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8세기 후반에 중국을 왕래한 추사 김정희는 수많은 인장을 수장하고 사용하 기도 한 인장의 애호가로서 이러한 전각에 대한 유별난 관심은 19세기로 접어들 면서 한국 예단에 일대 변혁을 전개시켰다55). 특히 제주도 유배시기(1840~184 년)는 추사 학문과 예술이 완성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추사 김정희는 전각에 있어서도 일찍이 청(淸)의 학자들과 교류를 하면서 인 (印)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체득하였고, 고인(古印)의 인보(印譜)를 통해 진(

秦)・한대(漢代)의 전각을 연구하였다. 이를 계기로 그의 전각은 청대(淸代)보다 우월한 진경(眞境)56)을 스스로 닦게 되었고, 점차 독특한 전각풍을 이룩하게 됨 에 따라 전각을 예술의 영역으로 인식시켰으며 더 나아가 한국전각사 발전을 위 한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추사 김정희의 도장(圖章)은 수십 점이 남아 있으며 추사의 또 다른 호(號)인 완당의 도인(圖印)을 모아 인보(印譜)로 엮은 첩도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양을 담고 있는 <그림 10>57)의 『완당인보』는 추사의 제주도 귀양살이

55) 최지윤 (1988), 한글전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56) 1. 본바탕을 가장 잘 나타낸 참다운 경지. 2. 실지 그대로의 경계(境界).

57) 네이버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632

&docId=568792&mobile&categoryId=1632

시절 제자이자 필장(筆匠)인 박혜백(朴惠百)이 소장했던 것이다.

성(節制性, moderation)을, 추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금석기’의 주조 글자처럼 질박함의 특징과 ‘법고창신’의 계승과 혁신의 아름다움・정확한 형상 묘사의 특징 이 보이는 53개 정도의 전각들에서 직선적・사실적・구체적으로서의 조형성인 구 상성(具象性, concreteness) 등의 4가지 조형성으로 유추하였다<표 3>.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고졸성

고졸성은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한 멋이 있음을 뜻하는 특성으로서 추 사 김정희 전각에서도 기교가 없어 서툰듯하지만 예스러움을 간직한, 기교를 넘 어선 자연스러움으로 단순하면서도 친근한 파흔들과 서체의 사용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졸성은 한국 미학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온 특성 중 하나로써, 화 려함이나 현란함보다는 수수함・소박함・덤덤함과 같은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고 웅건(雄健)59)・고졸(古拙) 등과 같은 고차적인 정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일종 의 이념미(理念美)를 지향한다60).

또한 기교를 넘어선 방심의 아름다움, 때로는 조야(粗野)61)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소탈한 아름다움이 곁들여져 정취를 돋우는 미62)로서 꾸밈없이 담담하고 욕심 없이 편안한 고졸한 멋을 의미한다.

<그림 11>은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고졸미의 서툰듯한 자연스 러움과 예스러움이 잘 드러난 전각들 58개 중에서 우연적인 파흔이나 혹은 작가 의 의도적인 깨뜨림으로 표현된 파흔들이 엿보이고, 기교 없이 서툰 듯 단순한 표현으로 마치 다듬어지지 않은 자연그대로 느낌의 투박한 서체 모양에서 오랜 역사를 간직한 것처럼 고고한 아름다움과 동시에 기교를 넘어선 자연스러움이 두드러지게 표출된 전각들 18개 정도의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고졸미와 유사함으로 추사 전각 의 조형성으로 ‘고졸성’을 유추하였고, 조형적 특징을 자연스러움, 단순함, 예스 러움으로 구분하였다.

59) 규모가 크고 웅장함,

60) 권영필 외 5인 (1994), 한국미학시론,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63.

61) 물건(物件) 등(等)이 거칠고 막됨.

62) 최순우 (1994),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서울: 학고방. p. 18.

<그림 11> 추사 김정희 전각 중 대표적인 고졸성의 전각들 - 유홍준, 완당평전 3, 2002

(2) 절주성

네이버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5

&docId=462643&mobile&categoryId=2885

66) 겉은 부드럽게 보이나 속은 음험함. 겉은 유순하지만 마음 속에 사람을 해치려는 뜻을 품고 있다는 ‘음유해물(陰柔害物)’로도 쓰임. 네이버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

terms.naver.com/entry.nhn?cid=85&docId=106318&mobile&categoryId=2644

으로 추사 전각의 조형성으로 ‘절주성’을 유추하였고, 조형적 특징을 리듬감, 추 상적, 조화와 통일로 구분하였다.

<그림 12> 추사 김정희 전각 중 대표적인 절주성의 전각들 - 유홍준, 완당평전 3, 2002

(3) 절제성

절제성은 정도에 넘지 않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함을 말하는 것으로, 추사 김정희의 전각들에서도 선과 면을 통한 강함과 섬세함의 조절을 통해 조화를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절제의 미는 조형예술가가 자신의 표현에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으 로써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한 담백한 마음의 예술, 잡스러움이 없는 담백하 고 순수함이 표출되는 미로써 절제된 담백의 흰빛, 탁하고 불투명한 성분들을 제 거하여 조잡함이 없는 담백한 성분을 미적 가치로 보는 미학이다. 이러한 절제의 미는 한국적인 미로써 우리의 산과 들, 옛 가옥 등의 자연에서 어느 것 하나 튀 어서 불거져 나오는 것이 없이 동등해보이며 무욕의 자연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는 곧 겸양의 미덕이며, 비움의 미덕이며 선비사상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비움의 미학을 통해 여유와 절제를 동시에 행해야 하는 것으로 나 자신을 죽이고 없애는 과정에서 그 정신적인 부분은 절정에 다다르게 된다67).

<그림 13>은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중화미와 금석기의 양강과 음유의 조화, 고졸한 기식, 장엄함, 역사미와 시간미가 잘 드러난 전각들 65개 중에서 강함과 섬세함이 절제되어 같은 공간에 모자라거나 넘치지 않게 함께 표 현된 것으로, 절제와 한도를 보여주고 있고, 양각이나 음각으로 새겨진 굵은 선 이나 면의 넓이를 통해 단정하고 차분한 온화함을, 기조 아래의 가는 선과 면의 넓이와의 대비를 통해 섬세함이 두드러지게 표출된 전각들 15개 정도의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추사 김정희의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중화미, 금석기와 유사함으로 추사 전각의 조형성으로 ‘절제성’을 유추하였고, 조형적 특징을 절제와 한도, 강 함과 섬세함, 단정함으로 구분하였다.

67) 박경희 (2008), 절제의 미로 표현된 현대조각보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p. 10.

<그림 13> 추사 김정희 전각 중 대표적인 절제성의 전각들 - 유홍준, 완당평전 3, 2002

(4) 구상성

구상성이란 철학(哲學)과 사유(事由)를 포함(包含)한 직관(直觀)의 대상(對象)이 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써 사물이나 대상이 갖는 구체적인 성질을 말한 다. 이것은 현상적이고 실재적(實在的)인 것으로, 구체성(具體性)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데, 추사 김정희의 전각들을 살펴보면 구체적으로 쉽게 글씨를 읽을 수 있는 것들을 볼 수 있다.

추상과 구상은 대상을 형상화하는 방법적 요인으로써 서로 상반된 개념이다.

추상성(抽象性)이 본래의 의미나 본 모습을 굴절시켜서 암시적이고 함축된 표현 을 사용한다면, 구상성(具象性)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 보이는 것으로 어떤 하나를 보여주면 어떤 다른 것도 연상하게 만드는 표현심리를 말한다. 즉,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 치중한 설명적(說明的), 사실적(寫實的), 직유적(直喩的) 표 현이며, 작의(作意)를 그대로 드러내거나 다른 사실을 연상할지라도 그 겉 뜻 내 에서 형상화하는 성향을 일컫는다68).

<그림 14>는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금석기와 법고창신의 주조 글자처럼 질박함, 계승과 혁신의 아름다움, 정확한 형상묘사가 잘 드러난 전각들 53개 중에서 글자 하나하나를 간결하게 묘사하면서도 함축된 직선적 표현을 보 여주고, 글자 본연의 모습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정확한 형상을 사실적이 고 구체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옛것을 토대로 변화시켜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는 데 있어 근본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계승과 혁신의 미를 두드러지게 표출한 전 각들 20개 정도의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인 금석기, 법고창신과 유사함으로 추사 전각의 조형성으로 ‘구상성’을 유추하였고, 조형적 특성을 직선적, 사실적, 구체적으로 구분하였다.

68) 양희찬 (2011), 고시조에서의 형상화의 추상성과 구상성에 대한 연구, 우리어문연구 (39), 우 리어문학회, p. 25.

<그림 14> 추사 김정희 전각 중 대표적인 구상성의 전각들 - 유홍준, 완당평전 3, 2002