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단 기억과 역사의식

문서에서 사료비교학습 (페이지 44-48)

기억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며 집단적이라는 주장이 대두되 었으며, 기억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견해가 파급되고 있다.

기억표현 = > (사회적, 집단적 범주를 사용해) 언어화 해야함

 집단기억

집단기억이 비록 전통의 이름으로 특정 집단에게 장기간 뿌리를 내려 지속되기는 하 지만 그것은 원천적으로 상상적 이미지에 의해 매개된 것으로서 정치적인 편의에 따라 쉽게 조작될 수 있다.

기억의 사회적 틀

특정한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 간 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방식

그 집단 구성원들에게 자신들을 여타의 집단과 구별 짓는 특수한

정체성을 형성, 집단외부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반면, 집단

내부에서는 지속성, 연속성, 동질성의 의식을 낳는다.

Ⅱ. 역사교육의 연구 영역 3. 역사적 사고와 역사의식

3) 집단 기억과 역사의식

근대 국민 국사 성립 이후 학문화된 역사는 민족국가의 구성원들에게 공통의 기억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정 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국가에 의해 생산된 역사, 교육을 매개로 한 제도화된 역사를 통해 국가의 구성원들은 국가에 의해 의도 된 집단기억을 갖게 된다.

* 공적기억 * 반기억

최근의 기억 논의 => 학문화된 역사에 대한 반격

공식화된 기억만이 역사로 인정되었으며 따라서 어떤 기억들은 공인되지 못하고 숨겨져야만 했는데, 이처럼 배제 되고 은닉된 역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동시에 기록된 역사에 대해서도 그것이 역사로서 자리잡게 된 과저을 탐색해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국가에 의해 제공된, 혹 은 승인된 집단기억

어떤 방식으로든 침묵되어 왔던, 혹 은 강요되거나 왜곡되었던 또 다른 기억, 역사화 되지 않은 기억

Ⅱ. 역사교육의 연구 영역 3. 역사적 사고와 역사의식

* 역사의식과 집단 기억간의 관계와 구분

역사의식과 집단기억을 대립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다.

역사의식의 개념 속에 집단 기억이 포함되는 모든 종류의 이해 방식을 포괄할 필요가 있다.

역사의식 집단기억

-현재의 모든 것에 대한 역사성을 이해하고, 모든 의견의 상 대성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

-전통적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모든 것에 대해 반성적인 입장 -전문 역사학에서 발전한 문화적 도구로서 근대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의 특수한 형태

-역사성에 대한 의식 없이 사건을 신화적 원형으로 변형 하여 어떠한 종류의 모호함도 용납하지 않으려는 경향 -역사의식에 의하여 교정되고 판되어야 할 대상

Ⅱ. 역사교육의 연구 영역 3. 역사적 사고와 역사의식

4)역사 서술과 역사 이해

역사에 대한 대부분의 지식을 남겨진 기록,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과거에 대한 역사서술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과거를 어떠한 방식으로 서술하는가 하는 것은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될 수밖에 없다.

역사교육에서 어떠한 역사 서술을 통하여 학생의 역사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가는 당연한 관심사다.

역사 교과서 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러티브 로, 때로는 분석적 설명으로 서술된다.

최근의 쟁점 => 내러티브의 부활을 둘러싼 논란

이야기체로, 역사 사건의 진행과 결과를 묘사하는 부분에 사용

사건의 의미를 해석 평가

하고 시대의 모습과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에 사용

Ⅱ. 역사교육의 연구 영역 3. 역사적 사고와 역사의식

 전통적인 의미의 내러티브는 근대 역사학의 소멸의 위기에서 재등장함.

문서에서 사료비교학습 (페이지 44-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