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장특성) 젊은 소비인구와 높은 출산율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내수시장 확보

(교역) 미국의 대(對)이란 경제 제재 및 카타르 단교사태로 인한 UAE 재수출 물량 감소 및 전체 수입규모 감소 (투자) 인프라・관광 산업단지・재건 등 다양한 분야 투자 확대

(프로젝트) GCC(사우디, UAE, 카타르) 및 이라크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발주 확대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젊은 인구, 적극적 소비계층으로 구성된 잠재력 높은 내수시장

⚬ 전체 인구 중 30세 이하가 절반 이상(52.9%) 차지

⚬ 차세대 소비계층인 19세 미만이 36.8%(약 2.1억 명)로 전 세계 최고 수준 - 19세 미만 인구는 높은 출산율에 힘입어 2018년 대비 0.4%p 상승

2020년 중동 연령대별 인구 비율 전망

연령 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80∼89세

비율 20.2% 16.6% 16.1% 16.7% 12.6% 8.7% 5.5% 2.6% 0.9%

자료 : Population Division database 2019, UN

(권역별 분석) 중동은 크게 3개 권역(3대 독립시장, GCC, 마그레브・레반트)으로 구분

⚬ (3대 독립시장) 역내 최대 인구, 안정적인 내수시장 및 제조업 기반 보유

⚬ (GCC) 사우디, UAE,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등 산유국으로 구성 인구는 적으나 타 권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소득과 구매력 보유

⚬ (마그레브・레반트) 낮은 인구 및 소비자 구매력, 북아프리카 및 지중해 연안에 위치

비즈니스 환경 분석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제조업 낙후로 대부분의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

⚬ (물류 허브) 두바이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중동과 유럽・아프리카를 잇는 거점이자 공항・항만 시설에 대한 투자로 중동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 수행

⚬ (생산기지) 터키, 이집트, 알제리 등은 인근 아프리카 및 유럽 생산기지 역할

나. 교역

중동의 교역 동향

⚬ (중동의 수입) 중동 수입시장 규모는 2018년 1조 3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6% 감소 - 중동 수입시장은 2014년($1조 2,736억)에서 2018년($1조 32억)으로 21.2% 감소 - 2017년 소폭 반등을 제외하고 2014년 이후 전반적인 수입규모 감소세

⚬ 권역별 수입규모로는 GCC, 3대 독립시장, 마그레브 순

최근 5년간 중동 수입시장 국별 현황

(단위 : 억 달러,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7년 대비 증감률

수입시장 규모 12,736 11,724 10,806 11,472 10,032 △12.6

3대 독립 시장 3,657 3,216 2,994 3,517 3,451 △1.9

터키 2,422 2,072 1,986 2,338 2,230 △4.6

이집트 713 744 581 663 810 22.2

이란 522 400 427 516 411 △20.3

GCC 5,782 5,607 4,992 4,961 3,639 △26.6

아랍에미리트 2,986 2,870 2,709 2,697 1,813 △32.8

사우디아라비아 1,682 1,638 1,298 1,268 1,017 △19.8

카타르 305 326 297 285 289 1.4

쿠웨이트 315 319 308 336 220 △34.5

오만 293 290 233 201 202 0.5

바레인 201 164 147 174 98 △43.7

마그레브 1,519 1,260 1,206 1,246 1,332 6.9

모로코 462 375 417 451 513 13.7

알제리 586 518 471 461 473 2.6

튀니지 248 202 195 206 202 △1.9

리비아 187 128 100 93 112 20.4

모리타니아 36 37 23 35 32 △8.6

레반트 877 902 834 943 773 △18.0

이라크 371 461 407 505 312 △38.2

자료 : ITC Trademap

자료 : 무역관 자료 취합

비즈니스 환경 분석

FDI 상위 4개국 투자 동향

(단위 : 십억 달러, 건, %)

2017년 2018년

국가 투자액 프로젝트 수 국가 투자액 프로젝트 수

이집트 37 67 오만 20

-UAE 9 298 사우디아라비아 15 29

사우디아라비아 7 59 UAE 13 164

오만 4 30 이집트 11 24

자료 : The FDI Report 2019

투자유치 촉진을 위한 투자장벽 완화 및 인센티브 확대

⚬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완화를 통한 투자유치 확대 추진

- (UAE) 122개 세부 산업 분야 외국인 투자지분 100% 허용으로 FDI 15% 증가 전망(2019.7월)

* 오일・가스, 은행, 공익사업, 육・해상 교통, 전기, 통신, 의약품 소매업 등 제외

- (카타르) 외국인 투자법 개정(외국인 투자자 지분 49% → 100%) 및 부동산 소유 허가지역 확대 - (오만) 외국인 자본 투자 개정안 적용 예정(2020년 초), 자유무역지대 및 특별경제구역 외

지역도 외국인 자본 100% 소유 허용 예정

⚬ 기타 각종 비즈니스 환경 제공 및 인센티브 확대

∙ 내무부-경제부-인적자원부 제공 서비스 1,500건의 수수료 최대 50%까지 감면(2019년 7월)

∙ KIZAD(아부다비 칼리파 산업단지) : 각종 수수료 75% 이상 면제 및 유료 서비스 간소화・할인, 아부다비 정부 3개년 경제활성화 정책(Ghadan 21) 일환(2019년 8월)

∙ 장기 거주권(골드카드) 발급 : 외국인 투자자 및 고급 전문직 종사자에게 10년 장기 거주권 발급 (2019년 5월)

아랍에미리트

∙ 2020년, LNG 트레인 및 관련 육상 설비 EPC 시공사 확정 계획

∙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인 ‘타우틴(TAWTEEN)’ 추진

∙ 걸프 지역 최초 외국인 영주권 부여 카타르

∙ 시민권 : 특정 요건을 갖춘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시민권 부여 → 2019년, 약 21명의 투자자 요르단 시민권 획득

∙ 암만 주변 퀸 알리아 국제공항, 국제규격에 부합하는 자유지대 설립(2019년) 요르단

주요 경쟁국 투자진출 동향

비즈니스 환경 분석

에이전트 계약, 현지화 강화 등 투자 애로사항은 여전히 존재

⚬ (UAE) 에이전트 계약 의무화

- 신규 법안 ‘외국인 투자유치법’ 개정(2019년 7월)에 따른 투자 환경 개선에도 불구, 상업 에이 전트 등록 관련 애로 존재

- 자동갱신 계약 원칙 및 계약파기 손실 보상 필수에 따른 일방적 계약파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

UAE 에이전트 제도 관련 현지 간담회(2018.9.5) 주요 기업 발언

- (A사) 현지 에이전트와 10년 넘게 독점 계약했으나 대금 미지급, 실적 미달 등의 사유로 계약 종결 희망, 하지만 현지 경제부 상업에이전시협의회(CAC)는 에이전트 측에 손실보상금을 지급하고 합의 요구

- (B사) 현지 에이전트에 실적 부진 사유로 계약 해지를 제안했으나, 해지 거부로 4년여 법정 공방 중, 초기 승소 했으나 파기환송 후 에이전트에게 유리하게 진행

⚬ 현지화 요건 강화

- 현지조달 및 자국산 보호 강화에 따른 외국기업 진출 장벽

* IKTVA, ICV, ADV, New Tender Law 등 GCC 산유국 위주 현지화 요건 - 자국민 채용 의무화에 따른 외국기업 부담 증가

* 대표적으로 Saudization, Emiratization(UAE), Omanization 외 이란, 터키, 이라크 등

⚬ (요르단) 신규 법인세 개정 및 합작투자 의무화 - (법인세) 개정 소득세법에 법인세 차등 납부(2019년)

☞ 통신, 전력, 채굴, 보험, 금융 중개・임대업 : 24%

☞ 은행 : 35%

☞ 그 외 업종 : 20%

- (합작투자 의무) 외국인은 개방 분야에 한해 단독투자 가능, 그 외 현지인과 합작투자 필요

부문 내용 소유 가능 비율

상업 도소매업(유통, 수출입 등), 리스 활동(금융 리스를 제외) 50

서비스

엔지니어링 서비스 및 컨설팅, 건설 계약 및 관련 서비스, 건축 및 건설 목적을 위한 토양 검사 및 화학 테스트 등 관련 기술 서비스, 고용 및 인력 제공 서비스, 은행 및 금융 서비스를 제외한 중개 서비스, 광고 서비스, 은행 또는 금융기관을 제외한 화폐 교환 서비스, 여행사 서비스 등

50

교통 해상운송, 항공운송, 도로운송 관련 서비스 49

기타

송신기/라디오/방송 장비의 유지보수, 주거용 아파트 건설을 위한 토지 매입・분양・임대 49

스포츠 클럽 49

건설 목적 채굴 기계, 조사 및 보안 서비스, 개인 신변 보호 서비스 및 관련 교육, 화기 및 탄약

거래, 민간 사격 활동 관련, 베이커리 활동, 운송 활동 제외한 재고 서비스 활동 등 0 자료 : 암만무역관

라. 프로젝트

2018년 중동 전체 프로젝트 발주 규모는 2017년(3,070억 달러) 대비 9.9% 감소한 2,765억 달러

⚬ (권역별 규모) 2018년 기준 프로젝트 발주액 기준 1위는 GCC(1,670억 달러, 60.5%)이며, 3대 독립시장(670억 달러, 24.1%), 레반트(220억 달러, 8.1%), 마그레브(200억 달러, 7.3%) 등의 순

⚬ (권역별 증감률) 2018년 프로젝트 발주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권역은 마그레브로 약 60억 (42.1%) 달러 증가

* 레반트(△21.8%), GCC(△11.7%), 3대 독립시장(△10.2%) 등 다른 지역은 발주 감소

⚬ 2019~2020년 사우디 메가 프로젝트 발주(네옴, 키디야 등) 및 GCC・이라크 등 재건과 신도시 프로젝트로 1조 달러가 넘는 천문학적 금액이 발표

* 프로젝트 발표에도 불구, 상당수는 취소・지연에 따라 발주 변경 예상

2014년~2020년 중동 프로젝트 발주액 추이

(단위 : 십억 달러,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중동 전체 423 398 312 307 276 1,086 1,556

GCC 발주액 305 254 194 189 167 884 989

비중(%) 72.1 63.7 62.3 61.7 60.5 81.4 63.6

3대 독립시장

발주액 54 88 58 74 67 84 240

비중(%) 12.9 22.2 18.5 24.2 24.1 7.7 15.4

마그레브 발주액 31 23 33 14 20 37 131

비중(%) 7.4 5.9 10.7 4.6 7.3 3.4 8.4

레반트 발주액 29 31 14 29 22 74 195

비중(%) 6.8 7.9 4.6 9.3 8.1 6.8 12.5

기타 발주액 4 1 12 0 0 7 6

비중(%) 0.8 0.3 3.9 0.1 - 0.6 0.1

주1 : 중동 전체 발주 프로젝트 기준(취소 사업 제외), 주2) 관할 국가 중 터키, 모리타니 통계상 제외 자료 : Meed Projects(2019.11월)

⚬ (공종별 발주액) 2018년 공종별 프로젝트 발주 규모는 건설(인프라・교통)이 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석유・가스(18%), 원자력(11%), 석유 화학(6%) 등 활발

- (건설) 관광・스마트시티 등 신도시 및 이라크 전후 재건 프로젝트에 따른 인프라 구축사업이 전체의 58.7%를 차지하며, 신도시 개발 부분 투자 확대 추세

- (석유・가스) 2014~2018년 업스트림(1,460억 달러) 및 다운스트림(1,440억 달러)은 비슷한 양상으로 투자, 2019년은 다운스트림 분야 투자가 활발히 추진

권역 국가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3대

⚬ (공종별 발주액) 2018년 공종별 프로젝트 발주 규모는 건설(인프라・교통)이 59%로 가장 큰 비중을

비중(%) 100.0 100.0 100.0 100.0 0.0 100.0 100.0

소계 4 1 12 0.3 - 7 1

중동 합계 423 398 312 307 276 1,086 1,556

참고 : 중동 공종・권역별 프로젝트 발주 규모

(단위 : 십억 달러) 권역 국가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건설 (인프라・교통)

GCC 199 153 144 112 119 781 645

3대 독립시장 23 36 28 22 28 28 102

비즈니스 환경 분석

우리나라의 중동 내 프로젝트 수주 동향

⚬ (수주 동향) 2019년 10월, 우리나라의 대(對)중동 프로젝트 수주는 총 43.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2.6억 달러 감소(해외건설협회)

(단위 : 건수, 백만 달러, %)

2016년 2017년 2018년 2018년 10월 2019년 10월

수주액 수주액 증감률 수주액 증감률 수주액 수주액 증감률

10,694 14,578 36.3 9,204 △36.9 8,570 4,314 △49.7

⚬ (국별 수주 동향) 2019년 10월 금액 기준 대(對)중동 프로젝트 수주 상위 국가로는 사우디(43억 달러), UAE(6.7억 달러), 이라크(4.1억 달러) 등

* 특히, 사우디, 이라크의 경우 2019년 10월 기준 계약액이 전년도 총 계약액이 근접하여 중동 내 타 국가에 비해 수주성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됨

자료 : Meed Projects(11월)

소 계 40 46 21 49 30 60 262

석유화학

3대 독립시장 10 1 3 8 12 13 42

GCC 1 9 2 3 3 12 49

레반트 - - 3 - 1 - 0

마그레브 - - 0 - 1 1 2

소 계 11 10 9 11 16 27 94

수자력

GCC 7 15 5 7 9 15 39

레반트 1 1 2 1 2 7 19

3대 독립시장 0 0 1 1 1 3 1

마그레브 1 0 0 0 1 1 2

기타 - - 0 - - -

-소 계 9 16 8 9 13 26 61

산업

GCC 14 10 8 8 3 10 15

3대 독립시장 2 3 2 4 1 31 7

레반트 0 - 1 0 1 1 1

마그레브 1 8 2 1 1 2 6

기타 - - 2 - - 0

-소 계 17 21 14 14 5 43 29

중동 합계 423 398 312 307 276 1,086 1,556

2016~2019 대(對)중동 프로젝트 수주 국가별 계약액 추이

(단위 : 건수, 백만 달러)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0월 누계

중동 전체 10,694 14,578 9,204 4,314

사우디아라비아 4,159 1,155 2,405 2,991

UAE 1,655 1,608 5,337 667

이라크 670 - 446 409

모로코 144 - - 173

바레인 10 - - 22

알제리 163 92 110 20

카타르 467 1,429 237 11

이란 - 5,237 - 7

쿠웨이트 - 139 225 5

요르단 - 51 - 3

오만 7 2,029 81

-터키 76 1,443 193

-기타 838 46 5

자료 : 해외건설협회

⚬ (공종별 수주 동향) 2019년 10월 금액 기준 대(對)중동 프로젝트 수주 상위 공종은 도로(15억 달러), 항만(9.4억 달러), 댐(2.4억 달러), 상수도(2억 달러) 등

2016~2019 대(對)중동 프로젝트 수주 공종별 계약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공종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0월

수주액 수주액 증감률 수주액 증감률 수주액

전체 10,694 14,578 36.3 9,204 △36.9 4,314

토목 525 2,584 382.2 1,626 △37.1 628

건축 1,863 194 △89.6 366 88.7 178

산업설비 7,018 11,445 63.1 7,031 △38.6 3,456

전기 631 263 △58.3 46 △82.5 29

통신 -82 -35 △57.3 23 △165.7 0

자료 : 해외건설협회

비즈니스 환경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