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금재호 외환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 월간 노동리뷰, , 10월 호 한국노동연구원, , 2011.

금재호 윤자영 외환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과제, , 정책자료 한국노동연구원, , 2011.

김안국 임 언 최지희 유한구 김기헌 고학력화의 사회경제적 성과,  와 한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김광석 고학력자의 사회적 낭비가 심각하다 이슈리포트 현대경제, , , 연구원, 2013.

김주섭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분석,  , 노동정책 연구 5(2), 제 권 제 호 한국노동연구원5 2 , , 2005.

배기준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의 분해 인구구성 변화를 중심으로, - - , 월간 노동리뷰 월호 한국노동연구원5 , , 2013.

한국고용정보원 최근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에 대한 만족도 고용, , 이슈 월호 한국고용정보원9 , , 2013.

Fallick Pingle, A Cohort-Based Model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 Finance and Economics Discussion Series. Federal Reserve Board, Washington, D.C., 2009.

Goldin, The Quiet Revolution that Transformed Women's Employment, Education, and Family American Economic Review Papers and Proceedings, 96(2): 1-21, 2006.

Hotchkiss, Changes in Behavioral and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1975-2005 Economic Review

- Federal Reserve of Atlanta, 91(2): 1-20, 2006.

Hotchkiss, Decomposing Changes in the Aggregat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Federal Reserve Bank of Atlanta Working Paper Series 2009-6, Federal Reserve Bank of Atlanta, 2009.

Kwon, Chang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노동경제논집 한국노동연구

in Korea: 1980 2005 , 31(2): 129-156, 원, 2008.

Lee, The Plateau in U.S.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 Cohort Analysis Industrial Relations 53(1): 46-71, 2014.

본 연구에서 고용취약계층은 인구를 성 연령별 소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다른 집단에 비해 고용률이 낮은 집단으로 정의, 내리고 구체적으로, 20대 청년층 출산 육아기 여성, ・ , 50대 이상 의 장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의.

부록 그림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부록 그림 은 한국의 년 성 연령별 고용률 추이를

< > 2000~2013 ・

나타내고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남녀를 불문하고, 60세 이상 장년층이 모든 연령집단 중 가장 낮은 고용률 추이를 보이 고 있다는 점이다. 2000년부터 2013년까지 60세 이상 남성은 대 세 이상 여성은 대의 고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나

50% , 60 30% .

머지 연령집단에서는 성별에 따른 고용률 차이가 현저하다 특. 히 여성고용률이 남성고용률에 비해 매우 낮은데 이는 남성 중, 고용률이 두 번째로 낮은 집단인 20대 청년층의 고용률과 여성 중 고용률이 제일 높은 집단인 40대 여성의 고용률이 비슷하다 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부록 그림A>를 우선 살펴보면 남성, 의 경우, 60세 이상 연령집단 다음으로 낮은 고용률을 보이고 있는 연령집단은 20대 청년층이고 그 다음으로 낮은 고용률을, 기록하고 있는 연령집단은 50대 장년층이다 이러한 연령별 추. 이는 최근14년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부록 그림. <

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년 이전과 이후에 연령별 추

B> , 2008

이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008년 이전에는 60세 장년층, 대 출산 육아기 여성 대 장년층 순으로 고용률이 낮고

30 ・ , 50 , 20

대 청년층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08년 이후에는 50대 장년층 과 20대 청년층의 고용률 수준이 비슷해졌는데 이는 20대 청년

층의 고용률이 정체되어있는 것에 반해 50대 장년층의 고용률 은 소폭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 연령별. ・ 추이를 바탕으로 고용취약계층을 20대 청년층 출산 육아기 여, ・ 성, 50대 이상의 장년층으로 정의하고 이들의 경활율과 학력, 혼인상태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부록 그림 성 연령별 고용률 추이

<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Abstract

A Cohort Analysis on Korean Labor Force Participation from 1986 to 2012

Lee, Jin Young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LFP) rate in Korea has leveled off since 1991. There are three phenomena which are widely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lateau in Korean LFP: a rise in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 low LFP rate among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babyboomers’ early retirement. To see how the trends in the LFP rate,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tatus are inter-related, I investigate changes in LFP rates and the related socioeconomic outcomes of men and women by birth cohort using Economic Activity Survey data from 1986 to 2012. I also conduct a series of shift-share analyses that decompose changes in LFP into composition and within-group effects, with groups defined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tatus. I find that for men in their late twenties, changes in their LFP rate are mostly explained by changes in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For women in their late twenties, however, changes in their LFP rate are mostly explained by changes in their marital status. For men and women aged 30 or older, changes in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tatus did not contribute much to changes in their LFP rate. These analyses imply that policies that impact educational composition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