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주요국의 자동차보험 진료수가체계 5)

하에서 조세를 부담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환자라도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NHS에서 급여를

2) 독일

료기관간에 이루어진다. 지불원칙은 의사가 필요하여 행한 진료는 모두 지불받으며 자동차 사고와 인과관계가 있고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이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자동차보험 가입자 가 교통사고의 가해자인지 피해자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차사고 시 진료비에 대해 자동 차보험회사에서 65%, 건강보험조합에서 35%를 부담하는 일괄계약방식도 운용되고 있다.

4) 일본

일본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과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시행령’에서 자동차손해배상과 관련된 것을 규정하고 있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은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손해배상을 보장하는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급여기준’에서 보험금 및 손해배 상액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급여기준에 따 라 보험금을 지급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자동차 보험 진료수가 기준이 별도로 존재하여 진료수가가 이원화 되어 있 다. 자동차배상책임보험의 진료수가 가산율은 건강보험의 140% 이다.

자동차보험수가기준을 우선 적용하고 자동차보험 진료비를 청구한다. 청구형태는 ①의료 기관이 보험회사에 진료비를 청구하는 방식 ②피해자가 보험회사에 보상금을 청구하면서 진료비를 의료기관에 지불 요청하는 방식 ③ 자동차보험과 임의보험 모두에게 청구권이 있 을 때 손해보험회사가 일괄지불하고 차후에 자동차보험회사에 청구하는 방식이 있다.

5) 대만

11)

대만은 ‘강제적자동차책임보험법(Compulsory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Act, 이하 CALI Act)’과 ‘강제적자동차책임보험법시행규칙’에서 자동차손해배상과 관련된 것을 규 정하고 있다. ‘강제적자동차책임보험법’은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손해배상을 보장하는 목 적으로 하고 있으며 ‘강제적 자동차책임보험의지급기준’에서 보험금 및 손해배상액에 대 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보험자는 자동차 사고로 인하여 상해를 입은 환자에게 필요한 진 료비에 대해서만 상해보상진료비를 지불하고 사고로 인한 진료비 총액은 한 사고 당 NT

$ 200,000/인으로 제한한다.

대만의 강제적자동차책임보험의 진료비는 피해자의 건강보험 가입여부에 따라 급여범위

보험에서는 치료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환자에게 지불금액을 보상한다. 이탈리 아의 국민건강보험은 지방자치제이므로 동일질환 동일서비스라도 지방에 따라 가격이 다 르게 책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험회사는 지방정부 국민건강보험에 일정액을 납부하고 이 금액이 지방정부에서 병원으로 지불된다.

자동차보험에는 NHS의 진료비가 포함되어 있는 체계이다. 따라서 자동차보험회사는 자 동차보험료의 10.5%를 자동차사고환자의 진료비 명목으로 NHS에 이체시킨다. 따라서 자 동차보험만의 별도의 심사체계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8) 캐나다

캐나다는 주별로 자동차보험 체계를 갖고 있으나 자동차 소유자는 제3자 책임보험과 사 고급여에 대해서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자동차보험은 그 보상범위, 보상수준 및 운영형태도 다양하다. NHS가 자동차 사고의 대인보상을 담당하 는 경우도 있고 자동차보험이 담당하는 경우도 있으나 진료비는 우선적으로 NHS가 심사 지불하고 자동차보험은 초과분에 대해서만 상환하도록 되어 있다. 자동차보험의 추가 보 상범위는 건강보험에서 보상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진료비, 치과치료, 심리치료, 구급차, 카 이로프랙틱(척추교정) 및 물리치료, 마사지치료, 작업치료, 침술, 보철치료, 간병비 등이 있 다. 캐나다는 자동차보험을 위한 별도의 진료비 지불 및 심사기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9) 호주

호주는 대인배상보험, 종합보험, 대물배상보험, 자동차도난보험 등이 있으며 대인배상 (Compulsory Third Party, 이하 CTP)은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 다. 주정부에서 관할하는 대인배상보험기관에서 교통사고와 관련한 인명 피해에 대해 전 담하고 그 외 자동차 보험은 대물보상만을 담당하는 이원화된 체제의 보험시장으로 구성 되어 있다.

CTP의 급여범위는 승객, 보행자, 자전거운행자 및 기타 도로사용자의 진료비 및 기타비용 을 보상한다. 그러나 도로이용 기본규칙을 따르지 않은 경우 전혀 보상하지 않으며 전적으

(Common law)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여 보상책임을 묻는다. 관습법을 따르는 주에서는 자신의 과실이 없는 부분에 한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보상 청구방법은 사고 발생 18개월 이후부터 피해자가 겪고 있는 손상의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무과실주의를 따르는 주에서는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과실 여부에 상관없이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한 진 료비, 소득손실분, 재활비용, 진료비용 등을 규정하고 한도 내에서 제공한다. 호주 빅토리 아주의 보상서비스는 의료 및 지원서비스(치료서비스, 보조기구, 가사지원, 육아지원), 교 통비, 소득지원, 일시금 보상 등이 있다. 무과실주의 하에서 진료비 청구는 보험자가 청구 를 수용하면 치료와 관련한 비용 등을 지급받게 된다. 공공병원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 비스는 CTP 보험자와 병원간의 협약에 의해 보상된다. 하지만 보험자가 청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보험자는 치료에 따른 지급의 책임이 없다. 따라서 보험가입자가 비용을 지불하 고 차후 청구가 수용되면 상환 받는 방법과 의료제공자가 청구가 수용될 때까지 대기하도 록 요청할 수도 있다. 청구가 거부되면 지불의 책임은 보험가입자에게 있다.

10) 뉴질랜드

12)

자동차보험제도는 영국과 유사한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건강보험, 산재보험, 자동차보 험의 구분이 없으며 모든 상해 및 질병을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ACC)보험 에서 전담한다. 사고로 발생한 상해는 보험약관에 명시되지 않으면 자동차보험회사에 책 임을 묻지 못하고 가해자에게 보상을 요구할 수 없다. 교통사고를 포함한 각종 사고로 인 한 상해에 따른 진료비나 보상은 ACC보험에서 보상받으며 자산손실은 민간 자동차보험 에서 보상받는다. ACC는 포괄적인 무과실(No-Fault) 상해보험을 제공한다. ACC에서 신 체상해와 관련된 진료비 및 보상을 전담하므로 진료수가는 일원화되어 있다.

12) http://www.acc.co.nz/index.htm

11) 소결

자동차보험은 건강보험의 재원과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주요국가의 자동차보험 환자의 급여범위 및 진료수가는 건강보험을 기준으로 일원화 되어 있는 곳이 많았다. 이것은 주요 국가의 건강보험이 자동차보험보다 먼저 도입되어 자동차사고 환자의 진료비를 일차적으 로 건강보험에서 전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요국은 사고 발생 원인보다는 피해자 부 상에 대한 치료에 더 중점을 두고 있어 건강보험으로 우선 진료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건강보험(또는 보건의료서비스)에서 보상하는 치료 범위는 NHI(또는 NHS)에서 지불하 고, 보상범위를 초과하는 범위(건강보험 비급여)는 자동차보험, 피해자, 피해자의 보험 등 에서 보상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동차보험수가13) 체계가 형성된 이후 건강보험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두 제도가 별도로 발전되어 이원화된 수가체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보험의 진료수 가기준은 ‘건강보험기준’과 ‘건강보험에서 달리 정하는 사항’으로 명시되어 건강보험보다 진료수가 인정범위가 넓다.

자동차보험 지불제도를 주요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하면 주요국에서는 자동차사고 환자 의 치료비를 국가에서 지불하고 필요시 자동차보험회사에 구상권을 행사하고 있지만 우리 나라는 자동차보험회사에서 자동차보험 진료수가기준으로 의료기관에 지불하고 있는 차 이점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