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임산업 수급구조

2.1. 산림자원 현황

2005년 현재 중국의 산림 면적은 1억 7,491만ha로 한국 산림 면적의 약 27배에 해당한 다. 국토 면적에서 산림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18.2%로 한국의 64%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며 세계 주요국의 산림 면적 비율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편이다29. 총 임목 축적량 은 136억 1,810만㎥로 헥타르당 축적은 77.9㎥로 나타났다.

산림 면적 가운데 천연 용재림 면적은 5,545만ha로 전체 용재림 총 면적의 약 70%를 차지한다. 천연림임목 축적량은 43억 6,737만㎥로 헥타르당 축적량은 78.8㎥였다. 인공 림 면적은 5,326만ha이나 과수 등 경제림과 대나무밭 등을 제외한 임지 면적은 3,229만

29 중국국가통계국. 2006. 「중국통계연감」. 중국통계출판사.

ha에 임목 축적량은 15억 453만㎥로 헥타르당 축적량은 46.6㎥에 불과하다30.

중국의 전체 산림면적에 대한 영급별 비중은 유령림이 36.8%, 중령림이 34.3%로 중령 림 이하가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성숙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표 6-1). 성숙림과 과숙림 비중이 30%에도 못 미쳐 용재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우려는 임목 축 적의 영급별 비중에 잘 나타나 있다. 중령림 이하의 임목 축적 비중은 41%에 불과한 반 면 근숙림 이상의 비중은 약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중국은 광대한 국토와 산림면적, 그리고 다양한 기후대와 수종, 토양과 고 도 및 지형 등을 배경으로 수많은 임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호두를 비롯한 많은 단기소득임산물의 원산지이기도 하다. 특히 한국에서 주로 소비되는 단기소득임산 물이 대부분 중국에서도 생산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이 절에서 중국의 임산물 수급 동향을 단기소득임산물과 목재류 수급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구분 유령림 중령림 근숙림 성숙림 과숙림 합계

면적 36.83 34.29 11.21 10.98 6.68 100

축적 11.06 30.10 14.99 23.14 20.71 100

표 6-1. 영급별 산림 면적 및 축적

단위: %

자료 : 中國國家林業局.「中國林業資源統計」. 1998.

2.2. 주요 단기소득임산물 수급 동향

2.2.1. 송이버섯

중국의 송이버섯 생산과 수급 동향에 대해서는 과거로부터의 통계자료가 부족하여 수 급구조 변화에 대한 장기적이고 신뢰할만한 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송이버섯 생산과 수출에 관한 최근 자료에 의하면 송이버섯은 중국의 서남부 지역에서 주로 생산 되며 특히 히말라야산맥 동쪽 산기슭은 중국 송이버섯의 주산지로 알려져 있다. 주요 생 산 지역은 운남성의 적경(迪庆), 려강(丽江), 대리(大里), 노강(怒江)과 초웅(楚雄)현 지역 등이다.

30 張玉福 외(2007) p5.

송이버섯은 가격이 높고 생산의 대부분이 수출되기 때문에 중국내 소비는 거의 없다.

구분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신선

중국의 송이버섯 수입 실적은 수출에 비해 매우 적다. 신선 송이버섯은 2000년 10톤이

구분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신선/냉장 송이

전체 10,002 9,827 49,438 3,948 22,845 29,787

한국 - - -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총생산 309,875 252,347 343,305 393,519 436,862 499,074

수입 23 36 91 500 975 1,226

수출 7,810 9,376 6,721 8,518 9,894 12,447

소비량 302,088 243,007 336,675 385,501 427,943 487,853

표 6-4. 중국의 호두 수급 동향

단위: 톤

자료 : 中國國家林業局.「中國林業發展報告」. 2006.

표 6-5. 국별 호두 수출 실적

단위: kg, %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전체 7,809,851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전국 합계 269,203 274,246 309,875 252,347 343,305 393,519 436,862 499,074

북경 8,917 8,030 8,816 10,298 10,283 10,364 12,442 13,787

천진 224 418 3,71 360 337 384 412 442

하북 42,490 30,365 30,102 28,761 30,613 32,746 38,401 47,032 산서 117 39,724 46,988 40,215 39,382 40,777 48,558 53,432

내몽고 - - - 80 - - 20

-요녕 17,644 11,276 5,603 7,783 8,566 17,069 21,092 25,576

길림 253 925 4,489 1,741 1,444 1,638 3,046 2,888

강소 9,263 - - - - 5 251 151

절강 5,521 3,880 - - -

-안휘 98 77 182 540 184 327 381 6,300

복건 28 5 17 4 30 108 193 112

강서 4,420 31 176 41 252 252 105 3,255

산동 10,403 9,474 10,866 6,253 7,900 12,391 14,394 20,465 하남 12,248 13,428 17,143 13,387 15,271 18,364 21,652 25,339

호북 1,832 2,074 2,628 2,791 1,934 1,578 4,078 9,051

호남 2,569 2,547 2,663 2,842 3,038 3,945 3,458 3,761

광동 - - - 150 - - -

-광서 240 331 262 272 233 201 274 339

중경 1,541 1,580 2,958 1,515 1,958 2,787 4,083 3,272

사천 28,711 23,842 32,095 32,744 70,534 77,004 56,731 59,272

귀주 4,506 4,988 7,492 7,010 7,448 7,578 8,298 6,840

운남 57,169 60,452 68,788 68,568 74,664 76,118 84,433 91,200

서장 287 788 1,829 1,451 798 - - 622

섬서 32,514 33,340 34,498 10,596 34,193 43,144 62,453 63,790 감숙 18,189 10,612 20,095 3,051 17,946 28,293 28,957 29,675

청해 112 162 154 27 132 36 78 86

영하 98 118 137 140 160 182 17 627

신강 8,365 15,779 11,523 11,727 16,005 18,228 23,055 31,761 표 6-6. 성(省)별 호두 생산량

단위: 톤

자료 : 中國國家林業局.「中國林業發展報告」. 2006.

산동성 과수연구소에서는 1991년부터 호두의 우량품종인 노광(鲁光)에 대해 연구 중 이다. 노광(鲁光) 품종의 그루당 평균 생산성은 6년생이 4.1kg, 7년생은 4.9kg, 8년생은 6.6kg 등으로 나타난다33.

중국의 호두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2000년 30만 2,000톤에서 2005년 48만 7,900여 톤으로 늘었다. 전형적인 웰빙 식품에 속하는 호두는 소득 증가에 따라 소 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호두 수출량은 2000년 약 7,800톤에서 2005년 1만 2,447톤으로 증가하였다. 주 요 수출시장은 일본이며 대일 수출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00년 1,000여톤에 서 2005년 2,100톤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체 수출에서 대일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13.7%에서 17.7%로 확대되었다.

한국에 대해서는 식물방역법상 수입 규제조치로 인해 생호두 수출이 금지되어 있으며 깐호두 등 가공품 형태로 수출되고 있다. 한국으로의 수출은 작황에 따라 변동 폭이 크 게 나타나 2001년 340톤에서 2003년 490여톤으로 늘었다가 2005년 23톤으로 감소했다.

수입량은 2005년 1,200여 톤에 달했지만 수출량의 약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2.2.3. 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밤 생산국으로 2005년 생산량은 103만 톤을 넘었다. 2000년에 비 해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밤 주산지는 산동(山东)성과 호북(湖北)성, 하남(河南) 성, 하북(河北)성 등이다. 중국에는 300종류가 넘는 다양한 밤이 재배되고 있으며 분포 지역에 따라 크게 북방품종(화북지방품종)과 남방품종(장강유지역품종)으로 구분된다.

북방품종의 주요 분포지역은 화북(华北)지역의 연산(燕山)과 태행산(太行山) 산지, 하 북, 북경(北京), 하남북부(河南北部)지역, 산동, 섬서(陕西), 감숙(甘肃)을 포함한 지역이 다. 당도가 높고 크기가 작아 군밤용으로 적합하여 일찍부터 일본으로 수출되는 천진(天 津)밤도 북방계의 일종이다. 남방품종의 주요 생산 지역은 강방(江芳), 절강(浙江), 안휘 (安徽), 호북, 호남(湖南), 하남남부(河南南部) 지역이다34.

중국의 밤 소비량은 2000년 57만 톤에서 2005년 101만 톤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중국에서 밤은 경제가치가 비교적 높은 견과류의 하나로 농민 소득 증대에 필요 한 주요 임산물로 취급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 등 지로 수출되고 있다.

33 杨继明 외(2007. 2) p.36

34 刘永碧, 杨再强, 赵丽华(2006) p.66-67

밤 수출량은 작황에 따라 변화가 많지만 2000년 약 3만여 톤에서 2005년 3만 7,000톤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총생산 598,185 599,077 701,684 797,168 922,736 1,031,857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전체 30,768,202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전체 2,131,858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전국 합계 469,828 534,631 598,185 599,077 701,684 797,168 922,736 1,031,857

북경 - 10,578 9,016 14,567 16,140 17,788 19,474 21,853

천진 - 217 224 227 134 238 369 312

하북 - 43,023 34,620 50,725 55,049 71,595 84,661 107,079

산서 - 122 89 125 305 149 527 62

요녕 - 23,474 24,676 28,767 32,652 38,724 38,719 42,326

길림 - 250 281 255 - 1,004 551 288

강소 - 11,860 13,514 14,851 17,378 17,717 17,977 20,535

절강 25,662 29,791 33,450 38,654 44,848 45,884 55,436 60,428 안휘 35,035 34,797 45,710 42,151 55,207 45,213 68,506 68,786 복건 13,911 15,760 19,439 22,620 29,560 30,175 45,353 49,134 강서 14,205 17,769 13,157 12,580 18,160 16,209 23,966 25,706 산동 90,145 123,015 146,839 159,827 172,269 211,298 202,207 218,095 하남 72,501 75,834 85,650 62,035 76,986 91,010 102,343 112,351 호북 57,131 63,166 70,818 55,679 60,429 67,363 101,613 128,099 호남 16,752 18,551 19,764 21,168 25,224 29,369 34,567 35,545

광동 3,821 3,655 5,440 5,371 5,813 6,450 8,520 8,637

광서 18,027 21,927 22,008 26,828 31,668 32,910 39,657 45,951

중경 1,853 1,507 2,847 3,188 3,465 4,121 4,781 5,991

사천 5,517 4,576 6,616 6,142 11,960 15,153 13,206 14,105

귀주 6,664 7,562 7,471 7,810 8,690 10,426 11,591 12,286

운남 10,354 11,018 14,614 13,631 14,334 17,137 19,010 21,277

서장 86 120 - - -

-섬서 18,363 14,704 19,653 10,853 20,179 24,056 28,417 30,778

감숙 893 1,355 2,289 1,023 1,234 3,179 1,245 2,209

청해 - - - 40 24

2001년 2002년

표 6-12. 중국의 표고버섯 수출 실적

단위: kg, %

구분 국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신선 표고

품목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송진(松脂) 551,000 564,000 563,000 626,000 673,000 767,000

생옻(生漆) 5,000 5,000 6,000 9,000 10,000 14,000

유동백씨(油桐籽) 453,000 407,000 389,000 373,000 381,000 369,000 유차나무씨(油茶籽) 823,000 825,000 855,000 779,000 875,000 875,000

오구나무씨(烏桕籽) 36,000 29,000 32,000 28,000 23,000 30,000

자료 : 中國國家統計局. 「中國農村統計年鑑』. 2006.

36 2007년 7월 11일자 사천(四川)농촌일보에 따르면 2007년 한국 명절(설)기간에 표고버섯 가격 은 1kg에 80元으로 중국의 국내 가격 10元과 수출가격 18元을 크게 웃돌았음.

2.3. 목재류

2.3.1. 원목과 제재목

중국은 산림면적이 약 1억 7,491만ha이며, 이중 30%를 인공조림지로 조성하고 있다.

약 5,300만ha에 달하는 인공조림지의 임목축적은 약 15억㎥이며 목재산업의 원료로 활용 되는 원목을 생산하는데, 인공조림지에서 생산되는 원목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목재산업의 기초자원인 원목의 경우 중국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여 2006년 생산량은 2002년에 비해 50% 가까이 늘어난 6,600만㎥를 기록했다(표 6-14). 원목 수입 역시 2002 년 2,400만㎥에서 2006년 3,215만㎥로 증가하였다. 2006년 중국의 원목 자급률은 67.3%

로 2002년에 비해 약 2.7%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목 생산과 수입이 늘어나면서 제재목 생산량도 증가하였는데 2006년 약 3,000만㎥

로 2002년에 비해 약 2.5배나 늘어났다. 제재목 생산이 원목 생산 및 수입보다 훨씬 빠르 게 증가한 것은 제재목 수요가 급증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목 공급량 대비 제재목 가공 비율은 2002년 12.4%에서 2006년 30.4%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14. 중국의 원목 생산, 수입 및 제재목 생산량

단위 : 만㎥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원목 생산 4,436 4,759 5,197 6,107 6,611

원목 수입 2,433 2,546 2,630 2,935 3,215

원목 자급율(%) 64.6 66.1 66.4 67.5 67.3

제재목 생산 852 1,127 1,533 1,790 2,984

자료: 국립산림과학원(2007). 「중국․일본의 목재산업 동향과 전망」. 외국 전문가 초청세미나 자료.

2.3.2. 합판보드류

중국의 2006년 합판보드류 생산량은 7,400만㎥로 2002년에 비해 2.5배로 증가하였으 며, EU 생산량 5,758만㎥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섬유판과 합판, 파티클보 드 및 블록보드의 생산량이 모두 빠르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중국의 합판보드류는 주로 가구제조용과 내장용으로 쓰이며, 거푸집용 및 포장용으로 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합판보드류는 거의 없다.

합판보드류 수출량은 2002년 188만㎥에서 2006년 1,052만㎥로 4.6배 증가했다.

표 6-15. 중국의 합판보드류 생산 원료

섬유판(MDF/HDF) 687 1,043 1,466 1,951 2,347

하드보드 80 85 94 110 120

합판의 일종인 블록보드(Block Board) 생산량 역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2002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