통하여 국제학술대회, 학술지 활동 등의 인지도를 제고하여 다수의 기조연설 및 학술 지 편집위원으로 활동.

▮ 미국, 중국 등 각국의 5개 연구팀과 5건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공동논문 게재 등 양질 의 국제 공동연구 실적 달성

▮ 참여교수 및 연구진의 장기연수 및 단기연수를 통한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의 국제화에도 기여

나. 국제공동연구 계획

▮ 본 교육단에서는 국제적인 공동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고자 국제적인 해외 연구기관들 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MOU 체결을 통해 본 교육단과 연구교류를 진행할 수 있는 토대 를 확보하고자 함.

▮ 교육단 참여교수들은 사업단 해외참여 교수를 포함해 활발한 국제적 공동연구 수행을 위 하여 전략적으로 각 세부별 해외학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소속된 해외학자들의 인적, 물적 자산을 활용하여 사업단 각 세부의 해외인지도 향상을 증진시키고자 함.

▮ 또한, 해외학자들의 국제 저명 학술대회 및 학술논문 발표 시 교육단 소속을 명기시킴으 로써 사업단의 인지도 향상과 추가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국제 공동연구를 폭넓게 수행하 고자 함.

▮ 세계 각국의 여러 대학과 센터가 동시에 참여하는 화상 회의가 가능한 회의실을 구축하 여 참여교수의 공동연구를 원활히 수행하고자 함.

▮ 본 교육단이 주축이 되어 교육단 연구와 관련된 국제 심포지움, 워크숍, 학회 등을 주최 함으로써 참여교수 및 학생들이 해외 유명기관 학자들과 폭넓은 교류를 진행할 수 있도 록 유도하고자 함.

참여교수 국가 및 기관 공동연구내용

곽이구 중국(북경화공대학교) 탄소소재를 이용한 고성능 캐퍼시터 및 배터리 연구 김홍건 캐나다(캘거리대학교) 탄소소재를 이용한 나노복합소재 센서연구

임애란 미국(코넬대학교) 그래핀을 이용한 나노구조 및 에너지 소재 연구 고상철/강성수 일본(동경대학교) 저오존 탄소 방전 해석기술 연구

안계혁 일본(큐슈대학교) 에너지 저장용 탄소소재 연구

2 -다. 세계 수준의 연구수행계획

▮ 본 교육단 참여 교수들은 준거집단의 연구 실적을 목표로 매년 연구 실적을 심층 분석하 고 비교하여 목표 대비 달성도 및 결점을 수시로 점검하고자 하며 교수별 연구 실적 향 상도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등 지원할 예정임.

▮ 매년 사업 참여교수들의 연구 분야 및 최신 기술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신임교수들과 참여 연구인력들에게 세계 연구 조류를 경험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 해외교수가 국내교수의 지도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업 및 연구 토론 결과를 학생별로 정량화하고 이를 졸업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연 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함.

▮ 연구 수행 중 독창적이지만 실제 활용되지 않고 사장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참여교수 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는 참여의 장을 도입하여 실패한 연구결과도 자유롭 게 토론할 수 있는 여건과 기회를 제공하고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고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 논의되고 있는 대학들과 공동학위제를 추진하여 해외대학에 국내 학생을 파견하여 현지 학생과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기간 내에 연구 집중도를 높이고 일상 회화 및 논문 작성을 위한 영어 수준을 향상시킴.

▮ 연구열의가 높은 박사과정학생을 유치하기 위하여 석사과정부터 성적, 연구 등에 따른 장학금을 지급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함.

▮ 석·박사과정학생의 유연하며 독창성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하여 자유롭고 능동적 인 연구와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토론식 수업과 연구미팅을 적극 활용하고자 함.

▮ 학과 및 대학의 국제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산·학·연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면적·

다기능적 교육 연구시스템의 극대화로 글로벌 인력을 양성함

▮ 석·박사과정학생 및 신진연구인력의 도전적·창의적인 연구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해외교수들의 능동적 역할을 유도함.

▮ 석·박사과정학생 및 신진연구인력의 잠재력과 참여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담 행정 직원 배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멘토링제 도입, 한국어강좌 이수를 위한 도우 미제도 등을 제공

▮ 초청되는 해외학자들의 원소속대학원생들과의 적극적인 공동 연구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피드백을 통하여 문제점을 수시로 개선해 나감.

2.2 참여교수의 국제 공동연구 실적 및 계획

<표 3-6> 최근 5년간 국제 공동연구 실적

연번

공동연구 참여자

상대국

/소속기관 국제 공동연구 실적 DOI 번호/ISBN 등 관련

인터넷 link 주소 교육연구단

참여교수

국외 공동연구자

1 임애란 Yong Lak Joo

미국 /cornell University

Mohammed AlAmer Ae Ran Lim and Yong Lak Joo (2019), Continuous Synthesis of Structurally Uniform Graphene Oxide Materials in a Model Taylor−Couette Flow Reactor, Ind. Eng. Chem. Res.

58, 1167−1176

10.1021/acs.iecr.8b04 428

2 임애란 Yong Lak Joo

미국 /cornell University

Ae Ran Lim and Yong Lak Joo (2018),Cation dynamics by 1H and 13C MAS NMR in hybrid

organic–inorganic (CH3CH2NH3)2CuCl4.RSC Advances, 8, 34110-34115Ae Ran Lim and Yong Lak Joo (2018),

10.1039/c8ra06268d

3 곽이구 Quoc-Bao Bui

베트남/Ton Duc Thang University

Quoc-Bao Bui, D.M. Nguye, T.M.L. Nguyen, L.K.

Kwac, H.G. Kim, S.C. Ko, H. Jeong(2018), Free-standing Three Dimensional Graphene Incorporated with Gold Nanoparticles as Novel Binder-free Electrochemical Sensor for Enhanced Glucose Detection,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9(3), 229-237 Quoc-Bao Bui, D.M.

Nguye, T.M.L. Nguyen, L.K. Kwac, H.G. Kim, S.C.

Ko, H. Jeong(2018), Free-standing Three Dimensional Graphene Incorporated with Gold Nanoparticles as Novel Binder-free

Electrochemical Sensor for Enhanced Glucose Detection,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9(3), 229-237

10.5229/JECST.2018.9.

3.229

4 곽이구 Ngan T.K.

Nguyen

베트남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Thi Kim Ngan Nguyen, Hong Gun Kim, Lee Ku Kwac, Quoc Bao Bui, Dang Mao Nguyen, Hun Jeong(2018), Titanium dioxide-benzophenone hybrid as an effective catalyst for enhanced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low density polyethylene, e-Polymers 18(6), 501-510Thi Kim Ngan Nguyen, Hong Gun Kim, Lee Ku Kwac, Quoc Bao Bui, Dang Mao Nguyen, Hun Jeong(2018), Titanium dioxide-benzophenone hybrid as an effective catalyst for enhanced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low density polyethylene, e-Polymers 18(6), 501-510

10.1515/epoly-2018-0078

5 김홍건 Mao ND

베트남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Mao ND, Lee SY, Shin HJ, Kwac LK, Ko SC, Kim HG, Jeong H(2018).Biomass Fly Ash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Synthesis of Amorphous Silica Nanoparticles with High Surface Area.nanoscience and technology 18(5), 3329-3334Mao ND, Lee SY, Shin HJ, Kwac LK, Ko SC, Kim HG, Jeong H(2018).

10.1166/jnn.2018.1454 8

2.2 참여교수의 국제 공동연구 실적 및 계획

<표 3-6> 최근 5년간 국제 공동연구 실적

연번

공동연구 참여자

상대국

/소속기관 국제 공동연구 실적 DOI 번호/ISBN 등 관련

인터넷 link 주소 교육연구단

참여교수

국외 공동연구자

6 고상철 SJ Vijay

인도 /Departmen

t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 g, Karunya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ciences

Alexandre Tugirumubano, SJ Vijay, Sun Ho Go, Hee Jae Shin, Kwac Lee Ku, Hong Gun Kim (2018)The evalu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properties of CFRP/metal mesh hybrid woven laminated composites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52(27), 3819-3829Alexandre

Tugirumubano, SJ Vijay, Sun Ho Go, Hee Jae Shin, Kwac Lee Ku, Hong Gun Kim (2018)

10.1177/0021998318770 511

7 한철민 tarek bedair

이집트 /Chemistry Department , Faculty

of Science,

Minia University , El-Minia

Cheol-Min Han, Eugene Lih, Seul-Ki Choi, Tarek M.Bedair, Young-Jae Lee, Wooram Park, Dong Keun Han, Jun Sik Son, Yoon Ki Joung (2018),

Biodegradable sheath-core biphasic monofilament braided stent for bio-functional treatment of esophageal strictures,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67(25), 396-406Cheol-Min Han, Eugene Lih, Seul-Ki Choi, Tarek M.Bedair, Young-Jae Lee, Wooram Park, Dong Keun Han, Jun Sik Son, Yoon Ki Joung (2018), Biodegradable sheath-core biphasic monofilament braided stent for bio-functional treatment of esophageal strictures,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67(25), 396-406

10.1016/j.jiec.2018.0 7.014

2.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문서에서 <신청서 요약문> (페이지 114-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