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 직업능력개발 교육만족도 선행연구

직업능력개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교육 프로그램 만족 평가에 대한 표준화되고 체계적인 측정지표는 현재까지는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선행 연구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교육훈련 평가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의 만족도 평가를 수정 보안하여 구성하였다.

Kirkpatrick(1994)은 행복하지 않는 고객은 학습에서 충분히 학습할 수 없다고 주장하 여, 고객 만족의 중요성을 학습 분야에서 설명하고 있다. 즉, 긍정적인 반응이 학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부정적인 반응은 전반적인 학습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조직은 기존의 교육훈련 참여자들이 다음 교육 훈 련에 다시 참여하기를 원하며 또 그들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훈련에 대해 권유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Tamkin, Yarnall , Kerrin 2003) 반응 평가의 결과에 따라서 실무자들 은 프로그램의 존폐여부가 결정된다. 긍정적인 반응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 차원의 지원을 보장하며 호의적인 반응은 교육훈련 참여자에게 학습을 위한 동기를 강 화시키므로 반응평가는 중요성을 가진다(Wexley, Latham, 1981).

박미경(2001) 연구에 따르면, 학습참여 만족요인으로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등으로 구분하였고 교육내용에는 교육과정의 적절성, 프로그램의 실생활 활용도, 프로 그램의 흥미도 반영, 프로그램 목표의 적절성, 참여자의 이해도 반영 등으로 교육방법 에는 강사의 자질, 참여자 의견반영도, 강의, 강사의 열성도, 진행방법의 적절성, 교재 사용의 적절성 등으로 교육환경에는 학습편성 인원의 적절성, 교육장시설의 편의성, 교

통편, 교육일수 및 시간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포함하고 있다(Smith Offerman, 1989). Caffarella(1991)은 학습자의 교육내용을 통한 만족과 교육방법으로 구분하였다.

한 조직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목적은 평가의 결과가 그 자 체로서 유용하고 교육훈련의 성공여부를 알려주며 또한 실무자 및 기타 정책결정자들 에게 기존에 실행하였거나 혹은 향후 실시될 교육훈련과 관련하여 기획(design), 개발 (development), 전달(delivery), 평가(evaluation)등의 과정에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에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나순흠, 2010).

Kirkpatrick의 반응평가 대상영역을 교육훈련 내용, 교수자, 교육훈련 실시자 및 교 육환경 및 시설 분류하여 평가내용을 분석 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 [표 Ⅱ-2]과 같다 (김동숙, 1999).

평가영역 평가내용

교육훈련내용

교육훈련 목표의 제시 및 달성정도 교육훈련 목표와 교육내용의 부합성 교육훈련 내용에 대한 만족도

교육훈련 내용의 자아실현에 대한 기여도

교육훈련 내용의 현업에서의 적용가능성 및 적절성 해당 교육내용에 대한 배당시간

교수자

교육방법 활용의 다양성이나 대상의 적절성 교육훈련 참가자의 이해촉진 능력

강의 준비도

적절한 사례의 활용정도 교육내용의 이해 및 숙지도 교육매체 사용의 적절성(교재 등)

교육훈련 실시자

교육훈련 내용에 대한 참가자의 공감대 형성 일정별·시간별 교과목의 원활한 진행

교육진행을 위한 준비

교육환경 및 시설

강의실의 조명 및 환기 참가자의 휴식공간

교육훈련을 위한 부대시설의 적절성 [표Ⅱ-2]. Kirkpatrick의 반응평가 대상 영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