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_주로 소규모 작업장으로 구성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제조업 사업체당 면적은 전국 평균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전 국 평균 사업체당 부지면적은 5,195㎡인데 비해 서울은 1,494㎡, 인천은 2,466㎡, 경기는 3,923㎡로 전국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 중에서도 서울의 사업체당 부지면 적이 가장 작게 나타나 부지 자체가 상대적으로 소규모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서울은 사업체당 부지면적이 전국 17개 시도7) 중에서 가장 작은 수준이다. 서울은 전국의 사업체 당 부지면적 평균인 5,195㎡의 1/4 정도 수준인 28.8%로 나타났으며, 사업체당 부지면적 이 8,963㎡로 가장 큰 충남과 비교해보면 16.7%에 불과하였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2] 지역별 사업체당 부지면적

종사자당 부지면적도 사업체당 부지면적과 마찬가지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종 사자당 부지면적 역시 서울이 103.2㎡로 16개 시도 중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은 전국 종사자당 부지면적 평균인 229.3㎡의 약 45.0%에 불과한 규모이며, 규모가 가장 큰 충남은 368.9㎡로 조사되어 서울은 충남 수치의 약 28.0%에 불과하였다.

7) 자료상으로는 제주도가 사업체당 부지면적 50,526.3㎡, 종사자당 부지면적 3,329.5㎡로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샘플이 소규모이며 이에 따른 이상치인 것으로 추정되어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3] 지역별 종사자당 부지면적

제조업 사업체당 연면적에서도 서울은 다른 시도보다 작은 편이며, 전국 평균보다 수치가 낮은 수준이다. 전국 평균 사업체당 연면적은 2,600㎡이나, 서울은 1,725㎡로 제주를 제 외한 16개 시도 중에서 인천, 강원도에 이어 3번째로 작다. 서울의 사업체당 부지면적이 전국 최하위임에도 불구하고 연면적은 14위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부지면적보다 연면적이 그나마 넓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4] 지역별 사업체당 연면적

제조업 종사자당 연면적을 보면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전국 평균 종사자당 연면적은 114.9㎡인데 비해, 서울은 119.1㎡이다. 사업체당 연면적에서는 서울이 전국 평 균 이하로 나타났지만, 종사자당 연면적은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이는 서울 시 제조업체의 영세성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종사자당 연면적이 가장 넓은 광주의 217.8㎡와 비교해 보면 서울은 광주 수치의 54.7%에 불과하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5] 지역별 종사자당 연면적

서울의 제조업 사업체당 부지면적8)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식료품 제조업’이 5,147.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4,857.0㎡, ‘비금속광물 제조업’ 4,000.0㎡, ‘전기장비 제조업’ 3,884.3㎡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반적으로 서 울시에 잔존하고 있는 해당 업종 샘플이 대규모인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 예외 적인 경우에서도 전국과 비교해보면 ‘전기장비 제조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들은 전국에 비해 사업체당 부지면적이 작게 나타났다.

서울의 제조업 중 비중이 높은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은 637.5㎡, ‘인 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은 641.1㎡로 나타나 서울 내 산업의 평균보다 면적이 작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전국과 비교하였을 때도 평균 사업체당 부지면적이 각각 54.1%, 45.6%

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담배 제조업, 음료 제조업에 대한 부지면적 데이터는 없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6] 서울시 업종별 사업체당 부지면적

서울의 제조업 사업체당 연면적9)분포도 크게 다르지 않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이 19,15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 뒤로 ‘전기장비 제조업’

3869.9㎡, ‘비금속광물 제조업’ 2,500.0㎡, ‘전기장비 제조업’ 3,884.3㎡ 등으로 조사되었 다. 전국과 비교를 해보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과 ‘전기장비 제조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들은 전국에 비해 사업체당 연면적이 작았다. 서울의 제조업 중 비중이 높은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은 580.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은 597.0㎡

로 나타나 서울 내 산업의 평균보다 작은 면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과 비교하였을 때도 평균 사업체당 연면적이 각각 22.6%, 26.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담배 제조업, 음료 제조업에 대한 연면적 데이터는 없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자료: 장철순 외(2015)

[그림 2-7] 서울시 업종별 사업체당 연면적

요약하자면 서울시 제조업은 업종상으로는 타 지역과 달리 식품, 의복, 가죽, 인쇄 등의 생활관련형 업종에서 강세를 보이고, 구성원은 중소 제조업체가 대부분이다. 이들이 사용 하는 작업장은 평균적으로 전국에서 가장 작은 축에 든다. 달리 말하면, 대도시의 거대 생산자 및 소비자 시장에 근접해 생존하고 있되, 높은 지가에 대응하여 소규모 조직과 작업장으로 특화한 형태가 서울형 제조업체의 가장 큰 특징이다.

서울시 제조업은 이와 같이 전국적인 제조업과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중 공업, 대기업, 대규모 생산이 주 대상인 국가의 제조업 정책과는 맞지 않는 면이 있다.

이것이 서울시가 지속적으로 ‘서울형’ 제조업 정책을 탐색해 온 주된 이유이며, 이 연구와 같이 더 맞춤형인 업종별, 집적지별 제조업 정책을 필요로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03

서울시 제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