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고의나 사고로 어떤 물질을 섭취하거나 흡입, 흡수, 피부에 도포될 때 신체에서 화학작용을 일으켜 신 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것

 독물섭취

 부식성 중독 – 알칼리와 산성제제

 점막에 닿으면 조직을 파괴시킬 수 있음

 독물의 종류

 알칼리성 – 잿물(lye), 하수구 세척제, 표백제, 합성세제 등

 산성 – 변기 세척제, 수영장 소독제, 금속 세척제 등

5. 중독

 독물섭취

 일반적 관리

 기도를 유지하고 환기 및 산화

 신체검진 – 섭취한 독물의 종류와 양, 섭취 후 경과시간, 증상

 독물을 제거하거나 흡수

강한 산, 알칼리, 부식성 물질, petroleum(석유)증류액 섭취 시 구토를 유발시키지 않음

부식성 중독제 – 식도나 위, 장천공의 위험  금식

음독한지 2시간 이내에는 위 세척

숯에 흡수되는 독물  활성탄(activated charcoal) 투여

화학적 길항체나 생리적 길항제를 재빨리 투여

 소변배설을 위해 이뇨제 혹은 투석시행

 자살을 목적으로 독물을 섭취한 경우 정신과 상담 의뢰

5. 중독

 흡입성 중독: 일산화탄소 중독

 일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면 혈액의 산소운 반능력을 감소시켜 독성효과가 나타남

 일산화탄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력은 산소보다 200 배 이상 높음  탄산화 헤모글로빈(HbCO)는 산소운 반능력 상실

 사정

 산소요구도가 높은 중추신경계  뇌의 저산소증 초래

 두통, 근육허약, 심계항진, 현기증, 정신혼돈, 혼수 등

 피부색 – 다양한 색이 관찰되므로 중독을 확인할 수 있는 정 확한 지표가 아님

5. 중독

 흡입성 중독: 일산화탄소 중독

 응급관리

 목표 – 뇌와 심근의 저산소증을 치료, 일산화탄소 제거

 대상자를 즉시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

 꽉 조이는 의복은 느슨하게

 고압 산소요법을 이용하여 100% 산소 투여

 탄소화 이산화탄소(HbCO)를 측정하여 5%이하가 될 때까지 산 소를 투여

 필요시 심폐소생술

 중추신경계의 영구적인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 관찰

 담요로 오한 방지, 조용한 환경 제공

 사고 – 건물구조를 조사하여 수리

 자살 – 정신과 상담을 받도록

5. 중독

 피부접촉 중독: 화학적 화상

 응급관리

 흐르는 물로 피부를 충분히 세척

 물을 뿌리면서 의복을 제거

 광범위한 화상이거나 약물의 독성이 심한 경우…

의료팀은 자신이 피부를 보호해야 함

 화학약품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

 일반적인 화상치료

5. 중독

 식중독

 오염된 음식이나 음료를 마신 후 갑자기 나타남

 보툴리즘(botulism)은 지속적 감시가 필요

 보툴리즘 독소증? 혐기세균

Clostridium botulinum

의 외독소에 의 해서 신경근접합부나 자율신경시냅스에서 아세틸콜린의 시냅스 전 방출이 차단되어 발생

 응급관리

 식중독의 원인 파악

 먹다 남은 음식, 위 내용물, 토물, 혈청, 대변 등을 검사물로 수집

 호흡기계 증상 확인

보툴리즘 이나 생선중독 시에는 호흡마비가 올 수 있음

5. 중독

 뱀에 의한 교상

 사정

 독사 여부 확인

 물리 시간과 장소, 상황을 파악

 상황의 진행과 증상 및 징후를 파악

 응급관리

 응급처치

안전한 장소로 이동 및 독이 순환되지 않도록 안정

물린부위는 심장보다 아래에 둠

알코올이나 카페인 함유 음료는 독의 흡수를 촉진하므로 금지

물린부위 2~4cm 근위부를 압박하는 밴드 이용  동맥혈 흐 름이 장애를 받지 않을 정도로 압박(손가락을 넣고)

5. 중독

 뱀에 의한 교상

 응급관리

 병원치료

물린자리를 절개, 흡인, 얼음을 대지 않도록

산소 투여 및 생리식염수나 교질성 용액 정맥주입

독은 파상풍이나 창상감염 유발  파상풍 예방접종을 하고 창상을 잘 관리하고 광범위 항생제 투여

약물요법 – 혈관수축제는 단기간 사용, 항사독소는 교상 후 첫 4시간 내에 투여

항사독소 과민반응 검사 – 말의 혈청으로 만드는 항사독소는 과민반응의 위험이 있으므로 약물 투여 전 피내주사로 과미넝 확인 필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