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주요국 및 ASEAN과의 관계

문서에서 인도네시아 국기인도네시아 상징 (페이지 59-65)

가. 미국

미국으로부터 경제 원조를 제공받고 있으며, 석유 등 각 분야에서 미국 민간 자본투자도 활발하여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 유지

인도네시아는 미국으로부터 군 장비 현대화 및 군사력 강화 원조를 기대하였 으나, 미국은 1999년 10월 동티모르 인권문제와 2002년 티미카(Timika) 지 역 미국인 피살사건 등을 이유로 군사협력 중단

직선으로 선출되고 개혁지향적인 유도요노(Yudhoyono) 대통령 취임 (2004.10)과 함께 미국과 군사 협력관계 정상화 여건 조성

- 특히 2004년 12월 아체 지진·해일 피해 재건·복구 과정에서 미군 항공모 함(Abraham Lincoln호)을 비롯해 수송기·헬기 파견 등 지원

2005년 11월 미국은 대 인도네시아 무기 금수 조치를 해제하고, 2010년 7월 인도네시아 특수군(KOPASSUS)과의 교류 중단을 해제하는 등 화해 무드 강화

인 도 네 사 아 개 황

IND ONE SI A

2010년 11월 오바마 대통령은 인도네시아를 국빈 방문하여 포괄적 동반자 관 계(Comprehensive Partnership) 수립에 합의하고, 무역·투자, 교육, 에너 지, 기후변화 대응, 안보, 민주주의 발전 등 제반 분야에서 협력 강화 합의

미국은 F16기 24대를 정비비용 부담 조건으로 인도네시아에 양허키로 결정 하였으며, 척 헤이글(Chuck Hagel) 국방장관이 2013년 8월 방문, 공격용 아 파치 헬기 8대 판매 합의

2015.10월 조코위 대통령은 미국을 방문하여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Strategic Partnership)로 격상하는 한편, TPP 가입 의사 표명

- 향후 양국 외교장관 주도하는 장관급 전략대화를 매년 개최키로 합의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부상 및 안보적 위협 가능성에 대비하여 미국과의 관계 를 균형 있게 유지 발전시키면서 최대한의 이익을 도모한다는 입장

펜스 부통령은 인니를 방문, 미국 신정부하에서도 인니와의 지속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증진 의지 및 대아세안 관여 의지 표출

나. 일본

일본은 인도네시아에게 제2의 투자국이자 최대 규모의 차관 공여국

- 인도네시아는 일본의 투자 유치에 적극적이며, 일본도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자동차 및 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대인도네시아 투자 확대

2008년 7월 인도네시아-일본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

2013년 1월18일 아베 총리는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여 ‘아세안 외교 5원칙’

발표

외 교

| 일본 아베내각이 천명한 ‘ASEAN 외교 5원칙’

- 자유·민주주의·기본적 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정착·확대하기 위한 공동노력 - 힘이 아닌 법의 지배로 개방된 바다 수호,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정책 환영 - 경제 네트워크로 무역·투자 촉진을 통한 공동 번영

-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전통 공동 육성 - 미래를 담당할 젊은 세대 교류 활성화

최근 중국의 동남아내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여 일본은 △조코위 대통령 취 임식(14.10월)에 후쿠다 전 총리 파견, △조코위 대통령의 일본 공식실무방 문 (2015.3월) 및 일본 G7 아웃리치 회의 참석(16.5월), △조코위 정부의 첫 번째 국제회의 행사인 반둥회의 60주년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15.4월)에 아베 총리 참석, △아베 총리의 인도네시아 공식방문(17.1월) 등 대 인도네시 아 적극적 외교활동 전개 중

다. 중국

중국은 인도네시아와 함께 1955년 반둥회의를 개최하는 등 비동맹의 모토 아래 양국 협력을 강화해 왔으나, 1965년 인도네시아 공산당 주도의 쿠데타 시도로 양국관계가 악화되었고, 1967년 10월 양국 외교관 상호 추방으로 외교관계 동결

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실시 이후 1985년 7월 양국 간 교역이 재개되 면서 실질교류가 증대되었고, 1989년 2월 일본 히로히토 국왕 장례식 참석 차 일본을 방문한 수하르토 대통령과 첸지천(錢其琛) 중국 외교장관은 외교 관계 정상화에 원칙적 합의

인 도 네 사 아 개 황

IND ONE SI A

1990년 8월 외교관계 정상화에 합의한 양국은 1990년 10월 대사를 상호 교환하였으며 수하르토 대통령이 1990년 11월 중국을, 양상쿤(楊尙昆) 중국 국가주석이 1991년 6월 인도네시아를 공식 방문함으로써 양국 관계 정상화

이후 양국은 지속적 고위인사 교류를 통해 양국 관계발전에 확고한 의지 표명

- 1994년 11월 APEC 정상회의 계기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 공식방문, 상 호 우호협력 관계 재확인 및 양국 경협관계 증진에 합의

- 와히드 대통령은 취임 직후 1999년 12월 중국을 공식 방문하는 등 중국과 실질협력 증진을 최우선 외교과제로 설정

- 2001년 11년 주룽지(朱容基) 중국 총리는 인도네시아를 공식 방문하고, 인 도네시아의 주권, 영토보전, 국가통합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양국은 경협을 보다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

2010년 1월 중·ASEAN 간 FTA 발효 이후 중국산 제품의 수입 급증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대중 경제의존도 심화에 경계감을 표시하고, 향후 인도네시아 의 FTA 정책을 보다 신중한 방향으로 선회

2012년 3월 유도요노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이어 2013년 10월 시진핑(習近 平) 중국 국가주석 인도네시아 방문

-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은 외국정상으로서 첫 번째로 인도네시아 국회 연설 시 「一帶一路」의 한 축인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상」및 「중-아세안 2+7 협력 기본틀」을 발표하고, 중-아세안의 운명공동체 건설이라는 목표 하에 경제협력 강화 의지 천명

외 교

| 중-아세안 2+7 협력 기본틀

- △전략적 신뢰확대 및 선린우호 강화 △공동경제발전에 초점을 맞춘 호혜. 상생 확대라는 2가지 정치적 공감대 하에 아래 협력방안 제시

- 7개 협력방안 : ①중-아세안 우호협력조약(TAC) 체결 ②중-아세안 FTA 업그레이드를 통 한 경제통합 가속화 ③대동남아 인프라 투자 확대 및 AIIB 설립 ④지역 금융협력 강화 ⑤ 21세기 해상실크로드 건설 ⑥안보분야 협력 강화 ⑦인문·과학기술·환경 등에서의 교류 강 화를 통해 우호협력 기반 공고화

중국은 ASEAN 주도국이자 G20 회원국인 인도네시아의 전략적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자원 공급지 및 시장으로서 인도네시아 중시

- △조코위 대통령이 주재한 반둥회의 60주년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15.4 월)시 시진핑 국가주석의 전 일정 참석, △조코위 대통령 중국 국빈방문 (15.3월)시 648억 불의 대인도네시아 투자 약속, △조코위 대통령의 일대일 로 포럼 참석(2017년 5월)시 해양강국 건설 비전과 해상 실크로드 간의 협 력 의사 표명

- 인도네시아는 인프라 건설 등에서 중국과의 적극 협력을 추구하면서도 자 국 경제의 지나친 중국 의존도 심화를 우려하는 한편, ASEAN을 통한 다자 외교로 남중국해 등 중국 관련 문제를 관리해 나간다는 입장

라. 러시아

1965년 인도네시아 공산당의 쿠데타 시도가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구 소련이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원조국으로 양국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동 쿠데타 이후 양국 관계 소원

인 도 네 사 아 개 황

IND ONE SI A

수하르토 정권의 안정과 인도네시아의 대 동구권 관계 개선 정책(통상증진 실리 외교)에 따라 양국 관계는 점차 호전

1987년 3월 세바르드나제(Shevardnadze) 구 소련 외상의 인도네시아 방 한 이후 관계 증진이 이루어졌으며, 1989년 9월 수하르토 대통령의 구 소련 공식 방문시, 양국 간 우호·협력관계 기초에 관한 특별의정서 조인

한편, 인도네시아-미국 간 군사협력이 재개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는 자국 산 수호기와 잠수함의 대인도네시아 판매 논의를 추진하는 등 군사협력 강화 노력 중

마. ASEAN

인도네시아는 아세안의 최대국가로서 전통적으로 아세안을 외교의 핵심으 로 삼고 역내 평화와 안정을 통한 공동번영 도모

- 2003.7월~2004.7월간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아세안 공동체 실현 구상 (Bali Concord Ⅱ) 합의 도출에 기여

현 조코위 대통령 취임 후, 아세안 회원국을 우선 방문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국가를 먼저 방문하는 등 실리 위주의 행보를 보임에 따 라 인도네시아의 아세안에 대한 관심 저하에 대내외 우려 대두

그러나 조코위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회의시 역외 강대국의 영향력을 배제하 기 위해 아세안 중심성과 일체성을 지속 강조하는 등 아세안 국가들의 결속 력과 협력 강화를 위한 지도력 발휘

외 교

문서에서 인도네시아 국기인도네시아 상징 (페이지 59-6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