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중동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Ⅲ. 진출전략

3. 한-중동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ICT

우리가 기술적 우위에 있는 스마트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중동 육성 ICT 분야 협력 확대

에너지

에너지 다변화 및 에너지 효율화 추진 분야 협력 활성화

의료보건

의료 인프라 확장과 서비스 고도화 협력을 통한 중동 내 K 메디컬 진출

방산

핵심 품목 도입, 공동개발 등 중동 방산 수요 협력 강화

한-중동 경제협력

한 - 중동 경제 협력 활성화를 통해

함께 만들어 가는 중동의 새로운 미래

자료 : 중동지역본부 종합

진출전략

3-1. (ICT) 스마트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중점 육성 분야 협력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스마티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ICT 분야는 많은 중동 국가들이 국가 비전 및 경제개발 계획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분야

◦ 동 분야는 IC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의 도약을 통해 국민 생활과 국가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우리나라와 ICT 분야 육성을 통해 Post oil 시대 새로운 미래를 만들고자 하는 중동 각국의 발전전략이 만나는 지점으로, 한-중동 협력 가능성과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은 분야

◦ 중동 내 스마트시티, ITS 등 신규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한국型 모델을 중동 스탠다드로 정착시키고, 우리의 우위 품목 납품과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등을 연계할 수 있는 경제협력 모델

중동 경제발전 전략 및 주요 이슈

⚬ ICT 분야는 Post oil 시대 대비를 위해 중동 주요국이 추진하고 있는 국가 비전 및 경제개발 계획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

중동 주요국 경제개발 계획 및 ICT 분야 관련 이슈

국가 경제개발 계획 ICT 분야 관련 이슈

사우디 Vision 2030 ∙ ICT를 5대 중점분야 중 하나로 선정

∙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등 12개 협력 사업

UAE 국가혁신전략

(National Innovation Strategy)

∙ 국가혁신전략 8대 분야 중 혁신기술(스마트시티, 스마트정부, 소 프트웨어 등) 포함

쿠웨이트 New Kuwait 2035 ∙ 인프라, 생활환경(신도시 건설 등) 포함

카타르 국가 디지털화 정책

(TASMU)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국가 디지털화(Smart Qatar) 추진

∙ 교통, 물류, 환경, 보건의료, 스포츠 등 5대 분야 선정 터키 스마트시티 전략 및 실행 계획

(2019 ~ 2022)

∙ 스마트에너지, 대중교통 등 17개 분야 개발을 통한 국가 전체 스마트시티化 추진

오만 Vision 2040 ∙ 13대 국가 우선 과제 중 하나인 ‘지속가능한 정부/도시 발전’

분야에 스마트시티, 교통 인프라 등 포함 요르단 2018~2022 경제발전 계획 ∙ ICT 분야 연 5% 성장을 목표로 설정

∙ ICT 분야 스타트업 및 인재육성 추진 자료 : 중동지역본부 종합

⚬ 중동 국가와의 긴밀한 상생협력 관계와 ICT 분야 글로벌 강국의 기술・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 등 주도적으로 참여 추진

* 사우디(비전 2030 5대 협력 국가), UAE(특별 전략적 동반자) 등 관계에서 협력 지속 중

협력 의제 발굴 및 진출전략

⚬ (사우디) 비전 2030에 의거, 스마트시티 등 ICT 분야 12개 프로젝트 진행 중

- 전자정부 협력센터 설립, 스마트시티 정책 경험 공유, 스마트 공항 건설 등 한–사우디 양국 간 MOU 추진 중

- 우리기업의 스마트시티 조성 경험 및 ICT 관련 서비스 및 활용 역량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주 추진 중

- 사우디 정부는 입찰참여 기업이 설계, 시공 등 전체 Master Plan 제공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G2G + B2B 협력을 통한 프로젝트 수주 필요

* (G2G) 프로젝트 Master Plan 수립,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을 통한 수주 지원

* (B2B)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 미래 공동 지향적 수주전략 추진 사우디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 미국 플로리다 디즈니월드 2.5배로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복합 단지 - 총면적 334㎢ 규모로 사우디 남부 45K㎞ 중부 사막지대 주변에 건설 예정 -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50% 투자, 외국 및 현지 투자유치 50%

- 2022년 1차 완공, 2030년 최종 완공 목표. 총 건설규모 9조 3,500억 원 - 스포츠 시설, 레이싱, 워터파크, 실내 스키장 등 복합 엔터테인먼트 조성

⚬ 삼성물산의 동 프로젝트 참여 MOU를 체결(2019년 10월)로, 향후 우리기업들의 대규모 협력사업 참여가 가능할 것 으로 전망

⚬ 2030년까지 1,700만 명 관광객 유치, 48억 달러 GDP 기여, 관광수지 300억 달러, 일자리 5만 7,000개 창출 등 경 제 효과 기대

사우디 NEOM 신도시 프로젝트

⚬ Saudi Vision 2030 최대 규모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 - 북서부 타북(Tabuk)주에 총면적 26,500㎢(서울시 44배)로 조성

- 총 5,000억 달러(약 600조 원)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사우디 정부 예산 및 국부펀드(PIF), 국내외 민간투자 유 치 통해 조달 계획

⚬ 홍해 연안 자연환경 및 지리적 이점 활용, 신재생에너지 중심 친환경 주거 및 산업 단지 개발 추진

⚬ (쿠웨이트) 주거복지청 2025년까지 240만 명 수용규모의 10개 신도시 건설 추진 - 우리나라는 쿠웨이트 New Kuwait 2035 plan의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 중

프로젝트 내용 국내기업

South Saad Al-Abdullah 신도시 프로젝트 스마트시티 설계 및 건설 LH

Jaber Causeway 해상연륙교 교량 건설 현대건설, GS건설

Clean Fuel Project 정유공장 리모델링 삼성엔지니어링 등

국내 EPC 5개사

쿠웨이트 공항 T4 위탁 운영 공항 관리 및 운영 인천공항공사

New Jahra Hospital 위탁 운영 병원 관리 및 운영 서울대학교병원

진출전략

쿠웨이트 South Saad Al-Abdullah 스마트시티 건설 수주 사례

⚬ 쿠웨이트 시티로부터 약 30km 떨어진 South Saad Al-abdullah 지역 총 64.4㎢ 면적에 첨단 스마트신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

◦ 해외 건설 분야에서 단순시공이 아닌 설계부터 시공까지 총괄하는 최초 사례

◦ 최초의 한국형 스마트신도시 진출 사례로서, 스마트도시 건설을 추진하는 중동 내 타 국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확대

◦ (2016) G2G 사업 MOU 체결 → (2017) LH 지사설립 및 마스터플랜 설계계약 체결 → (2018) SPV 설립 및 마스터플랜 → (2019) 실시 설계 → (2020) 공사 착공

- LH의 실시설계 용역 완료 후, 스마트시티 관련 프로젝트 참여기회 모색을 위해 2020년 상반기 서울에서 개최 예정인 ‘압둘라 신도시 프로젝트 설명회’ 참여

* 발주처 수요분석과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 사후관리 계획 등 필요 - 쿠웨이트 주요 신도시 프로젝트 추진 현황

프로젝트 형태 단계 금액(백만 달러) 발주처

Jaber Al-Ahmad City BOT Study 150

Kuwait Public Authority for Housing Welfare

(PAHW) Sabah Al-Ahmad Residential City Build Bid Evaluation 250

Nawaf Al-Ahmad Build Study 2,434

Al-Khiran DBO Design 13,900

South Al-Mutlaa DB Execution 20,100 West Abdullah Al-Mubarak Build Execution 1,320 Subiya Urban Development

(Al Sabriya Project) Build Study 5,000

South Saad Al-Abdullah Build Design 4,000 PAHW & LH JV

Al-Wafra Build Study 1,400 KDIPA

자료 : 쿠웨이트무역관 자체조사, Meed Projects

⚬ (터키) 스마트시티 전략 및 실행계획(2019∼2022)에 따라 스마트에너지, 대중교통 등 17개 세부분야 개발을 통한 국가 전체의 스마트시티화 추진 중

- 스마트시티 신규 조성보다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 중심으로 추진 중이며, 관련 분야 한–터키 정부 간 협력 진행 중

* 국토교통부 - 터키 교통해양통신부와 도로, 철도, 교통기술 등 3건의 MOU 체결(2017.3.17)

* 한-터키 정상은 교통, 인프라, 에너지, 방위산업 분야 협력 확대 합의(2018.5.2)

- 터키 내 고속도로 개선 확충에 따른 요금징수, 속도 측정 설비 등 ITS 수요 및 전력 효율 진단, 향상 등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구축 수요 증가 예상

- KOTRA는 현지 스마트시티 전시회와 연계한 정부 간 협업 사업을 개최하여 국내업체와 현지 발주처/에이전트 간 네트워킹 및 사업기회 발굴 지원 예정

⚬ (카타르) 정부 주도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TASMU) 추진을 위한 다수의 프로젝트가 정보통신 기술을 요하고 있어 해외 선진기술 수요가 높음

- 중동 최초 5G 도입국으로서, 관련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개발수요가 높음

- 5G 선도 기술을 보유한 한국기업들이 하드웨어가 구축된 국가부터 적극 진출해 기술 수출시장 선점 필요

- 아랍어 및 이슬람 문화 등을 접목한 현지 특화 5G 서비스 개발과 테스트가 가능한 시장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인근국 진출 교두보로 활용 가능

⚬ (요르단) ‘중동의 기술허브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ICT 스타트업 및 인재육성

- 경제발전계획(2018~2022)을 통해 5%의 ICT 분야 연간 성장을 목표로 88억 달러 규모의 정부 프로젝트(85개)와 133억 달러 규모 민간 프로젝트 발표

- 요르단 정부는 중동 내 수출을 목표로 ICT 분야 스타트업 및 인재 육성 추진

* 세계 아랍어 온라인 콘텐츠의 75%가 요르단에서 개발(국제통신협회 발표)

- 요르단 정부의 스타트업 육성책을 활용한 현지 스타트업 기업과의 합작투자 또는 펀딩을 통한 시장 진출 및 중동 타 국가 수출 확대 등 모색 가능

- 현지 스타트업 지원 기관인 게임 개발 실험실(Gaming Lab), 스타트업 펀딩 기관(Oasis 500), Tech 인큐베이터 등 기관들과 협업 가능

- 소프트웨어, 모바일 콘텐츠, 핀테크・전자금융 분야 진출 유망

ICT 분야 진출 유망 분야

소프트웨어 IT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CRM, 뱅킹, HR, SCM, ERP 등

모바일 콘텐츠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아랍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핀테크・전자금융 금융 결제 관련 기술

(2017년 은행계좌 보유 인구가 전체 25%로 향후 잠재력 풍부)

⚬ (알제리) 정부에서 추진하는 시스템 선진화 및 ITS 분야 공공 프로젝트 유망 -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ICT 기술을 활용해 낙후된 기존 정부 시스템 선진화 추진

* UN 전자정부 평가에서 알제리는 전체 193개국 중 130위 - 신정부 수립 후, 인프라 프로젝트 재개 및 신규발주 예상

- 전자 조달 시스템 구축, 도로, 스마트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항공, 철도 등 분야에서 국가 간 협력에 따른 한국기업 참여 확대 전망

협력 의제 발굴 및 진출전략

⚬ (UAE) 태양광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한국과 원전 분야 협력 지속

- (신재생) UAE 44%(2050년), 두바이 25%(2030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확대

* 2019년부터 5년간 UAE 전체 발전 분야에 1,090억 달러 투자 예정

* 태양에너지 발전 차액제 등 인센티브 제공 및 두바이 그린 펀드(270억 달러) 조성

☞ 태양에너지 발전으로 전기와 물, 담수를 한꺼번에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물과 전력이 부족한 중동에서 관련 기자재 및 기술 수출 확대 가능

- (원전) 원전 건설부터 설계, 운영, 정비까지 전 주기에 걸친 협력 중

* 원전 수출 1호인 UAE 바라카 원전은 2019년 1기 공사 완료, 2020년 추가 3기 공사 완료

* 향후 5년간 원전 4기 장기정비사업계약(한수원・KPS) 및 정비사업계약(두산重) 체결(2019년 6월)

☞ ICV 등 현지화 요건 충족을 위한 생산기술 협력이나 설비 제공, JV 설립 등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현지화 확 대가 필요함. 또한, 현지인 엔지니어 육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현지 인력 고용기반 확대도 추진 필요

- (재활용) 폐기물 재활용 비율 75% 달성을 위한 한국과의 협력 희망

* 2019년 2월 한-UAE 정상회담 시 서울시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노하우를

* 2019년 2월 한-UAE 정상회담 시 서울시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노하우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