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참여 지원 방안

제4장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참여 지원 방안

1. 지원정책 기본방향

❍ 다문화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농촌사회 일자리 환경 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소양 강화가 요구되며, 농촌사회 일자리의 자격요건 을 갖출 수 있는 역량강화, 농촌 지역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따른 노 동시장의 진입 용이성과 선택의 다양성, 결혼이주여성의 새로운 일자리 창 출이 가능한 농촌사회 일자리 환경 조성 등은 다문화관점을 반영한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지원정책 방향으로 제시할 수 있음

❍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농촌사회 일자리 환경의 주체화를 위한 기초소양은 한국어수행능력임

- 한국어수행능력은 결혼이주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탐색하 는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남.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농촌사회 일자리 참여지원 정책 은 결혼이주여성이 농촌 지역사회 노동시장에서 한국어수행능력의 필요성과 증진 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함

❍ 농촌사회 일자리 정책은 전북 농업·농촌의 변화와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을 반영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해 노동시장의 확대가 요구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농촌사회 일자리와 다문화배경 일자리 모두 결혼이주여성에 비해 농촌 여성내국인에게 기회 제공이 상대적으로 많음

❍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고령화·과소화가 진행되고 있는 농촌 지역사회의 변 화를 반영한 새로운 농업·농촌사회 일자리 비전과 목표 설정, 일자리 생태 계의 주체 다양성 강화를 이끌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됨

❍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참여 지원정책은 크게 네 단계로 구 성하여 추진될 필요가 있음

-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에 대한 이해와 적응을 위해 정보 수집이 용이한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함. 정보 접근성 증진을 통해 결혼이 주여성의 역량에 따른 일자리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현재 결혼이주여성이 종사하는 직종은 매우 한정적임. 고정 수입원을 선호하는 여 성의 경우, 공장, 식당, 농가 등에서 노동집약적인 업무 수행을 통한 질 낮은 일 자리에 종사함. 한국어수행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은 이중언어 및 다문화배 경 일자리에 종사하며, 비정규직으로 고용안정성이 보장받지 못하는 가능성이 상 대적으로 높음

- 결혼이주여성이 종사하고 있는 일자리는 주로 이들의 삶터이자 일터, 일상생활 공 간인 농촌사회 특성과 다문화배경이 함께 반영된 일자리와 거리가 있음. 이에 따라, 결혼이주여성들이 농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다문화배경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경제적 자립역량강화를 위한 고용안정성, 창업 안정성 및 수익성이 보장되는 일자

리 발굴과 환경 조성이 요구됨

- 결혼이주여성의 자아효능감과 자긍심 증진을 통한 농촌 지역사회와 일자리 생태계 의 전문인력으로 지위를 부여하고 적극적 참여할 수 있는 역량강화가 요구됨 - 결혼이주여성의 강점과 역량을 통하여 농촌 지역사회의 당면 과제 해결과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마련이 필요함. 결혼이주여성의 전문지 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일자리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 사업이 요구됨

- 농촌 결혼이주여성 일자리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결혼이주여성이 농촌사회의 주 체로서 인식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자생력과 조직화가 가능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임

-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의 일원으로 적극적인 참여와 창의적인 농촌사회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의 지속가능성과 활력화에 기여하고 농촌사회 일자리 환경을 변화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함

❍ 전북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정책의 방향 과 추진 방안은 다음과 같음

<그림 4- 1>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 일자리 참여 지원 정책 로드맵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