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문헌고찰

2. 직무만족 (Job satisfaction)

원활한 조직 운영에 대한 평가의 주요 지표로 알려진 직무만족은(최병우, 2004) 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인지 형성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잠재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다(Judge et al., 2012). 직무만족에 대한 초기 연구는 Hoppock (1935)의 저서 ‘Job Satisfaction’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누군가가 정말로 자신의 직무에 만족한 다고 표현하게끔 만드는 심리적, 생리적, 환경적 상황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Locke (1976)은 직무만족을 ‘직무 또는 직무 경험으로 인해 얻어지는 즐거 움, 또는 즐거운 감정 상태’로 정의하며 개인의 정서적 반응을 강조했는데 이는 오늘날 직무만족에 대한 가장 대중적인 개념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간호사는 환자와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직접 간호를 제공하며 전반적인 의 료서비스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Dilig-Ruiz 등(2018)의 문헌고찰 연구에 의하면, 직무만족도가 높은 간호사는 직무에 대한 즐겁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조직몰입, 이직의 도 감소와 같은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므로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관리하는 일 은 환자 간호의 질과 병원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직무만 족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는 1970년대 초반에 시작되어 지금까지 해마다 증가 되는 양상이며,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및 관련 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최근의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Lu et al., 2019),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은 결근, 이직의도, 근무형태, 리더십, 간호업 무수행, 노력에 대한 보상 방식과 같은 변수들과 명백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간호업무 환경,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경력몰입, 직무스트레스, 환자 만족, 환자 간호사 비율, 사회적 자본, 근거기반간호, 민족적 배경 등과 밀접한 관

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로 부터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환자 간호의 질과 숙련된 간호인력 확보에 대한 강 력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짐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관리는 간호조직의 생 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과제가 되었다(Lu et al., 2019).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1990년대 초부터 임파워먼트가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에서는 일찍이 간호의 전문적 지식과 기 술이 간호현장에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에 좌절함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만족 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이직의도가 증가함을 파악하여 조직내 임파워먼트 활성 화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Baumann et al., 2001). Kanter (1979)는 직무 수 행에 필요한 권한이나 파워(power)의 획득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관점으로 조직내 파워 구조 이론을 수립하고, 구조적 임파워먼 트가 구성원의 무력감을 제거함으로써 조직의 효과성과 개인의 직무만족을 향 상시킨다고 하였다. 김명숙과 박영배(1999) 또한 서울경기지역 종합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직무 특성과 직무 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원의 조직 구 조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직무만족과 임파워먼트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최근 구체적인 상황과 맥 락에 따른 다양한 배경 및 그룹 간의 비교, 또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임파워 먼트 간 상호관계와 영향력을 비교하는 연구로 한층 다각화되고 있다.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Ning 등(2009)의 연구에서는 연령과 교육수준, 일의 가치 및 목적(work objective)에 따라 구조적 임파워 먼트의 영향력이 달라진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이 연령과 임상경력, 현 근무지 경력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고 보고한 이혜경 (2001)의 국내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호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한 최지연 등(2014)의 연구에서는 교육수준, 연령, 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미혼보다 기혼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무만족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영향 력이 Baby boomer 와 X 세대 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Sparks (2012)의 연구 결과와도 일부 일치한다.

최승혜 등(2014)은 간호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 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혁신지향적 문화에서 이들 간 관계의 강도가 가장 커짐을 밝혔으며, 관계지향적 간호조직문화 내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강순정(2013)의 연구에서는 이전 결과들과 달리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보다 조직몰입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말레이시아와 영국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임파 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Ahmad와 Oranye (2010)의 연구에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영향 력이 말레이시아와 영국 간호사 사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 한 연구결과들은 임파워먼트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력이 문화적·상황적 맥 락 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메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의 복잡성을 확인 한 Lu 등(2019)은 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개인적 차이에 따라 직무만족의 다른 변수들과의 상관관계 정도와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며 모든 간 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 전략 마련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한 직무만족 관련 일반적 특성 변수들을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